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신호를 재생 및 변환을 할 때. 지금까지 DAC(Digitla-to-analog)회로를 이용해서 디지털을 아날로그로 변환한 다음에 이용을 하였다.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후 class-D 증폭개념을 사용하여 PWM...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971510
대구 :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학위논문 (석사) -- 경북대학교 대학원 , 전자전기컴퓨터학부 회로 및 임베디드 시스템 공학전공 , 2010. 2
2010
한국어
621.34 판사항(22)
대구
45 p. : 삽화 ; 26 cm
참고문헌: p. 43-4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디지털 신호를 재생 및 변환을 할 때. 지금까지 DAC(Digitla-to-analog)회로를 이용해서 디지털을 아날로그로 변환한 다음에 이용을 하였다.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후 class-D 증폭개념을 사용하여 PWM...
디지털 신호를 재생 및 변환을 할 때. 지금까지 DAC(Digitla-to-analog)회로를 이용해서 디지털을 아날로그로 변환한 다음에 이용을 하였다.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후 class-D 증폭개념을 사용하여 PWM 신호로 변환 시켰다. 그러나 트랜지스터를 이용한 아날로그 증폭기는 그 자체에서 열잡음을 발생함으로 정밀한 PWM 신호를 생성하기 어렵고, DAC의 비선형 때문에 신호의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입력신호의 크기를 펄스의 폭으로 표현해야 하는 PWM은 PCM의 비트가 증가하면 하드웨어의 동작 주파수가 매우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PWM신호는 해상도가 더욱 증가하고 응용분야가 다양해지면서 신호 처리 회로 역시 고해상도(high resolution), 적은면적(small area), 저전력(low power) 요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PCM 신호를 PWM 신호로 변환할 때 DAC회로 없이 변환할 때 과도하게 시스템의 동작 주파수가 높아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동작 주파수를 낮추어 효율적이며 low power, small area을 요구하는 Hybrid DPWM with 2-MUX 구조의 PCM to PWM Convert를 설계 하고자 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