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曹丕, "列異傳(中國古代十代志怪小說賞析上)" 北京廣播學院出版社 1992
2 석상순, "한국의 유적 및 지명을 통해 본‘마고’의 원형" 국학연구원 20 : 109-163, 2016
3 송화섭, "한국의 마고할미 고찰" 한국역사민속학회 (27) : 127-171, 2008
4 황패강, "한국고전문학전집 숙향전/숙영낭자전, 옥단춘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3
5 김혜정, "한국 마고의 전승 양상과 신적 성격"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6 김인희, "한․중 마고설화의 비교연구" 관동대학교 강릉무형문화연구소 14 : 5-23, 2000
7 LIZHENNING, "한·중 마고여신 비교 연구-문헌기록의 수용양상을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소 36 : 41-75, 2014
8 이방, "태평광기 3" 학고방 2001
9 이덕무, "청장관전서 1~10" 솔 1997
10 서신혜, "조선 후기 선계설화의 시, 공간" 한민족문화학회 7 : 56-67, 2000
1 曹丕, "列異傳(中國古代十代志怪小說賞析上)" 北京廣播學院出版社 1992
2 석상순, "한국의 유적 및 지명을 통해 본‘마고’의 원형" 국학연구원 20 : 109-163, 2016
3 송화섭, "한국의 마고할미 고찰" 한국역사민속학회 (27) : 127-171, 2008
4 황패강, "한국고전문학전집 숙향전/숙영낭자전, 옥단춘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3
5 김혜정, "한국 마고의 전승 양상과 신적 성격"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4
6 김인희, "한․중 마고설화의 비교연구" 관동대학교 강릉무형문화연구소 14 : 5-23, 2000
7 LIZHENNING, "한·중 마고여신 비교 연구-문헌기록의 수용양상을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소 36 : 41-75, 2014
8 이방, "태평광기 3" 학고방 2001
9 이덕무, "청장관전서 1~10" 솔 1997
10 서신혜, "조선 후기 선계설화의 시, 공간" 한민족문화학회 7 : 56-67, 2000
11 강민경, "조선 중기 지식인의 神仙傳 독서 경향과 詩化 - 李春英의 ?讀神仙傳? 53수를 중심으로" 한국도교문화학회 17 : 11-32, 2002
12 조현설, "우리 신화의 수수께끼" 한겨레출판 2006
13 유증선, "영남의 전설" 형설출판사 1979
14 박지원, "열하일기 1~3" 돌베개 2017
15 김혜정, "설문대할망 설화의 전승 양상과 신적 성격 -마고할미 설화와 비교를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63) : 93-126, 2019
16 박종성, "비교신화의 관점에서 본 설문대할망" 한국구비문학회 (31) : 235-268, 2010
17 장한결, "부도지 이야기" 좋은땅 2019
18 박제상, "부도지" 한문화 2012
19 지승, "부도와 한단의 이야기" 대원출판사 1996
20 조현설, "마고할미 신화 연구" 민속원 2013
21 金慧瀞, "마고설화의 재신화화 양상 고찰-山神的 특성을 중심으로" 185-203, 2010
22 강민경, "도교적 상상력의 현대적 활용 가능성 고찰 -마고할미를 중심으로-" 한국도교문화학회 (28) : 37-56, 2008
23 석상순, "구비설화를 통해 본 ‘마고’의 원형" 국학연구원 14 : 125-176, 2013
24 李德懋, "靑莊館全書, 韓國文集叢刊 257~259"
25 成大中, "靑城雜記, 韓國文集叢刊 248"
26 金正喜, "阮堂全集, 韓國文集叢刊 301"
27 申欽, "象村集, 韓國文集叢刊 71~72"
28 成俔, "虛白堂集, 韓國文集叢刊 14"
29 朴趾源, "燕巖集, 韓國文集叢刊 252."
30 崔致遠, "桂苑筆耕, 韓國文集叢刊 1"
31 權好文, "松巖集, 韓國文集叢刊 41"
32 李瀷, "星湖全集, 韓國文集叢刊 198~200"
33 柳夢寅, "於于野談" 돌베개 2006
34 許筠, "惺所覆瓿藁, 韓國文集叢刊 74"
35 徐居正, "四佳集, 韓國文集叢刊 10~11"
36 李塏, "六先生遺稿" 민족문화추진회 1999
37 강민경, "『太平廣記』의 국내 유입과 그 영향 -遊仙詩를 중심으로-" 동방한문학회 (66) : 309-341, 2016
38 김태영, "<숙향전>에 나타난 마고할미의 역할과 그 의미-<이대봉전>의 마고할미와의 대조를 중심으로"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3 : 7-36,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