위치기반서비스(LBS:Location Based Service)는 사용자에게 위치 및 상품안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최근 스마트 기기의 보급이 활성화됨에 따라 GPS(Global Positioning Service)를 기반으로 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217914
서울 :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학위논문(석사) -- 숭실대학교 대학원 , 정보통신공학과(일원) , 2013. 8
2013
한국어
서울
; 26 cm
지도교수: 유명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위치기반서비스(LBS:Location Based Service)는 사용자에게 위치 및 상품안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최근 스마트 기기의 보급이 활성화됨에 따라 GPS(Global Positioning Service)를 기반으로 하...
위치기반서비스(LBS:Location Based Service)는 사용자에게 위치 및 상품안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최근 스마트 기기의 보급이 활성화됨에 따라 GPS(Global Positioning Service)를 기반으로 하는 측위 서비스가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측위기술들은 Cell-ID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실내 환경에서의 적용이 제한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일예로 실내 환경에 존재하는 다수 무선 기술들을 통해 발생하는 주파수 대역의 간섭으로 인하여 Cell-ID 기술의 정확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으며, 실내에서 측위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다수 고가의 장비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Green IT 기술인 가시광통신을 이용한 측위기법이 각광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시광통신을 이용한 실내 무선 측위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무선 측위 시스템은 LED-ID을 기반으로 하여 송신단과 수신단 사이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고, 이를 이용하여 소형 자동차 모형인 가시광 수신기의 위치를 제어한다. 구현 결과로부터 보다시피 본 논문에서는 LED 패널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PD를 통해 수신 받은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소형 자동차 모형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가시광 무선 통신 기술은 목표가 되는 사용자 단말 추적하는 실내 측위 시스템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