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 중 한국어 교재 어휘제시에 대한 비교 분석 - 통합 초급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통합초급교재의 어휘제시 부 분을 대조 비교한 연구이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085770
충주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일반대학원(GLOCAL), 2024
학위논문(석사)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일반대학원(GLOCAL) , 한국언어문화학과(GLOCAL)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 2024. 8
2024
한국어
"어휘 교욕" ; "통합 초급교재" ; "어휘 제시" ; " 한중 교재 비교" ; " 한중 어휘제시에 비교"
충청북도
75 ; 26 cm
지도교수: 고경민
I804:11004-20000079764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 · 중 한국어 교재 어휘제시에 대한 비교 분석 - 통합 초급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통합초급교재의 어휘제시 부 분을 대조 비교한 연구이다. ...
한 · 중 한국어 교재 어휘제시에 대한 비교 분석 - 통합 초급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통합초급교재의 어휘제시 부 분을 대조 비교한 연구이다. 한류 문화의 영향으로 전세계적으로 한국어 를 배우는 학습자의 수가 급증하고 있는데, 그 중에 중국은 한국과 지리 적으로 가까워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 나 두 나라는 중국어권의 영향으로 두 나라의 문자의식, 형태가 비슷한 경우가 많다. 많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모국어의 영향을 받아, 한국 어 초급 단계에서 어휘의 이해와 학습에 오류를 일으키는 학습 방법.또 해외 지역의 한국어 교육은 어휘교육의 통합교재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한국 이외의 지역에서 한국어 교육은 통합교재의 질이 더욱 중요시돼야 한다. 본 연구는 비교대조를 통해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통합 초급교재와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통합 초급교재 중 어휘제시 부분의 차이점을 발견 하고,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통합 초급교재 어휘제시 부분에 대하여 개 선해야한 점을 제안한다. 본 연구 제1장에서는 한국어 교육 중에 어휘의 중요성과 한국어교재 중 어휘제시 부분의 필요성과 목적을 설명한다. 한국과 중국에서 출판된 초 급교재 중 연구대상을 선정하고 한국어교재와 중국 교재에 대한 선행연구 를 검토한다. 제2장에서는 교재개발과 교재평가에 관한 이론연구를 검토한 후, 교재 분석의 평가 기준을 정리하여 종합적으로 서술한다. 제3장에서는 먼저 교재의 어휘제시 부분에 대한 분석기준에 대해 설명 하고, 선정된 한국과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교재를 연구대상으로 어휘제 시 부분을 분석한다. 어휘의 제시수서, 어휘의 주제, 어휘의 난이도 및 어 휘의연습방법의 4가지 측면으로 분석한다. 한국과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 어교재 중 어휘제시 부분을 분석하여 어휘제시 부분의 장단점을 정리한 다.그리고 한국과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초급교재 8권의 분석내용을 정 리하여 비교 대조하고, 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교재의 어휘의 제시순서, 어휘의 주제, 어휘의 난이도와 어휘의 연습방법 이 4가지 측면의 전체적 인 특징을 비교하여 양국에 한국어 통합초급교재의 장단점을 설명한다. 제4장에서는 분석 결과를 정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중 한국어 교재 어휘제시에 단점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중국에서 발간되는 통합 초급교 재에서 제시되는 어휘제시 부분의 특징을 살피고, 이를 한국에서 출간된 한국어 통합 초급교재와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대조비교 를 통해 현재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통합 초급교재에서 어휘제시 부분 의 향후 편찬 방향을 살피는 것이 이 연구의 최종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주제어: 어휘 교욕, 통합 초급교재, 어휘 제시, 한중 교재 비교, 한중 어휘제시에 비교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