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상에 포함된 특징의 방향성을 적용한 시그마 필터의 잡음제거 = Noise reduction by sigma filter applying orientations of feature in im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296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realization of obtained image by various visual equipments, the addition of noise to the original image is a common phenomenon and the occurrence of the noise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prevent completely. Thus, the noise detection and reduction is an important foundational purpose. In this study, we detect the orientation about feature of images and estimate the level of noise variance based on the measurement of the relative proportion of the noise. Also, we apply the estimated level of noise to the sigma filter on noise reduction algorithm. And using the orientation about feature of images by weighted value, we propose the effective algorithm to eliminate noise. As a result, the proposed statistical noise reduction methodology provides significantly improved results over the usual sigma filtering and regardless of the estimated level of the noise variance.
      번역하기

      In the realization of obtained image by various visual equipments, the addition of noise to the original image is a common phenomenon and the occurrence of the noise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prevent completely. Thus, the noise detection and reduct...

      In the realization of obtained image by various visual equipments, the addition of noise to the original image is a common phenomenon and the occurrence of the noise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prevent completely. Thus, the noise detection and reduction is an important foundational purpose. In this study, we detect the orientation about feature of images and estimate the level of noise variance based on the measurement of the relative proportion of the noise. Also, we apply the estimated level of noise to the sigma filter on noise reduction algorithm. And using the orientation about feature of images by weighted value, we propose the effective algorithm to eliminate noise. As a result, the proposed statistical noise reduction methodology provides significantly improved results over the usual sigma filtering and regardless of the estimated level of the noise varia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다양한 영상장비로 획득된 영상을 구현할 때, 원영상에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한 잡음이 추가되는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며 이러한 잡음을 완벽하게 막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추가된 잡음을 탐지하여 제거하거나 가능한 줄이는 것이 영상처리의 중요한 기본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의 특징에 대한 방향을 탐지하고, 영상을 오염시키고 있는 잡음의 상대적인 크기를 측정하여 잡음에 대한 분산의 수준을 추정하였다. 또한 추정된 분산을 영상처리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잡음제거 기법인 시그마 필터에 적용하고, 특징의 방향을 가중치로 사용하여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잡음제거 방법을 통해 기존의 시그마필터보다 개선된 잡음제거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추정된 잡음의 분산에 민감하지 않은 잡음제거성능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다양한 영상장비로 획득된 영상을 구현할 때, 원영상에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한 잡음이 추가되는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며 이러한 잡음을 완벽하게 막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

      다양한 영상장비로 획득된 영상을 구현할 때, 원영상에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한 잡음이 추가되는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며 이러한 잡음을 완벽하게 막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추가된 잡음을 탐지하여 제거하거나 가능한 줄이는 것이 영상처리의 중요한 기본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의 특징에 대한 방향을 탐지하고, 영상을 오염시키고 있는 잡음의 상대적인 크기를 측정하여 잡음에 대한 분산의 수준을 추정하였다. 또한 추정된 분산을 영상처리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잡음제거 기법인 시그마 필터에 적용하고, 특징의 방향을 가중치로 사용하여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잡음제거 방법을 통해 기존의 시그마필터보다 개선된 잡음제거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추정된 잡음의 분산에 민감하지 않은 잡음제거성능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화, "영상에 포함된 잡음의 분산 추정과 잡음제거" 한국통계학회 24 (24): 905-914, 2011

      2 김영화, "영상 잡음의 분산 추정에 관한 통계적 알고리즘 및 응용"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 (20): 869-878, 2009

      3 김영화, "블럭방법에 근거한 영상의 적응적 대비증폭 알고리즘"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2 (22): 371-380, 2011

      4 Bartlett, M. A., "Properties of sufficiency and statistical tests" 160 : 268-282, 1937

      5 Kim, Y-H, "Image feature and noise detection based on statistical hypothesis tests and their applications in noise reduction" 51 : 1367-1378, 2005

      6 Bosco, A., "Fast method for noise level estimation and integrated noise reduction" 51 : 1028-1033, 2005

      7 Amer, A., "Fast and reliable structure-oriented video noise estimation" 15 : 113-118, 2005

      8 김영화, "Deinterlacing Algorithm Based on Statistical Tests"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19 (19): 723-734, 2008

      9 Shin, D., "Block-based noise estimation using adaptive gaussian filtering" 51 : 218-226, 2005

      10 Lee, J., "Adaptive noise reduction algorithms based on statistical hypotheses tests" 54 : 1406-1414, 2008

      1 김영화, "영상에 포함된 잡음의 분산 추정과 잡음제거" 한국통계학회 24 (24): 905-914, 2011

      2 김영화, "영상 잡음의 분산 추정에 관한 통계적 알고리즘 및 응용"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 (20): 869-878, 2009

      3 김영화, "블럭방법에 근거한 영상의 적응적 대비증폭 알고리즘"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2 (22): 371-380, 2011

      4 Bartlett, M. A., "Properties of sufficiency and statistical tests" 160 : 268-282, 1937

      5 Kim, Y-H, "Image feature and noise detection based on statistical hypothesis tests and their applications in noise reduction" 51 : 1367-1378, 2005

      6 Bosco, A., "Fast method for noise level estimation and integrated noise reduction" 51 : 1028-1033, 2005

      7 Amer, A., "Fast and reliable structure-oriented video noise estimation" 15 : 113-118, 2005

      8 김영화, "Deinterlacing Algorithm Based on Statistical Tests"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19 (19): 723-734, 2008

      9 Shin, D., "Block-based noise estimation using adaptive gaussian filtering" 51 : 218-226, 2005

      10 Lee, J., "Adaptive noise reduction algorithms based on statistical hypotheses tests" 54 : 1406-1414,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1 0.91 0.911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