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장애학생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 조사 = A Survey on the Demand and Awareness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Cultural Ar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982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on the demand and aware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cultural ar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articipations in this study was 213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9 special school in KyoungNam province. The 228 questionnaires was distributed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219(98%) questionnaires was collected. The finally was used as the 213 questionnaires except that of inadequate questionnaire data. In order to examine the demand and awareness in the data collected, subjected to chi-square test and t-test(verification), frequency analysis, a post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to verify scheff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awareness the culture arts education should be done in an integrated and good to perform since kindergarten and helping to develop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artistic talent enhancement, emotional‧cognitive‧physical and fostering arts professionals. Second, it was that culture arts education is an important reason for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stability. And important measures of the cultural arts education in a special school was the recognition of cultural arts education of teachers. Individual motivations for creative thinking development and expression skills development training was the main content of cultural art education. Training was to present information in an integrated rather than separated training areas and the future development and a variety of program development and deployment was revealed sui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on the demand and aware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cultural ar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articipations in this study was 213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9 special school in Kyou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on the demand and awarenes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cultural ar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articipations in this study was 213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9 special school in KyoungNam province. The 228 questionnaires was distributed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219(98%) questionnaires was collected. The finally was used as the 213 questionnaires except that of inadequate questionnaire data. In order to examine the demand and awareness in the data collected, subjected to chi-square test and t-test(verification), frequency analysis, a post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to verify scheff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awareness the culture arts education should be done in an integrated and good to perform since kindergarten and helping to develop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artistic talent enhancement, emotional‧cognitive‧physical and fostering arts professionals. Second, it was that culture arts education is an important reason for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stability. And important measures of the cultural arts education in a special school was the recognition of cultural arts education of teachers. Individual motivations for creative thinking development and expression skills development training was the main content of cultural art education. Training was to present information in an integrated rather than separated training areas and the future development and a variety of program development and deployment was revealed suit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남 소재 9개 특수학교 재직 중인 특수교사 213명이다.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228부의 설문지를 배부한 결과 219부(98%)가 회수되었으며 그 가운데 자료로 부적절한 설문지를 제외한 213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에서 인식과 요구를 살펴보기 위하여 𝑥(Chi-square) 검증과 t-test(검증),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는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특수교사가 문화예술교육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유치부 때부터 실시하는 것이 좋고, 장애학생 발달과 예술적 소질 향상, 정서적‧인지적‧신체적 측면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예술전문인으로 육성하도록 이끌 수 있음을 인식하였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이 중요한 이유는 감성발달 및 정서적 안정이라고 하였으며, 중요활동은 음악, 미술, 무용 순이었다. 교사와 문화예술교육 전문강사가 문화예술교육을 담당해야하며, 특수학교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중요 방안은 교사들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이며, 창의적 사고 개발을 위한 개인별 동기 유발 및 표현능력 개발교육이 문화예술교육의 주 내용으로 나타났다. 필요한 연수내용은 현장 활용방안으로 연수영역은 장르를 구분하지 않고 통합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며, 향후 발전을 위해서는 장애학생에게 적합하고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으로 드러남으로써 장애학생에게 문화예술교육은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남 소재 9개 특수학교 재직 중인 특수교사 213명이다.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228...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남 소재 9개 특수학교 재직 중인 특수교사 213명이다.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228부의 설문지를 배부한 결과 219부(98%)가 회수되었으며 그 가운데 자료로 부적절한 설문지를 제외한 213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에서 인식과 요구를 살펴보기 위하여 𝑥(Chi-square) 검증과 t-test(검증),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는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특수교사가 문화예술교육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유치부 때부터 실시하는 것이 좋고, 장애학생 발달과 예술적 소질 향상, 정서적‧인지적‧신체적 측면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예술전문인으로 육성하도록 이끌 수 있음을 인식하였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이 중요한 이유는 감성발달 및 정서적 안정이라고 하였으며, 중요활동은 음악, 미술, 무용 순이었다. 교사와 문화예술교육 전문강사가 문화예술교육을 담당해야하며, 특수학교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중요 방안은 교사들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이며, 창의적 사고 개발을 위한 개인별 동기 유발 및 표현능력 개발교육이 문화예술교육의 주 내용으로 나타났다. 필요한 연수내용은 현장 활용방안으로 연수영역은 장르를 구분하지 않고 통합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며, 향후 발전을 위해서는 장애학생에게 적합하고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으로 드러남으로써 장애학생에게 문화예술교육은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영심, "특수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 실태와 교사의 인식" 한국발달장애학회 15 (15): 113-134, 2011

      2 정갑영, "초등생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0

      3 교육과학기술부, "초 중등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5

      4 나희정, "청각장애 중학교 음악교과 운영과 학생들의 음악활동 실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173-206, 2011

      5 이승환, "지체부자유학교 중학부 미술교과 감상교육의 실태 및 개선 방안"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6 김가영, "지체부자유 학교의 음악교과에 관한 영역별 운영 실태 분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7 김경애,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문화 예술 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요구 조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6 (16): 111-127, 2012

      8 황현숙, "정신지체 특수학교 음악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3 (3): 51-76, 2010

      9 김경애, "정신지체 특수학교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 조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31-156, 2012

      10 이필상, "장애학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소고"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 (1): 125-147, 2010

      1 강영심, "특수학교 예술강사지원사업 실태와 교사의 인식" 한국발달장애학회 15 (15): 113-134, 2011

      2 정갑영, "초등생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0

      3 교육과학기술부, "초 중등학교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5

      4 나희정, "청각장애 중학교 음악교과 운영과 학생들의 음악활동 실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173-206, 2011

      5 이승환, "지체부자유학교 중학부 미술교과 감상교육의 실태 및 개선 방안"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6 김가영, "지체부자유 학교의 음악교과에 관한 영역별 운영 실태 분석"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7 김경애,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문화 예술 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요구 조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6 (16): 111-127, 2012

      8 황현숙, "정신지체 특수학교 음악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3 (3): 51-76, 2010

      9 김경애, "정신지체 특수학교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요구 조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31-156, 2012

      10 이필상, "장애학생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소고"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1 (1): 125-147, 2010

      11 한지혜, "유아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 양성방안" 20 : 277-295, 2007

      1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강사지원사업 학교 선정 및 강사 배치결과"

      13 최성철,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도 조사"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0

      14 이해균, "시각장애학교 미술교육의 실태 분석" 17 (17): 85-105, 2001

      15 정진영, "수화무용이 자아개념과 농문화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적 연구" 4 (4): 99-120, 2002

      16 한지혜, "보육시설의 문화예술교육 및 교사연수에 대한 실태, 인식 및 요구도"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195-228, 2008

      17 홍후조, "방과 후 학교의 교육활동 만족도 분석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5

      18 김경화, "방과 후 학교 실태분석과 발전과제 : 학부모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7 (17): 241-262, 2010

      19 박화문, "발달장애아의 감각통합훈련 프로그램" 35 : 445-462, 2000

      20 오세곤, "문화정책에서 예술강사 육성지원의 전망과 과제" 2 : 257-261, 2009

      21 이동연, "문화예술정책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제안"

      22 김이정, "무용예술강사 수업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만족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3 서한범, "국악분야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현황과 진단" 2 : 235-244, 2009

      24 오지향, "국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현황 및 분석-학교 문화예술교육 관점에서" 민족음악학회 (40) : 205-234, 2010

      25 이신아, "공립 유치원 교사들의 문화예술 및 무용교육에 관한 인식도와 요구도 연구 : 대구지역중심으로"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6 Nicholson, H. J., "Youth as people : The protective aspects of youth development in after-school settings" 591 : 55-71, 2004

      27 Duncum, P, "Visual Culture Arts Education : Why, What and How" 21 (21): 14-23, 2002

      28 Land, D. H., "Visual Arts and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exas Tech University 1998

      29 Clawson, H., "The Youth ARTS development project: Juvenile justice bulletin" 2001

      30 Howell, J., "Preventing and reducing juvenile delinquency" Sage 2003

      31 Reyhner, J., "Honoring Our Heritage:Culturally Appropriate Approaches For Teaching Indigenous Students" NORTHERN ARIZONA UNIVERSITY 2011

      32 Butts, J., "Focusing juvenile juvenile justice on positive youth development(Issue Brief No. 105)"

      33 Eglinton, K. A., "Art in the early years" Routledge Falmer 2003

      34 교육과학기술부, "2008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

      35 문화관광부, "2006 문화예술교육 정책백서" 문화관광부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발달장애학회지 -> 발달장애연구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0.98 1.17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