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Lipoxygenase 결핍 콩 된장의 급이가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성 흰쥐의 체내 지질 개선 및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370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Lipoxygenase(LOX) 결핍 콩(05C4 및 LS, LOX2,3-free)과 일반콩(태광, LOX1,2,3-present)으로 제조된 된장의 급이가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성 흰쥐의 체내 지질성분 및 항산화 효소계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

      Lipoxygenase(LOX) 결핍 콩(05C4 및 LS, LOX2,3-free)과 일반콩(태광, LOX1,2,3-present)으로 제조된 된장의 급이가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성 흰쥐의 체내 지질성분 및 항산화 효소계에 미치는 영 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SD계 흰쥐는 정상군, 고지방-콜레스테롤 급이군(HFC),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5% 된장 분말 급이군[HFC+D1, 태광된장; HFC+D2, 05C4된장; HFC+D3, LS된장)으로 구분하여 5주간 사육되었다. In vitro에서 된장의 콜레스테롤 흡착활성은 4mg/mL 농도에서 LS된장이 태광된장 에 비해 1.5배 높았다. 식이효율은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LS된장 급이군 (HFC+D3)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Rö hrer 및 T.M.지수와 체지방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된장 급이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특히 Lee지수 및 BMI는 LOX 결핍콩 된장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청 총 지질 및 중성지방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된장 급이군 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총 콜레스테롤, HDL-, LDL-콜레스테롤 및 심혈관질환 위험지수는 LS 된장 급이군만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혈청 AST 및 ALT 활성은 HFC+D1 및 HFC+D2간에는 유의차 가 없었고, HFC+D3은 HFC+D1 및 HFC+D2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간 조직에서 총 지 질 함량은 HFC+D3이 대조군에 비해 약 25.2%의 감소되었으며(p<0.05),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HFC+D2 및 HFC+D3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분변 중의 중성지방 함량은 된 장 급이군 모두 대조군에 비해 26.2~40.3%의 증가를 보였으며(p<0.05),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LS된장 급이군만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간 조직 중 SOD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05C4 및 LS된장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atalase 및 GSH-px 활성은 된장 급이군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UDPGT 활성은 된장의 급이 시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증가되었으며, 특히 LS된장 급 이군은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LOX 결핍 콩으로 제조된 된장은 체내 지질 개선 및 항비만 활성에 긍정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ffects of Doenjang made with lipoxygenase(LOX)-free genotype soybean on the lipids profiles and hepatic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rats fed high fat-cholesterol diet were investigated. Sprague-Dawley rats divided into five groups for 5 weeks; n...

      Effects of Doenjang made with lipoxygenase(LOX)-free genotype soybean on the lipids profiles and hepatic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rats fed high fat-cholesterol diet were investigated. Sprague-Dawley rats divided into five groups for 5 weeks; normal diet(Normal), high fat-cholesterol diet(HFC), and high fat-cholesterol diet containing 5% of Doenjang powder(HFC+D1, Taekwang Doenjang; HFC+D2, 05C4 Doenjang; HFC+D3, LS Doenjang). In vitro, activity of the cholesterol adsorption in the LS Doenjang exhibited 1.5-fold increases than Taekwang Doenjang in 4mg/mL concentration. The food efficiency ratio(FER) of the HFC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normal, only HFC+D3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HFC. Röhrer, T.M. index and body fat content in all groups fed Doenjang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o HFC, especially Lee index and BMI value in groups fed LOX-free soybean Doenjang were significantly reduced. Serum total lipids and triglyceride level significantly reduced with all groups fed Doenjang, whereas HFC+D3 was markedly decreased serum total cholesterol, HDL-, LDL-cholesterol level and CRF value compared to HFC(p<0.05). There was no differences in serum AST and ALT activities between HFC+D1 and HFC+D2, HFC+D3 was significantly lower to that of the HFC+D1 and HFC+D2. Content of hepatic total lipids in the HFC+D3 was decreased to 25.2% to HFC(p<0.05), contents of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in HFC+D2 and HFC+D3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HFC. Fecal triglyceride content in all groups fed Doenjang was increased to 26.2~40.3%(p<0.05) to HFC, but total cholesterol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nly HFC+D3 compared to HFC. Hepatic SOD activity was higher significantly in the HFC+D2 and HFC+D3 compared to HFC, catalase and GSH-px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groups fed Doenjang. UDPGT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up to that of the Normal group, especially HFC+D3 was higher significantly to Normal.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Doenjang made from LOX-free soybean may exert positively to the lipid improvement in vivo and prevent obes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재료 및 방법
      • 1 실험재료
      • 2 된장 추출물의 콜레스테롤 흡착활성 측정
      • 3 실험동물의 사육조건, 식이 조성 및 실험동물의처리
      • 서론
      • 재료 및 방법
      • 1 실험재료
      • 2 된장 추출물의 콜레스테롤 흡착활성 측정
      • 3 실험동물의 사육조건, 식이 조성 및 실험동물의처리
      • 4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및 체중 측정
      • 5 비만도 측정
      • 6 혈액 성분 분석
      • 7 혈중 AST 및 ALT 활성도 측정
      • 8 간 조직 및 분변 중 지질 성분 분석
      • 9 간 조직의 항산화효소 활성 측정
      • 10 간 조직의 uridin-diphosphoglucuronyl transferase(UDPGT) 활성 측정
      • 11 통계분석
      • 결과 및 고찰
      • 1 된장의 콜레스테롤 흡착활성
      • 2 체중 변화 및 식이효율
      • 3 비만도 평가
      • 4 혈중 지질 조성
      • 5 AST 및 ALT 활성
      • 6 간 조직 및 분변 중의 지질 함량
      • 7 간 조직 중의 항산화효소 활성
      • 8 간 조직 중의 UDPGT 활성
      • 감사의 글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정, "홍마늘 복합물이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성 흰쥐의 분변 지질 함량 및 간 조직의 항산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17-25, 2013

      2 윤원중, "혼합콩으로 제조한 전통된장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1 (21): 375-384, 2011

      3 문갑순, "콩 삶은 물을 첨가한 청국장 제조시 항산화활성 및 관련 성분들의 변화"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1 (21): 163-170, 2005

      4 김아라, "청국장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흰쥐에서 체중감소 및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688-697, 2010

      5 김창순, "청국장과 된장의 항산화 효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1503-1510, 2007

      6 박건영, "전통 장류의 체중감소 및 지질저하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1194-1999, 2006

      7 이학태, "작두콩 첨가 된장과 일반 된장의 생리활성 특성 비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4 (24): 94-101, 2009

      8 이재준, "대두와 된장분말이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콜레스테롤 농도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과학회 20 (20): 1134-1142, 2010

      9 한윤희, "대두단백가수분해물이 흰쥐의 지질대사와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41 (41): 119-126, 2008

      10 이재준, "대두, 청국장 및 된장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콜레스테롤 함량 및 체중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226-235, 2011

      1 이수정, "홍마늘 복합물이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성 흰쥐의 분변 지질 함량 및 간 조직의 항산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17-25, 2013

      2 윤원중, "혼합콩으로 제조한 전통된장의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1 (21): 375-384, 2011

      3 문갑순, "콩 삶은 물을 첨가한 청국장 제조시 항산화활성 및 관련 성분들의 변화"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1 (21): 163-170, 2005

      4 김아라, "청국장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흰쥐에서 체중감소 및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7 (17): 688-697, 2010

      5 김창순, "청국장과 된장의 항산화 효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1503-1510, 2007

      6 박건영, "전통 장류의 체중감소 및 지질저하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1194-1999, 2006

      7 이학태, "작두콩 첨가 된장과 일반 된장의 생리활성 특성 비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4 (24): 94-101, 2009

      8 이재준, "대두와 된장분말이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콜레스테롤 농도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과학회 20 (20): 1134-1142, 2010

      9 한윤희, "대두단백가수분해물이 흰쥐의 지질대사와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41 (41): 119-126, 2008

      10 이재준, "대두, 청국장 및 된장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콜레스테롤 함량 및 체중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8 (18): 226-235, 2011

      11 안준배, "국내 시판된장 및 재래된장의 품질 및 항산화 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5 (25): 142-148, 2012

      12 최미경, "구기엽 에탄올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 유도 비만쥐의 비만과 혈중 생화학적 지표 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1707-1711, 2009

      13 김수연,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흰쥐에서 이소플라본 보충이 혈청 지질패턴 및 항산화체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과학회 20 (20): 1683-1690, 2010

      14 임애경, "고지혈증 흰쥐에서 비배당체 이소플라본 고함유 대두분말의 혈청 지질 대사 영향과 항산화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302-308, 2008

      15 고진복, "고지혈증 흰쥐에 청국장 및 상황버섯 청국장이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410-415, 2006

      16 강상모, "고지혈증 유발 흰쥐에 있어서 생식의 건강개선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906-912, 2003

      17 장영선,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쥐에서 식물혼합 추출물의 체지방 형성 및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439-1445, 2010

      18 이수정, "고지방-콜레스테롤 식이성 흰쥐에서 홍마늘 복합물의 항비만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2 (22): 671-680, 2012

      19 Abei H, "Vol 2.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Academic Press, Inc. 673-684, 1974

      20 Lee SK, "The study on isolation of fibrinolytic bacteria from soybean paste" 42 : 6-11, 1999

      21 Potter SM, "Soy protein and serum lipids" 7 : 260-264, 1996

      22 Lowry OH, "Protein measurement with folin phenol reagent" 193 : 265-275, 1951

      23 Cassidy A, "Physiological effects of phytoestrogens in relation cancer and other human health risks" 55 : 399-417, 1996

      24 Potter SM, "Overview of proposed mechanism for the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soy" 125 : 606S-611S, 1995

      25 Haidar YM, "Obesity epidemiology" 24 : 205-210, 2011

      26 Flohe L, "Methods Enzymology" Academic Press, Inc. 114-121, 1984

      27 황초롱, "Lipoxygenase와 Kunitz Trypsin Inhibitor 단백질 결핍콩으로 제조한 간장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6 (46): 111-125, 2012

      28 이수정, "Lipoxygenase 결핍콩으로 제조한 된장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5 (45): 35-43, 2016

      29 이수정, "Lipoxygenase 결핍된 Non-GM콩의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1629-1637, 2013

      30 김인성, "Lipoxygenase 결여 콩 두부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1 (21): 215-223, 2014

      31 이수정, "Lipoxygenase 결여 콩 두부가 고지방-콜레스테롤식이성 흰쥐의 분변 지질 함량 및 간 조직의 항산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9 (49): 175-188, 2015

      32 Hildebrand DF, "Lipoxygenase" 76 : 249-253, 1989

      33 Sung JH, "Isoflavones found in Korean soybean paste as 3-hydroxy-3-methylglutaryl coenzyme A reductase inhibitors" 68 : 1051-1058, 2004

      34 Marklund S,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47 : 469-474, 1974

      35 Frings CS, "Improved determination of total serum lipids by the sulfophospho-vanillin reaction" 18 : 763-764, 1972

      36 Lee BK, "Immunomodulators extracted from Koreanstyle fermented soybean paste and their function. 1. Isolation of B cell mitogen from Korean-style fermented soybean paste" 19 : 559-570, 1997

      37 Kim SH, "Evaluation of taste compounds in water-soluble extract of Doenjang (soybean paste)" 83 : 339-342, 2003

      38 Friedewald WT,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efuge" 18 : 499-502, 1972

      39 이수정, "Effects of the Red Garlic Extract for Anti-Obesity and Hypolipidemic in Obese Rats Induced High Fat Diet" 한국생명과학회 21 (21): 211-220, 2011

      40 Kim BN, "Effects of spice added natto supplementation on the lipid metabolism in rats" 24 : 121-126, 1995

      41 Lee HS, "Effects of soybean germ on the lipid composition of serum in cholesterol fed rats." 13 : 312-318, 2000

      42 Kim JD, "Effects of meju powder supplementation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ypercholesterolemic diet" 26 : 314-318, 1997

      43 Kim HS, "Effects of dietary zinc and iron levels on serum trace minerals and obesity index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rats" 30 : 325-330, 2001

      44 Lee IK,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Korean soybean paste(Doenjang) on the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 fat and/or a high cholesterol diet" 38 : 282-305, 2002

      45 Reinke LA, "Diminished rats of glucuronidation and sulfation in perfused rat liver after chronic ethanol administration" 35 : 439-447, 1986

      46 Kang HJ, "Dietary fiber and cholesterol metabolism" 26 : 358-369, 1997

      47 Scragg I, "Congenital jaundice in rats due to the absence of hepatic bilirubin UDP-glucuronyl transferase enzyme protein" 183 : 37-42, 1985

      48 Choi YS,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soybean products(curd or curd residue) in rats" 22 : 673-677, 1993

      49 Kim DK, "Characteristics of crude lipoxygenase in Chinese cabbages" 29 : 710-715, 1997

      50 Park KY, "Antimutagenic effect of Doenjang (Korean fermented soy paste) toward aflatoxin B1" 19 : 156-162, 1990

      51 Yoon HT,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in serum of rats feeding soybean extract" 50 : 136-140, 2005

      52 Sam-Pin Lee, "A New In Vitro Assay of Cholesterol Adsorption by Food and Microbial Polysaccharides" 한국식품영양과학회 6 (6): 225-230,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KCI등재
      2012-04-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581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