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컴퓨터공학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적합성에 대해서 성격 및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특성과의 상관성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컴퓨터공학 전공적합성과 관련이 깊은 개인 특...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676750
인천 :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 컴퓨터교육전공 , 2020. 8
2020
한국어
인천
60p. ; 26 cm
지도교수: 채진석
I804:23006-20000032081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컴퓨터공학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적합성에 대해서 성격 및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특성과의 상관성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컴퓨터공학 전공적합성과 관련이 깊은 개인 특...
본 연구는 컴퓨터공학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적합성에 대해서 성격 및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특성과의 상관성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컴퓨터공학 전공적합성과 관련이 깊은 개인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대학교 컴퓨터공학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고, 회수된 63부의 설문지를 자료로 분석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터공학 전공 대학생들의 성격 및 유능감 특성에서는 Holland 직업선택이론의 사회형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예술형에서 가장 낮은 빈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전공적합성에 대해 학년 및 성별에 따른 평균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성별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학년에 대한 차이는 1학년, 4학년이 2학년, 3학년보다 전공적합성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공적합성에 대해 감성지능 및 자기효능감과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감성지능은 전공적합성과는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자기효능감에서는 양(+)의 상관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즉,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컴퓨터공학 전공만족도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전공적합성에 대해 성격 및 유능감 특성에 대한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Spearman의 상관관계 분석을 진행한 결과 성격 특성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유능감 특성에 관해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공학 학과의 전공적합성과 개인별 특성 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상관성이 없는 특성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밝혀낼 수 있었다. 이러한 상관성에 대한 연구를 보다 발전시킨다면
컴퓨터공학 전공에 적합한 인재를 발견하고, 인재들에게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과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육 전략을 제공 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한다.
주제어 : 컴퓨터공학 , 전공적합성 , 감성지능 , 자기효능감 , 성격 , 상관성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ersonal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correlate with the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omputer science. To that end,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university st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ersonal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correlate with the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omputer science. To that end,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university student majoring in computer science and analyzed 63 questionnaires retrieved from the survey. The findings from the survey are as the following:
First, In the personality and competenc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mputer science, the social type of Holland’theory was the highest frequency, and the lowest frequency was found in the artistic typ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and gender for major satisfaction did not appear significantly in gender, and the difference in grade was higher in the first and fourth grades than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s.
Third, looking at the resul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major satisfac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it was foun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major satisfaction, bu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That i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elf-efficacy, the higher the degree of computer science major satisfaction.
Fourth, looking at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on major satisfaction and personality and competence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rsonality, an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egard to competence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how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computer science major satisfaction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find out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were not related. It is expected that further development of this study of correlation will help to find the right talent for computer science majors, provide the right direction for the talent, and provide an educational strategy to effectively accomplish the task.
Key Words : Computer Science , Major satisfaction , Emotional Intelligence , Self-Efficacy , Personality , Correl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