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네트형 게임의 실행 경험과 교육적 의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622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네트형 게임수업 개선을 위해 전술게임수업모형(Tactical Games Approach)을 적용하여 수업 을 계획하고 실행한 교사의 경험과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자를 비롯한 연구 참여자는 맑음초등학교 5학년 학생으로 2018년 23명(남: 10명, 여13명), 2019년 23명(남: 14명, 여: 9명)이며, 총 8명의 주제보자를 선정했다. 주요 자료는 인터뷰, 관찰, 문서자료 등 3단계에 걸쳐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 로 Spradley(2003)의 영역 분석과 분류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는 교사의 수업 실행 경험 측면과 학생의 교육 적 의미 측면을 드러냈다. 첫째, 교사의 경험 측면은 ‘랠리 유지를 위한 협동게임 도입’, ‘전술의 계열성 확보를 위 한 게임도입’ 등 2가지로 범주화가 이루어졌다. 둘째, 학생의 경험 측면에서는 ‘자연스러운 규칙의 이해’, ‘빈 공간 공략하기’, ‘베이스 포지션의 이해와 적용’ 등 3가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참여자와 연구영 역의 범위를 다양하게 적용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네트형 게임수업 개선을 위해 전술게임수업모형(Tactical Games Approach)을 적용하여 수업 을 계획하고 실행한 교사의 경험과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

      본 연구의 목적은 네트형 게임수업 개선을 위해 전술게임수업모형(Tactical Games Approach)을 적용하여 수업 을 계획하고 실행한 교사의 경험과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자를 비롯한 연구 참여자는 맑음초등학교 5학년 학생으로 2018년 23명(남: 10명, 여13명), 2019년 23명(남: 14명, 여: 9명)이며, 총 8명의 주제보자를 선정했다. 주요 자료는 인터뷰, 관찰, 문서자료 등 3단계에 걸쳐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 로 Spradley(2003)의 영역 분석과 분류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는 교사의 수업 실행 경험 측면과 학생의 교육 적 의미 측면을 드러냈다. 첫째, 교사의 경험 측면은 ‘랠리 유지를 위한 협동게임 도입’, ‘전술의 계열성 확보를 위 한 게임도입’ 등 2가지로 범주화가 이루어졌다. 둘째, 학생의 경험 측면에서는 ‘자연스러운 규칙의 이해’, ‘빈 공간 공략하기’, ‘베이스 포지션의 이해와 적용’ 등 3가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참여자와 연구영 역의 범위를 다양하게 적용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ementing experience of net-type games in elementary school using the Tactical Games Approach. The study participants were 5th grade(n=46) students in Malguem Elementary School. A total of eight main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expressing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selecting students who wrote consent form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interviews, observations,, and documents.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procedure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revealed by the teacher's experience and the student's educational meaning. In the efforts of the bridge to connect the tactics, which is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experience, two themes were emerged: ‘applying cooperative game strategy for maintain rally’ and ‘tactical sequence-based game.’ For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transition of knowledge, three themes were emerged: ‘recognition of natural rules’, ‘targeting open space’, and ‘understanding of base positions.’ Further research topics regarding the tactical games approach were sugges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ementing experience of net-type games in elementary school using the Tactical Games Approach. The study participants were 5th grade(n=46) students in Malguem Elementary School. A total of eight main 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lementing experience of net-type games in elementary school using the Tactical Games Approach. The study participants were 5th grade(n=46) students in Malguem Elementary School. A total of eight main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expressing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selecting students who wrote consent form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interviews, observations,, and documents.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procedure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revealed by the teacher's experience and the student's educational meaning. In the efforts of the bridge to connect the tactics, which is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experience, two themes were emerged: ‘applying cooperative game strategy for maintain rally’ and ‘tactical sequence-based game.’ For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transition of knowledge, three themes were emerged: ‘recognition of natural rules’, ‘targeting open space’, and ‘understanding of base positions.’ Further research topics regarding the tactical games approach were sugges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1. 연구절차
      • 2. 연구 현장의 이해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1. 연구절차
      • 2. 연구 현장의 이해
      • 3. 연구참여자
      • 4. 자료 수집
      • 5. 자료 분석 및 진실성
      • Ⅲ. 전술게임수업모형을 적용한 네트형 게임수업의 실행
      • 1. 샘플링을 통한 게임의 초점 설정
      • 2. 전술적 복잡성과 수준 설정을 통한 학습 범위와 계열성 확보
      • 3. 전술적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게임변형
      • 4. 전술게임수업의 특징을 반영한 수업설계
      • Ⅳ. 네트형 게임수업 실행의 의미
      • 1. 전술적 안목 형성을 위한 교사의 노력
      • 2. ‘전이(transfer)’를 경험한 아이들
      • Ⅴ. 요약 및 제언
      • 1. 요약
      • 2.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