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신-인 소외로 인한 억압으로부터의 상호해방 : 헤겔 '화해' 개념의 현대적 재구성을 통하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2956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reflect on today’s anti-religious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ory of Divine-Human Relation explained in Hegel’s philosophy and to lay a new foundation for a theoretical and practical possibility in philosophy of religion to realize the authentic religious idea,
      The two greatest contradictions appearing in the religion of our Times are the tendency of idolatry in which religious representations or religious symbols take the place of God and the tendency of religious blindness through which religion, originally intended for human liberation, becomes a tool to enslave human being. After the declaration of Kant’s philosophy which announces the intellectual severance of God and human being, the religious culture of the Enlightenment is split or differentiated into two opposite poles. The first is the secular (atheistic) trend which no longer seeks intellectual reconciliation between God and human being and vows to relate only to the physical realm which it can intellectually engage with. The second is the religious (theistic) trend which seeks alternative forms of faith to continue the divine-human relation. This religious trend is also divided into ‘subjective Religion’ which seeks the union with God in subjective emotion, not objective intellect and ‘positive Religion’ which mistakenly serves religious symbols or representations as God.
      However, subjective religion which anthropomorphizes God falls into idolatry in which human emotion arbitrarily distorts God (the distortion of God by human) and positive religion where human submission to religious representation creates blind faith that enslaves human freedom (the enslavement of man by God). These two ways of unification do not create a tension relation where freedom and truth are intersubjective. They rather produce a relation of unilateral domination or submission in which man dominates God arbitrarily (the negation of God by human) and God oppresses man forcefully (the negation of human by God). The anti-religious phenomena which modern philosophy of religion is problematizing and fighting fiercely to eliminate all kinds of distortion and oppression and to recover the authentic idea of Christianity are the idolatry derived from subjective religion and the blind faith derived from positive religion. If it is true to affirm that going beyond blind faith toward reflective faith though doubt and inquiry is what the life of human Jesus tried to demonstrate as the authentic idea of Christianity and if it is the mission of philosophy of religion to recover this life of Jesus here and now through our living, then the most genuine task of philosophy of religion is to critically reflect on ‘idolatry’ and ‘blind faith’, the two sources of every religious absurdity.
      In this sense, the Title of this study is ‘mutual liberation from the oppression caused by Divine-Human Alienation.’ Here, ‘Divine-Human Alienation’ means the relation through which religious idolatry produced by human’s self-absolutization distorts the authenticity of God and blind submission to religious representation enslaves human freedom. ‘Oppression’ means the very religious reality triggered by the contradiction found in the religious relation described above. The subject matter corresponds to the concluding declaration of this study which maintains that freedom which makes God true and truth which makes human free are the two genuine ideas of Christianity. This can be also considered as a new principle of reconciliation for mutual liberation of God and human being. To explain and justify the ground of this declaration is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paper. It is also the philosophical process this study has to faithfully demonstrate.
      Among all the thought projects in philosophy of religion beneficial to this aim, our study has chosen the philosophy of Hegel, especially his approach taken in ‘the theory of Divine-Human Reconciliation’ as our key. If theology is human’s questioning about God and the questioning comes from the urgent demands of human life, the essence of theology must be the perception of God and the essence of perceiving God must be the perception of Divine-Human Relation. Another reason why Divine-Human relation is the core matter in philosophy of religion is that it is absolutely crucial in determining how an idea of religion and a form of faith mutually shape each other. For example, if the ideal Divine-Human Relation should be that of separation, God will be regarded as the wholly Other completely unapproachable to human being. Since human being cannot be unified with such a transcendent being, human being will consider the blind enslavement to God as the greatest achievement of faith. On the contrary, if the ideal Divine-Human Relation should be that of absolute reconciliation, God will be regarded as the agent of love who tries to communicate with humans unceasingly and humans will consider being born again to be the free divine agents in the reconciliation as the greatest achievement of faith. Therefore, Divine-Human Relation is not only crucial in determining a form of faith but it is also the ultimate standard by which a form of religion is judged.
      The reason why this study revisits Hegel’s thought to criticize today’s religion and engage in faith reflection is that the religious and philosophical problems which Hegel struggled with share the homeogenous source with our problems. Hegel thought the philosophical demand of his age had its root first in the vulgar secularity, produced by the severance in Divine-Human Relation and secondly in the painful differentiation within life, caused by oppositions and contradictions from empty religiosity. Hegel considered the ultimate task of his philosophy to be the construction of a system of science through which every human being can be intellectually reconciled with God. This study will utilize Hegel’s philosophy which has its own unique historical background as our philosophical mirror to critically reflect on our times’ anti-religious culture. It will definitely guide our pursuit to find a new alternative way of thought to overcome both the religious culture based on agnosticism toward the possibility of perceiving God and various forms of dogmatism found in religious fundamentalism which are also reactions to the agnosticism. This study additionally aims to rediscover the radical nature of Hegel’s thought and its insightful contributions to the formation of modern philosophy of religion by reinterpreting and restructuring his philosophy through using ‘Divine-Human Relation’ as our major hermeneutic tool.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reflect on today’s anti-religious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ory of Divine-Human Relation explained in Hegel’s philosophy and to lay a new foundation for a theoretical and practical possibility in philosophy o...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reflect on today’s anti-religious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ory of Divine-Human Relation explained in Hegel’s philosophy and to lay a new foundation for a theoretical and practical possibility in philosophy of religion to realize the authentic religious idea,
      The two greatest contradictions appearing in the religion of our Times are the tendency of idolatry in which religious representations or religious symbols take the place of God and the tendency of religious blindness through which religion, originally intended for human liberation, becomes a tool to enslave human being. After the declaration of Kant’s philosophy which announces the intellectual severance of God and human being, the religious culture of the Enlightenment is split or differentiated into two opposite poles. The first is the secular (atheistic) trend which no longer seeks intellectual reconciliation between God and human being and vows to relate only to the physical realm which it can intellectually engage with. The second is the religious (theistic) trend which seeks alternative forms of faith to continue the divine-human relation. This religious trend is also divided into ‘subjective Religion’ which seeks the union with God in subjective emotion, not objective intellect and ‘positive Religion’ which mistakenly serves religious symbols or representations as God.
      However, subjective religion which anthropomorphizes God falls into idolatry in which human emotion arbitrarily distorts God (the distortion of God by human) and positive religion where human submission to religious representation creates blind faith that enslaves human freedom (the enslavement of man by God). These two ways of unification do not create a tension relation where freedom and truth are intersubjective. They rather produce a relation of unilateral domination or submission in which man dominates God arbitrarily (the negation of God by human) and God oppresses man forcefully (the negation of human by God). The anti-religious phenomena which modern philosophy of religion is problematizing and fighting fiercely to eliminate all kinds of distortion and oppression and to recover the authentic idea of Christianity are the idolatry derived from subjective religion and the blind faith derived from positive religion. If it is true to affirm that going beyond blind faith toward reflective faith though doubt and inquiry is what the life of human Jesus tried to demonstrate as the authentic idea of Christianity and if it is the mission of philosophy of religion to recover this life of Jesus here and now through our living, then the most genuine task of philosophy of religion is to critically reflect on ‘idolatry’ and ‘blind faith’, the two sources of every religious absurdity.
      In this sense, the Title of this study is ‘mutual liberation from the oppression caused by Divine-Human Alienation.’ Here, ‘Divine-Human Alienation’ means the relation through which religious idolatry produced by human’s self-absolutization distorts the authenticity of God and blind submission to religious representation enslaves human freedom. ‘Oppression’ means the very religious reality triggered by the contradiction found in the religious relation described above. The subject matter corresponds to the concluding declaration of this study which maintains that freedom which makes God true and truth which makes human free are the two genuine ideas of Christianity. This can be also considered as a new principle of reconciliation for mutual liberation of God and human being. To explain and justify the ground of this declaration is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paper. It is also the philosophical process this study has to faithfully demonstrate.
      Among all the thought projects in philosophy of religion beneficial to this aim, our study has chosen the philosophy of Hegel, especially his approach taken in ‘the theory of Divine-Human Reconciliation’ as our key. If theology is human’s questioning about God and the questioning comes from the urgent demands of human life, the essence of theology must be the perception of God and the essence of perceiving God must be the perception of Divine-Human Relation. Another reason why Divine-Human relation is the core matter in philosophy of religion is that it is absolutely crucial in determining how an idea of religion and a form of faith mutually shape each other. For example, if the ideal Divine-Human Relation should be that of separation, God will be regarded as the wholly Other completely unapproachable to human being. Since human being cannot be unified with such a transcendent being, human being will consider the blind enslavement to God as the greatest achievement of faith. On the contrary, if the ideal Divine-Human Relation should be that of absolute reconciliation, God will be regarded as the agent of love who tries to communicate with humans unceasingly and humans will consider being born again to be the free divine agents in the reconciliation as the greatest achievement of faith. Therefore, Divine-Human Relation is not only crucial in determining a form of faith but it is also the ultimate standard by which a form of religion is judged.
      The reason why this study revisits Hegel’s thought to criticize today’s religion and engage in faith reflection is that the religious and philosophical problems which Hegel struggled with share the homeogenous source with our problems. Hegel thought the philosophical demand of his age had its root first in the vulgar secularity, produced by the severance in Divine-Human Relation and secondly in the painful differentiation within life, caused by oppositions and contradictions from empty religiosity. Hegel considered the ultimate task of his philosophy to be the construction of a system of science through which every human being can be intellectually reconciled with God. This study will utilize Hegel’s philosophy which has its own unique historical background as our philosophical mirror to critically reflect on our times’ anti-religious culture. It will definitely guide our pursuit to find a new alternative way of thought to overcome both the religious culture based on agnosticism toward the possibility of perceiving God and various forms of dogmatism found in religious fundamentalism which are also reactions to the agnosticism. This study additionally aims to rediscover the radical nature of Hegel’s thought and its insightful contributions to the formation of modern philosophy of religion by reinterpreting and restructuring his philosophy through using ‘Divine-Human Relation’ as our major hermeneutic too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헤겔 철학에 나타난 ‘신-인 관계론’을 중심으로 오늘날 우리 현실의 반종교적 종교문화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이로부터 진정한 종교적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종교철학의 이론적-실천적 가능성의 토대를 마련해 보는 것이다.
      오늘날 현실종교가 안고 있는 가장 큰 모순이라면 인간의 자유를 위한 종교가 도리어 인간억압의 도구로 전락해 버린 ‘맹목종교’의 경향과 인간의 욕망이 빚은 갖가지 종교적 망상들이 신의 자리를 대신해 버린 ‘우상숭배’의 경향을 들 수 있다. 이 두 가지 종교문화는 계몽주의의 정상에서 일어난 신-인 소외의 문화가 빚어낸 반종교적 종교현상들이다. 신과 인간의 지성적 단절을 선언한 칸트의 비판철학 이후, 계몽주의의 종교문화는 인간이 신을 지성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면, 더는 신과의 지성적 화해를 염원하지 않고 다만 지성이 관여할 수 있는 물질세계와만 관계하겠다는 세속적인 문화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신과의 관계를 이어갈 대안적인 믿음의 형태를 모색하는 반지성적인 종교문화로 분열된다.
      나아가 이러한 종교적인 문화는 또 다시 우리에게 객관적으로 주어진 종교적 표상들을 신 자체로 숭배하는 ‘실정종교(Positive Religion)’와 주관적인 심정 안에서 신과의 합일을 추구하는 ‘주관종교(Subjektive Religion)’로 분열된다. 하지만 인간이 신의 표상들에 복종하는 ‘실정종교’는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는 ‘맹목신앙’을 낳게 마련이며(신에 의한 인간의 억압), 신을 인간의 내면으로 동화하는 ‘주관종교’는 신을 인간의 자의에 따라 왜곡하는 ‘우상숭배’를 낳게 마련이다(인간에 의한 신의 왜곡). 이 두 가지 화해의 방식은 신과 인간 혹은 진리와 자유의 역설적인 공존 혹은 상호주관적인 긴장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신을 왜곡하거나(인간에 의한 신의 부정), 인간을 억압하는(신에 의한 인간의 부정) 일방적인 지배와 예속의 방식에 그칠 따름이다.
      오늘날 종교철학이 현실 그리스도교계에 안겨진 온갖 왜곡과 억압이라는 타락상에 맞서 진정한 그리스도교의 이념을 성찰하고 또 그 이념을 복원하고자 문제 삼는 현실의 수많은 반종교적 종교현상들은 바로 이러한 주관종교의 ‘우상숭배’와 실정종교의 ‘맹목신앙’이라는 두 줄기에서 자라난 썩은 가지들이다. 맹목적인 신앙을 넘어, 의심과 물음을 거쳐, 성찰적인 신앙으로 거듭나는 것이 그리스도교의 참 신앙이라는 것을 가르치고자 세상의 박해를 무릅썼던 것이 인간 예수의 삶이자 그가 보여준 그리스도교의 참된 이념이라면, 그리고 그러한 예수의 삶을 ‘지금’ 그리고 ‘여기’라는 현재의 실존적 터전에서 늘 새롭게 복원하고자 하는 것이 그리스도교 종교철학의 학문적 사명이라면, 그 모든 종교적 부조리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맹목신앙’과 ‘우상숭배’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야말로 종교철학의 가장 본원적인 사유작업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한 의미에서 이 논문의 주제는 ‘신-인 소외로 인한 억압으로부터의 상호해방(Mutual Liberation from the Oppression caused by Divine-Human Alienation)’이다. 여기서 ‘신-인 소외’란 신-인의 지성적 단절 이후의 종교문화, 즉 인간의 자기 절대화가 낳은 종교적 우상이 신의 본래성을 왜곡하고, 종교적 표상에 대한 맹목적 복종이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는 종교적 관계의 모순을 의미하며, ‘억압’이란 바로 그러한 종교적 관계의 모순이 유발하는 종교적 이념과 종교적 현실의 모순을 의미한다. 이는 신을 진리하게 하는 자유와 인간을 자유하게 하는 진리야말로 그리스도교의 진정한 이념이라는 이 논문의 결론적 선언에 따른 것으로, 그것이 곧 신과 인간의 ‘상호해방’을 위한 새로운 화해의 원리다. 그리고 바로 그러한 선언의 근거를 해명해 나가는 것이 이 논문의 철학적 과정이자 그 궁극적 목적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종교철학적 사유기획을 이끌 다양한 사상적 틀 가운데 헤겔의 철학, 그 중에서도 그의 사상 전체를 태동시키고 또 끊임없이 역동케 했던 화두로서의 ‘신-인 관계론’을 그 접근과 해결의 열쇠로 삼고자 한다. 신학이 곧 신에 관한 인간의 물음이라면, 그리고 그 물음의 원천이 인간 삶의 절박한 요청에서 비롯한 것이라면, 신학의 본질은 곧 신에 대한 인식이요, 신에 대한 인식의 본질은 곧 ‘신-인 관계’에 대한 인식임을 부인할 수 없다. 또한 신-인 관계에 관한 탐구가 종교철학에서 중요한 또 다른 이유는 그것이 곧 종교의 이념과 신앙의 형태를 구분하는 결정적인 준거가 되기 때문이다. 요컨대 신-인의 이상적 관계를 절대적인 분리로 본다면, 신은 인간이 범접할 수 없는 미지의 초월자가 될 것이고, 인간은 그러한 초월자와 하나 될 수 없음에 그의 맹목적인 노예가 되는 것을 최고의 신앙으로 여길 것이며, 반대로 신-인의 이상적 관계를 절대적인 화해로 본다면, 신은 인간과 끊임없이 소통하는 사랑의 주체가 될 것이며, 인간은 신과의 영원한 화해 속에서 자유로운 신적 주체로 거듭나는 것을 최고의 신앙이자 신앙의 궁극목적으로 여길 것이다. 따라서 신-인 관계는 신앙의 형태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사안일 뿐만 아니라 종교의 형태를 결정하는 최종적인 준거라고도 할 수 있다.
      이 논문이 우리 시대의 종교비판과 신앙성찰을 위해 ‘헤겔(G. W. F. Hegel)’이라는 근대의 사상가를 이 시대의 절망 속에 새롭게 소환한 이유는 현재 우리가 가진 문제의식과 당시 그가 가졌던 문제의식이 이백 년이 넘는 긴 시간의 간격에도 불구하고 동질적인 근원을 갖는다는 데 있다. 그는 그 시대의 철학적 요청과 철학적 욕구의 근원을 신과 인간의 지성적 분리로 인한 저속한 세속성과 공허한 종교성의 대립과 모순 그리고 거기에서 싹튼 삶의 분열과 고통에서 찾는다. 그리고 그는 충만한 내용을 갖춘 학문적 형식을 통해 누구나 신과 지성적으로 화해할 수 있는 공교적인 체계구축을 자기 철학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는다. 이 논문은 그러한 종교문화의 배경에서 등장하고 자라난 그의 철학적 진리내용을 오늘날 우리시대의 반종교적 종교문화를 반성하고 성찰하는 사유의 척도로 삼을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오늘날 우리 시대를 지배하는 신 인식불가론의 종교문화나 거기서 비롯하는 모든 독단적인 종교형태를 극복하는 대안적 사유의 가능성을 모색해 볼 것이다. 동시에 이 논문은 그의 전체 철학체계를 ‘신-인 관계’라는 틀로 재구성하고 재해석함으로써 그의 사상에 깃든 갖가지 오해들로부터 그를 변론하고, 그 안에서 이제껏 숨겨져 왔던 그의 급진적인 사상의 진면목을 들춤으로써, 그의 사상이 오늘날 우리의 종교철학적 사유에 주는 신선한 통찰들을 다각적으로 발굴해 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의 목적은 헤겔 철학에 나타난 ‘신-인 관계론’을 중심으로 오늘날 우리 현실의 반종교적 종교문화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이로부터 진정한 종교적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종교철...

      이 논문의 목적은 헤겔 철학에 나타난 ‘신-인 관계론’을 중심으로 오늘날 우리 현실의 반종교적 종교문화를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이로부터 진정한 종교적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종교철학의 이론적-실천적 가능성의 토대를 마련해 보는 것이다.
      오늘날 현실종교가 안고 있는 가장 큰 모순이라면 인간의 자유를 위한 종교가 도리어 인간억압의 도구로 전락해 버린 ‘맹목종교’의 경향과 인간의 욕망이 빚은 갖가지 종교적 망상들이 신의 자리를 대신해 버린 ‘우상숭배’의 경향을 들 수 있다. 이 두 가지 종교문화는 계몽주의의 정상에서 일어난 신-인 소외의 문화가 빚어낸 반종교적 종교현상들이다. 신과 인간의 지성적 단절을 선언한 칸트의 비판철학 이후, 계몽주의의 종교문화는 인간이 신을 지성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면, 더는 신과의 지성적 화해를 염원하지 않고 다만 지성이 관여할 수 있는 물질세계와만 관계하겠다는 세속적인 문화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신과의 관계를 이어갈 대안적인 믿음의 형태를 모색하는 반지성적인 종교문화로 분열된다.
      나아가 이러한 종교적인 문화는 또 다시 우리에게 객관적으로 주어진 종교적 표상들을 신 자체로 숭배하는 ‘실정종교(Positive Religion)’와 주관적인 심정 안에서 신과의 합일을 추구하는 ‘주관종교(Subjektive Religion)’로 분열된다. 하지만 인간이 신의 표상들에 복종하는 ‘실정종교’는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는 ‘맹목신앙’을 낳게 마련이며(신에 의한 인간의 억압), 신을 인간의 내면으로 동화하는 ‘주관종교’는 신을 인간의 자의에 따라 왜곡하는 ‘우상숭배’를 낳게 마련이다(인간에 의한 신의 왜곡). 이 두 가지 화해의 방식은 신과 인간 혹은 진리와 자유의 역설적인 공존 혹은 상호주관적인 긴장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신을 왜곡하거나(인간에 의한 신의 부정), 인간을 억압하는(신에 의한 인간의 부정) 일방적인 지배와 예속의 방식에 그칠 따름이다.
      오늘날 종교철학이 현실 그리스도교계에 안겨진 온갖 왜곡과 억압이라는 타락상에 맞서 진정한 그리스도교의 이념을 성찰하고 또 그 이념을 복원하고자 문제 삼는 현실의 수많은 반종교적 종교현상들은 바로 이러한 주관종교의 ‘우상숭배’와 실정종교의 ‘맹목신앙’이라는 두 줄기에서 자라난 썩은 가지들이다. 맹목적인 신앙을 넘어, 의심과 물음을 거쳐, 성찰적인 신앙으로 거듭나는 것이 그리스도교의 참 신앙이라는 것을 가르치고자 세상의 박해를 무릅썼던 것이 인간 예수의 삶이자 그가 보여준 그리스도교의 참된 이념이라면, 그리고 그러한 예수의 삶을 ‘지금’ 그리고 ‘여기’라는 현재의 실존적 터전에서 늘 새롭게 복원하고자 하는 것이 그리스도교 종교철학의 학문적 사명이라면, 그 모든 종교적 부조리의 근원이라 할 수 있는 ‘맹목신앙’과 ‘우상숭배’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야말로 종교철학의 가장 본원적인 사유작업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한 의미에서 이 논문의 주제는 ‘신-인 소외로 인한 억압으로부터의 상호해방(Mutual Liberation from the Oppression caused by Divine-Human Alienation)’이다. 여기서 ‘신-인 소외’란 신-인의 지성적 단절 이후의 종교문화, 즉 인간의 자기 절대화가 낳은 종교적 우상이 신의 본래성을 왜곡하고, 종교적 표상에 대한 맹목적 복종이 인간의 자유를 억압하는 종교적 관계의 모순을 의미하며, ‘억압’이란 바로 그러한 종교적 관계의 모순이 유발하는 종교적 이념과 종교적 현실의 모순을 의미한다. 이는 신을 진리하게 하는 자유와 인간을 자유하게 하는 진리야말로 그리스도교의 진정한 이념이라는 이 논문의 결론적 선언에 따른 것으로, 그것이 곧 신과 인간의 ‘상호해방’을 위한 새로운 화해의 원리다. 그리고 바로 그러한 선언의 근거를 해명해 나가는 것이 이 논문의 철학적 과정이자 그 궁극적 목적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종교철학적 사유기획을 이끌 다양한 사상적 틀 가운데 헤겔의 철학, 그 중에서도 그의 사상 전체를 태동시키고 또 끊임없이 역동케 했던 화두로서의 ‘신-인 관계론’을 그 접근과 해결의 열쇠로 삼고자 한다. 신학이 곧 신에 관한 인간의 물음이라면, 그리고 그 물음의 원천이 인간 삶의 절박한 요청에서 비롯한 것이라면, 신학의 본질은 곧 신에 대한 인식이요, 신에 대한 인식의 본질은 곧 ‘신-인 관계’에 대한 인식임을 부인할 수 없다. 또한 신-인 관계에 관한 탐구가 종교철학에서 중요한 또 다른 이유는 그것이 곧 종교의 이념과 신앙의 형태를 구분하는 결정적인 준거가 되기 때문이다. 요컨대 신-인의 이상적 관계를 절대적인 분리로 본다면, 신은 인간이 범접할 수 없는 미지의 초월자가 될 것이고, 인간은 그러한 초월자와 하나 될 수 없음에 그의 맹목적인 노예가 되는 것을 최고의 신앙으로 여길 것이며, 반대로 신-인의 이상적 관계를 절대적인 화해로 본다면, 신은 인간과 끊임없이 소통하는 사랑의 주체가 될 것이며, 인간은 신과의 영원한 화해 속에서 자유로운 신적 주체로 거듭나는 것을 최고의 신앙이자 신앙의 궁극목적으로 여길 것이다. 따라서 신-인 관계는 신앙의 형태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사안일 뿐만 아니라 종교의 형태를 결정하는 최종적인 준거라고도 할 수 있다.
      이 논문이 우리 시대의 종교비판과 신앙성찰을 위해 ‘헤겔(G. W. F. Hegel)’이라는 근대의 사상가를 이 시대의 절망 속에 새롭게 소환한 이유는 현재 우리가 가진 문제의식과 당시 그가 가졌던 문제의식이 이백 년이 넘는 긴 시간의 간격에도 불구하고 동질적인 근원을 갖는다는 데 있다. 그는 그 시대의 철학적 요청과 철학적 욕구의 근원을 신과 인간의 지성적 분리로 인한 저속한 세속성과 공허한 종교성의 대립과 모순 그리고 거기에서 싹튼 삶의 분열과 고통에서 찾는다. 그리고 그는 충만한 내용을 갖춘 학문적 형식을 통해 누구나 신과 지성적으로 화해할 수 있는 공교적인 체계구축을 자기 철학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는다. 이 논문은 그러한 종교문화의 배경에서 등장하고 자라난 그의 철학적 진리내용을 오늘날 우리시대의 반종교적 종교문화를 반성하고 성찰하는 사유의 척도로 삼을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오늘날 우리 시대를 지배하는 신 인식불가론의 종교문화나 거기서 비롯하는 모든 독단적인 종교형태를 극복하는 대안적 사유의 가능성을 모색해 볼 것이다. 동시에 이 논문은 그의 전체 철학체계를 ‘신-인 관계’라는 틀로 재구성하고 재해석함으로써 그의 사상에 깃든 갖가지 오해들로부터 그를 변론하고, 그 안에서 이제껏 숨겨져 왔던 그의 급진적인 사상의 진면목을 들춤으로써, 그의 사상이 오늘날 우리의 종교철학적 사유에 주는 신선한 통찰들을 다각적으로 발굴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준수, "헤겔", 파주: 한길사, 2015

      2 김석수, "요청과 지양", 서울: 울력, 2015

      3 조극훈, "이성의 복권", 서울: 리북, 2003

      4 이동희, "헤겔과 자연", 서울: 제우스, 2006

      5 최신한, "해석학과 비평", 서울: 철학과현실, 2000

      6 김희수, "옮김, 종교철학", 서울: 동문선, 2000

      7 강순전, "칸트에서 헤겔로",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8

      8 배용준, 양무석, "헤겔의 사변철학", 대전: 문경출판사, 1995

      9 정재현, "신학은 인간학이다", 칠곡: 분도출판사, 2012

      10 강순전, "정신현상학의 이념", 서울: 세창출판사, 2016

      1 김준수, "헤겔", 파주: 한길사, 2015

      2 김석수, "요청과 지양", 서울: 울력, 2015

      3 조극훈, "이성의 복권", 서울: 리북, 2003

      4 이동희, "헤겔과 자연", 서울: 제우스, 2006

      5 최신한, "해석학과 비평", 서울: 철학과현실, 2000

      6 김희수, "옮김, 종교철학", 서울: 동문선, 2000

      7 강순전, "칸트에서 헤겔로",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8

      8 배용준, 양무석, "헤겔의 사변철학", 대전: 문경출판사, 1995

      9 정재현, "신학은 인간학이다", 칠곡: 분도출판사, 2012

      10 강순전, "정신현상학의 이념", 서울: 세창출판사, 2016

      11 정미라, "“법의 이념과 법철학”", 「범한철학」 38, 2005

      12 백종현, "칸트와 헤겔의 철학", 서울: 아카넷, 2010

      13 임석진, "헤겔의 노동의 개념", 서울: 지식산업사, 1990

      14 임홍빈, "변증법적 통일의 원리", 서울: 청아출판사, 1992

      15 한인철, "종교 다원주의의 유형", 고양: 한국기독교연구소, 2005

      16 정진우, 하지슨, 피터, "옮김, 헤겔의 종교철학", 남양주: 누멘, 2017

      17 한인철, "예수, 선생으로 만나다", 강릉: 청송출판사, 2016

      18 강대석, "독일관념철학과 변증법", 서울: 한길사, 1992

      19 방연상, 우분투, ": 함께 사는 세상을 향하여", 서울: 한들, 2013

      20 최신한, "“야코비와 스피노자 논쟁”", 「哲學硏究」 129, 2014

      21 김준수, "“헤겔에게서 이성과 현실”", 「大同哲學」 37, 2006

      22 임홍빈, "근대적 이성과 헤겔철학",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6

      23 길희성, "아직도 교회 다니십니까",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5

      24 한자경, "헤겔 정신현상학의 이해", 파주: 서광사, 2009

      25 최신한, "헤겔철학과 종교적 이념", 서울: 한들, 1997

      26 이광모, "헤겔 철학과 학문의 본질", 서울: 용의숲, 2006

      27 김상봉, "“피히테와 ‘나’의 존재론”", 「철학과 현실」 30, 1996

      28 고현범, "“헤겔 역사철학에서의 정념”", 「범한철학」 86, 2017

      29 김상환, 이종철, 이뽈리뜨, "옮김, 헤겔의 정신현상학 1", 서울: 문예출판사, 1994

      30 김상환, 이종철, 이뽈리뜨, "옮김, 헤겔의 정신현상학 2", 서울: 문예출판사, 1994

      31 임혁재, "“칸트의 도덕적 신 존재 증명”", 「哲學」 50, 1997

      32 이한구, 포퍼, "옮김, 열린사회와 그 적들Ⅰ", 서울: 민음사, 2002

      33 이명현, 포퍼, "옮김, 열린사회와 그 적들Ⅱ", 서울: 민음사, 1999

      34 최신한, "“헤겔, 야코비, 양심의 변증법”", 「헤겔연구」 23, 2008

      35 최신한, "“헤겔과 슐라이어마허 재조명”", 「헤겔연구」 34, 2013

      36 양우석, "“화이트헤드와 헤겔의 인식론”", 「화이트헤드연구」 7, 2003

      37 최신한, "헤겔철학과 형이상학의 미래", 파주: 서광사, 2015

      38 김석수, "“칸트와 헤겔에서 지식과 믿음”", 「哲學硏究」 111, 2009

      39 김준수, "“헤겔 역사철학의 이념과 원리”", 「大同哲學」 62, 2013

      40 김준수, "“헤겔 철학에서 모순과 변증법”", 「코기토」 71, 2012

      41 오메로드, 정재현, "옮김, 오늘의 신학과 신학자들", 서울: 한들, 2007

      42 나종석, "“헤겔의 인륜성 이론과 사회국가”", 「헤겔연구」 38, 2015

      43 최신한, "“헤겔의 종교 담론과 계몽의 계몽”", 「철학논총」 63, 2011

      44 서정혁, "“헤겔의 역사철학과 유럽중심주의”", 「헤겔연구」 38, 2015

      45 김용찬, "근대적 자아의 이해: 홉스와 헤겔",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46 이부현, "이성과 종교: 헤겔 종교철학 연구", 파주: 서광사, 1995

      47 이정일, "칸트와 헤겔: 주체성과 인륜적 자유", 고양: 동과서, 2003

      48 방연상, "타자와 책임: 종교적 성찰을 위하여", 서울: 한들, 2013

      49 이정은, "“헤겔의 문화: 역사 발전과 악의 관계”", 「헤겔연구」 26, 2009

      50 김준수, "“헤겔의 법철학에서 법과 인륜성”", 「범한철학」 65, 2012

      51 문성화, "“법철학에 있어서 인격성의 문제”", 「철학논총」 61, 2010

      52 조종화, "“헤겔과 레비나스의 타자성 개념 비교”", 「헤겔연구」 35, 2014

      53 최신한, "현대의 종교 담론과 종교철학의 변형", 파주: 서광사, 2018

      54 정재현, "“진리와 해석: 신앙의 진정성을 향하여”", 「組織神學論叢」 3, 1998

      55 조창오, "“초기 헤겔의 근대적 주체 개념과 종교”", 「존재론연구」 35, 2014

      56 최신한, "“후기세속사회의 종교 담론과 시민종교”", 「헤겔연구」 33, 2013

      57 하르트만, "니콜라이 /박만준 옮김, 헤겔의 변증법", 서울: 형설출판사, 1991

      58 이병창, "“헤겔의 아름다운 영혼 개념에 관한 연구”", 「대학원논문집」 26 (동아대학교, 2001

      59 하르트만, "니콜라이/이강조 옮김, 독일 관념론 철학", 파주: 서광사, 2008

      60 양우석, "“철학자의 신: 헤겔과 화이트헤드의 신개념”", 「화이트헤드연구」 30, 2015

      61 이정은, "“헤겔의 종교철학에서 그리스도교의 악 이해”", 「기독교철학」 15, 2012

      62 노만, "리차드/오영진 옮김, 헤겔: 精神現象學 입문", 서울: 한마당, 1992

      63 백훈승, "헤겔 법철학 강요 해설: <서문>과 <서론>", 파주: 서광사, 2016

      64 서유석, "“‘이성의 간지’ 개념에 대한 현대적 재조명”", 「大同哲學」 17, 2002

      65 나종석, "“칸트 윤리학을 넘어 헤겔 인륜성의 철학에로”", 「헤겔연구」 30, 2011

      66 이성백, "등저, 포스트구조주의의 헤겔 비판과 반비판", 서울: 이학사, 2006

      67 유헌식, "“헤겔의 역사목적론에서 역사혁신의 서술문제”", 「헤겔연구」 30, 2011

      68 최신한, "인생교과서 헤겔: 세계 속의 이성을 인식하라", 서울: 21세기북스, 2016

      69 정재현, "우상과 신앙: 종교적 인간에 대한 철학적 성찰", 서울: 한울, 2019

      70 윤병태, "“민족정신의 세 기둥으로서 종교와 예술과 학문”", 「헤겔연구」 34, 2013

      71 조극훈, "“헤겔 역사철학에 나타난 자유와 필연의 변증법”", 「철학탐구」 27, 2010

      72 조종화, "“본질과 가상: 헤겔의 가상의 논리학을 중심으로”", 「헤겔연구」 43, 2018

      73 김준수, "승인이론: 독일 관념론의 상호주관성 이론 연구", 서울: 용의숲, 2015

      74 서유석, "“역사철학의 종말?: ‘이성의 간지’ 개념 재조명”", 「大同哲學」 11, 2000

      75 나종석, "“헤겔 역사철학의 근본 주장 및 그 의미에 대하여”", 「헤겔연구」 21, 2007

      76 하세가와, "히로시 지음/이신철 옮김, 헤겔 정신현상학 입문", 서울: 도서출판b, 2013

      77 나종석, "차이와 연대: 현대 세계와 헤겔의 사회-정치철학", 서울: 도서출판 길, 2007

      78 김종두, "키에르케고어의 실존사상과 현대인의 자아 이해",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4

      79 정미라, "“헤겔과 현대성 문제: 정신현상학을 중심으로”", 「헤겔연구」 23, 2007

      80 우병훈, "“루터의 만인 제사장직 교리의 의미와 현대적 의미”", 「신학논단」 87, 2017

      81 이정은, "“청년 헤겔에게 예수는 기독교 실정성의 근원인가?”", 「헤겔연구」 20, 2006

      82 백훈승, "“존재론적 신 존재 증명에 대한 칸트와 헤겔의 견해”", 「철학논총」 36, 2004

      83 최신한, "“탈형이상학 시대의 종교: 교리종교에서 생활종교로”", 「동서철학연구」 82, 2016

      84 정진우, "“헤겔 정신신학의 ‘정신’ 개념과 ‘신학’ 방법론”", 「기독교철학」 24, 2017

      85 강순전, "“헤겔 정신현상학에서 칸트와 피히테의 관념론 비판”", 「철학탐구」 20, 2006

      86 이병창, "“헤겔의 정신현상학에서 정신 개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87 한자경, "자아의 연구: 서양 근-현대 철학자들의 자아관 연구", 파주: 서광사, 2013

      88 박정훈, "“개념과 역사: 헤겔 정신현상학의 체계론적 위상”", 「헤겔연구」 36, 2014

      89 정진우, "“우상의 변증법: 니체 종교비판의 신앙성찰적 재해석”", 「신학논단」 87, 2017

      90 이정은, "“헤겔 정신현상학에서 ‘절대지’의 의미와 방법”", 「시대와 철학」 19-1, 2008

      91 유헌식, "“헤겔의 역사철학에 나타난 세계사적 민족의 출현구조”", 「哲學」 63, 2000

      92 정재현, "망치로 신-학하기: ‘말씀’이 말이 되게 하기 위하여", 서울: 한울, 2008

      93 강순전, "“아도르노의 부정변증법: 헤겔 변증법 비판을 중심으로”", 「헤겔연구」 19, 2006

      94 황설중, "“얼굴과 폭력 그리고 사랑: 레비나스와 헤겔을 중심으로”", 「헤겔연구」 34, 2013

      95 김준수, "“헤겔 예나 철학에서의 승인 이론의 사회 윤리학적 의미”", 「철학탐구」 11, 1999

      96 정재현, "자유가 너희를 진리하게 하리라: 우리 믿음 되돌아보기", 서울: 한울, 2007

      97 백종현, "칸트 이성철학 9서 5제; ‘참’ 가치의 원리로서의 이성", 서울: 아카넷, 2014

      98 정진우, "“헤겔 「정신현상학」에 나타난 ‘동일자’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99 윤삼석, "“헤겔 법철학에서 법을 통한 근대적 인륜성의 재구성”", 「헤겔연구」 40, 2016

      100 정재현, "티끌만도 못한 주제에: ‘사람됨’을 향한 신학적 인간학", 칠곡: 분도출판사, 2010

      101 이정은, "“헤겔의 종교 변증법에서 종교의 완성: 종교의 종언과 해체”", 「철학연구」 105, 2014

      102 정재현, "“종교의 자기부정: 인간의 자기족쇄로부터의 해방을 향하여”", 「神學思想」 102, 1998

      103 정재현, "종교신학강의: 다종교 상황에서 그리스도교인이 가야할 길", 서울: 비아, 2017

      104 정재현, "“참됨과 나: 키에르케고르의 주체적 진리관의 탈근대적 함의”", 「신학사상」 89, 1995

      105 김준수, "“헤겔의 승인이론: 예나 중기 정신철학적 초고들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51, 2000

      106 정재현, "“학문의 자유와 신학하기: 인간과 종교의 관계를 준거로 하여”", 「신학논단」 51, 2008

      107 유헌식, "“역사에서 새로운 것의 출현에 대한 헤겔의 행위이론적인 이해”", 「헤겔연구」 28, 2010

      108 지젝, "슬라보예 밀뱅크, 존/배성민 박치현 옮김, 예수는 괴물이다", 서울: 마티, 2013

      109 김종국, "“영구평화 대(對) 힘들의 유희(遊戱): 칸트와 헤겔의 국제관계론”", 「칸트연구」 28, 2011

      110 최신한, "지평 확대의 철학: 슐라이어마허, 점진적 자기발견의 정신탐구", 파주: 한길사, 2009

      111 정재현, "“영성 신학과 토착화 신학: 우리 삶에 맞갖은 신학하기를 위하여”", 「영성신학 과 토착화신학」 「한국조직신학논총」 52, 2018

      112 나종석, "“칼 포퍼의 헤겔 비판과 헤겔 사회 정치철학의 근본특성에 대하여”", 「사회와 철학」 10, 2005

      113 방연상, "타자를 향한, 타자와 함께하는 선교: 21세기 포스트모던 선교신학", 서울: 동연, 2016

      114 이병덕, "“현대영미분석철학의 헤겔주의적 전회: 왜 칸트가 아니라 헤겔인가?”", 「헤겔 연구」 23, 2008

      115 호네트, "악셀/문성훈, 이현재 옮김, 인정투쟁: 사회적 갈등의 도덕적 형식론", 서울: 동녘, 1996

      116 김준수, "“승인과 사회 윤리 - 헤겔의 승인이론에 의거한 현대적 인륜성의 모색”", 「사 회와 철학」 3, 2002

      117 강순전, "칸트에서 헤겔로: 유한한 인간 이성의 철학에서 절대적 주체성의 철학으로", 「哲學」 99, 2009

      118 정재현, "“죽음의 신학적 인간학: 종말론적 실존을 위한 존재-자유의 관계 정립(Ⅲ)”", 「기독교사상」 36, 1992

      119 수하키, "마저리/정재현 옮김, 신성과 다양성: 다종교 상황에서 기독교가 가야할 길", 서 울: 한들, 2012

      120 정재현, "“신앙성찰과 신학하기: 한국 기독교 신앙에 대한 종교문화적 분석을 통하여”", 「신학논단」 53, 2008

      121 정재현, "“인격성의 폭력과 탈신화화: 신정론적 발상에 대한 불트만 해석학의 처방을”", 「神學思想」 172, 2016

      122 정미라, "“도덕성과 인륜성: 헤겔의 법철학에 나타난 도덕성의 인륜성에로의 지양문제”", 「大同哲學」 70, 1999

      123 정재현, "“종교비판에서 신앙성찰로: 한국 그리스도교를 위해 ‘무신론’을 다시 보며”", 「 신학과 실천」 12, 2007

      124 최신한, "“종교적 진리와 철학적 진리: 헤겔에 있어서 화해의 종교적 표상과 철학적 파 악”", 「헤겔연구」 5, 1994

      125 강순전, "“헤겔 변증법 이후의 변증법 비판과 변증법 기획: 아도르노와 들뢰즈를 중심 으로”", 「哲學硏究」 100, 2006

      126 최신한, "독백의 철학에서 대화의 철학으로: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적-변증법적 사유 탐구", 서울: 문예출판사, 2001

      127 정재현, "“폴 틸리히의 상호관계방법에 대한 분석과 비판: 우리 자리에서 신학하기를 위하여”", 「신학논단」 39, 2005

      128 정재현, "“우상파괴를 통한 종교해방: 니시타니의 공(空)과 포이어바흐의 투사를 잇댐 으로써”", 「神學思想」 166, 2014

      129 정재현, "“‘올바름’에서 ‘베풀음’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자유’를 해방시키기 위하여”", 「 중세철학」 12, 2006

      130 지젝, "슬라보예 밀뱅크, 존 /주형일 옮김, 가장 숭고한 히스테리환자: 라캉과 함께 한 헤겔", 고양: 인간 사랑, 2013

      131 정재현, "‘묻지마 믿음’ 그리고 물음: 아주 열심히 믿는 분과 도저히 못 믿겠다는 분 을 위하여", 서울: 동연, 2014

      132 한인철, "예수는 어떻게 하나님이 되셨는가: 로마제국 말기의 참된 기독교를 정의하기 위한 투쟁", 고양: 한국기독교연구소, 2004

      133 정재현, "“‘종교적 인간’에서 ‘신앙하는 인간’으로: 종교신학에 대한 파니카의 비판을 통하여」", 「神學思想」 146, 2009

      134 강순전, "“사회적 통합의 두 변증법적 모델 (1): 헤겔과 아도르노의 주체-객체, 보편- 특수의 변증법”", 「시대와 철학」 14, 2004

      135 정재현, "“자유가 너희를 진리하게 하리라: 모순에서 역설로의 전환을 통한 ‘참된 종 교’를 위하여”", 「조직신학논총」 10, 2004

      136 최신한, "“전일성 이론의 자기의식적 구조: 헤겔 초기 사상에 나타난 종교와 철학의 관 계를 중심으로”", 「헤겔연구」 6, 1995

      137 이정은, "“국제관계론에서 칸트와 헤겔의 전선: 칸트의 세계시민사회에 관한 헤겔의 비 판에 기초하여”", 「헤겔연구」 30, 2011

      138 권대중, "“헤겔의 “자유” 개념이 지니는 불편함들: 내향적 운동성과 외향적 운동성 사 이의 경쟁관계”", 「헤겔연구」 34, 2013

      139 서정혁, "“헤겔의 철학 체계에서 ‘세계사’의 의미: ‘객관정신’과 ‘절대정신’의 관계를 중 심으로”", 「철학연구」 114집, 2016

      140 정재현, "“‘종교간 만남’을 넘어 ‘신앙의 성숙’으로: 종교관계유형에 대한 파니카의 성 찰을 통하여”", 「신학논단」 55, 2009

      141 강순전, "“사회적 통합의 두 변증법적 모델 (2): 인식과 체계의 문제에 대한 아도르노 의 부정 변증법과 헤겔의 사변 변증법의 대결”", 「시대와 철학」 15, 2004

      142 김준수, "“승인 개념 그리고 스토아적 자기의식과 보편적 자기의식: 정신현상학과  엔치클로페디에서의 승인 이론의 차이”", 「헤겔연구」 12, 2002

      143 이정은, "“청년기 헤겔의 감정과 도덕성의 관계: 베른 시기 민중종교와 기독교에 대한 단편들에 근거하여”, 영원을 향한 철학", 동과서,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