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구려 고분 안악 3호분 힐자계 두발의 조형적 양식 분석 및 재현 = Analysis and Reproduction of the Formative Style of the Head of Goguryeo tomb Anak No. 3 Hil-ja-gy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042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reproduce the style of the hil-ja-gye from the Goguryeo woman's hair style that appeared on the wall of the Goguryeo tomb in the 4th and 7th centuries. The research method analyzed the style of Goguryeo tomb...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reproduce the style of the hil-ja-gye from the Goguryeo woman's hair style that appeared on the wall of the Goguryeo tomb in the 4th and 7th centuries. The research method analyzed the style of Goguryeo tomb Anak No.3 Hilja- gye through literature review.Statistical data on the human body dimensions of modern Koreans were used to derive an analysis result of an average head circumference of 55 cm and a width of 15 cm for adult women., Based on this, a hil-ja-gye drawing was completed based on the data analyzed using 3D CAD program SOLID WORK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il-ja-gye hair style was restructured by shaping the values of the frame of 20 cm in base diameter, 15 cm in upper diameter, 38 cm in height, 30° in column angle, 57 cm in width, and 50 cm in length.This figure was normalized to recreate the hil-ja-gye for Anak No. 3.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cultural performance contents such as historical dramas, dramas, and musicals based on Goguryeo.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순, "안악 3호분 여성 머리모양의 재현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학회 19 (19): 111-122, 2016

      2 안진영, "안악 3호분 고분벽화에 나타난 머리모양 분석 및 재현" 성결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1

      3 임린, "삼국시대 여자 머리장신구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 16 (16): 698-705, 2014

      4 이승미, "복식과 전통 머리의 美" 솔 과학 98-99, 2019

      5 박정근, "공연콘텐츠 소재 개발을 위한 문화원형 활용사례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5

      6 류지원, "고구려고분 벽화에 나타난 두식의 조형양식" 6 (6): 583-596, 2000

      7 유호선, "고구려 안악 3호분 벽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8 서승호, "고구려 벽화를 통해 본 한민족의 삶과 사상"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09

      9 조나희, "고구려 무용총 벽화에 나타난 가무배송도의 구성과 춤의 특징 분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0 김민선, "고구려 머리모양과 관모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11 김연수, "고구려 고분벽화의 성별분류와 여성두식 연구" 고구려발해학회 53 : 121-157, 2015

      12 황용순, "고구려 고분벽화와 중국 고분벽화와의 관계" 선문대학교 대학원 2007

      13 김지윤,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여인들의 머리모양에 관한 연구 : TV 드라마 '연개소문'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14 신지현,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얼굴의 특징과 화장" 10 (10): 123-132, 2004

      15 김효영, "계측 데이터에 의한 고구려 여인들의 머리 형태 연구" 영산대학교 대학원 2015

      16 이향숙, "高句麗 古墳壁畵에 나타난 헤어스타일 分析과 일러스트레이션" 한국미용학회 15 (15): 1519-1536, 2009

      17 "https://www.solidworks.com/ko/category/3d-cad"

      18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46753&cid=46671&categoryId=46671"

      19 "https://namu.wiki/w/SolidWorks"

      20 "https://ko.wikipedia.org/wiki/안악3호분"

      21 "http://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content_id=cp041300940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3-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nal of Korean Beauty Society ->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7 0.63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