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준수, "헤겔", 파주: 한길사, 2015
2 김석수, "요청과 지양", 서울: 울력, 2015
3 조극훈, "이성의 복권", 서울: 리북, 2003
4 이동희, "헤겔과 자연", 서울: 제우스, 2006
5 최신한, "해석학과 비평", 서울: 철학과현실, 2000
6 김희수, "옮김, 종교철학", 서울: 동문선, 2000
7 강순전, "칸트에서 헤겔로", 서울: 철학과 현실사, 2008
8 배용준, 양무석, "헤겔의 사변철학", 대전: 문경출판사, 1995
9 정재현, "신학은 인간학이다", 칠곡: 분도출판사, 2012
10 강순전, "정신현상학의 이념", 서울: 세창출판사, 2016
11 정미라, "“법의 이념과 법철학”", 「범한철학」 38, 2005
12 백종현, "칸트와 헤겔의 철학", 서울: 아카넷, 2010
13 임석진, "헤겔의 노동의 개념", 서울: 지식산업사, 1990
14 임홍빈, "변증법적 통일의 원리", 서울: 청아출판사, 1992
15 한인철, "종교 다원주의의 유형", 고양: 한국기독교연구소, 2005
16 정진우, 하지슨, 피터, "옮김, 헤겔의 종교철학", 남양주: 누멘, 2017
17 한인철, "예수, 선생으로 만나다", 강릉: 청송출판사, 2016
18 강대석, "독일관념철학과 변증법", 서울: 한길사, 1992
19 방연상, 우분투, ": 함께 사는 세상을 향하여", 서울: 한들, 2013
20 최신한, "“야코비와 스피노자 논쟁”", 「哲學硏究」 129, 2014
21 김준수, "“헤겔에게서 이성과 현실”", 「大同哲學」 37, 2006
22 임홍빈, "근대적 이성과 헤겔철학",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6
23 길희성, "아직도 교회 다니십니까",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15
24 한자경, "헤겔 정신현상학의 이해", 파주: 서광사, 2009
25 최신한, "헤겔철학과 종교적 이념", 서울: 한들, 1997
26 이광모, "헤겔 철학과 학문의 본질", 서울: 용의숲, 2006
27 김상봉, "“피히테와 ‘나’의 존재론”", 「철학과 현실」 30, 1996
28 고현범, "“헤겔 역사철학에서의 정념”", 「범한철학」 86, 2017
29 김상환, 이종철, 이뽈리뜨, "옮김, 헤겔의 정신현상학 1", 서울: 문예출판사, 1994
30 김상환, 이종철, 이뽈리뜨, "옮김, 헤겔의 정신현상학 2", 서울: 문예출판사, 1994
31 임혁재, "“칸트의 도덕적 신 존재 증명”", 「哲學」 50, 1997
32 이한구, 포퍼, "옮김, 열린사회와 그 적들Ⅰ", 서울: 민음사, 2002
33 이명현, 포퍼, "옮김, 열린사회와 그 적들Ⅱ", 서울: 민음사, 1999
34 최신한, "“헤겔, 야코비, 양심의 변증법”", 「헤겔연구」 23, 2008
35 최신한, "“헤겔과 슐라이어마허 재조명”", 「헤겔연구」 34, 2013
36 양우석, "“화이트헤드와 헤겔의 인식론”", 「화이트헤드연구」 7, 2003
37 최신한, "헤겔철학과 형이상학의 미래", 파주: 서광사, 2015
38 김석수, "“칸트와 헤겔에서 지식과 믿음”", 「哲學硏究」 111, 2009
39 김준수, "“헤겔 역사철학의 이념과 원리”", 「大同哲學」 62, 2013
40 김준수, "“헤겔 철학에서 모순과 변증법”", 「코기토」 71, 2012
41 오메로드, 정재현, "옮김, 오늘의 신학과 신학자들", 서울: 한들, 2007
42 나종석, "“헤겔의 인륜성 이론과 사회국가”", 「헤겔연구」 38, 2015
43 최신한, "“헤겔의 종교 담론과 계몽의 계몽”", 「철학논총」 63, 2011
44 서정혁, "“헤겔의 역사철학과 유럽중심주의”", 「헤겔연구」 38, 2015
45 김용찬, "근대적 자아의 이해: 홉스와 헤겔",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46 이부현, "이성과 종교: 헤겔 종교철학 연구", 파주: 서광사, 1995
47 이정일, "칸트와 헤겔: 주체성과 인륜적 자유", 고양: 동과서, 2003
48 방연상, "타자와 책임: 종교적 성찰을 위하여", 서울: 한들, 2013
49 이정은, "“헤겔의 문화: 역사 발전과 악의 관계”", 「헤겔연구」 26, 2009
50 김준수, "“헤겔의 법철학에서 법과 인륜성”", 「범한철학」 65, 2012
51 문성화, "“법철학에 있어서 인격성의 문제”", 「철학논총」 61, 2010
52 조종화, "“헤겔과 레비나스의 타자성 개념 비교”", 「헤겔연구」 35, 2014
53 최신한, "현대의 종교 담론과 종교철학의 변형", 파주: 서광사, 2018
54 정재현, "“진리와 해석: 신앙의 진정성을 향하여”", 「組織神學論叢」 3, 1998
55 조창오, "“초기 헤겔의 근대적 주체 개념과 종교”", 「존재론연구」 35, 2014
56 최신한, "“후기세속사회의 종교 담론과 시민종교”", 「헤겔연구」 33, 2013
57 하르트만, "니콜라이 /박만준 옮김, 헤겔의 변증법", 서울: 형설출판사, 1991
58 이병창, "“헤겔의 아름다운 영혼 개념에 관한 연구”", 「대학원논문집」 26 (동아대학교, 2001
59 하르트만, "니콜라이/이강조 옮김, 독일 관념론 철학", 파주: 서광사, 2008
60 양우석, "“철학자의 신: 헤겔과 화이트헤드의 신개념”", 「화이트헤드연구」 30, 2015
61 이정은, "“헤겔의 종교철학에서 그리스도교의 악 이해”", 「기독교철학」 15, 2012
62 노만, "리차드/오영진 옮김, 헤겔: 精神現象學 입문", 서울: 한마당, 1992
63 백훈승, "헤겔 법철학 강요 해설: <서문>과 <서론>", 파주: 서광사, 2016
64 서유석, "“‘이성의 간지’ 개념에 대한 현대적 재조명”", 「大同哲學」 17, 2002
65 나종석, "“칸트 윤리학을 넘어 헤겔 인륜성의 철학에로”", 「헤겔연구」 30, 2011
66 이성백, "등저, 포스트구조주의의 헤겔 비판과 반비판", 서울: 이학사, 2006
67 유헌식, "“헤겔의 역사목적론에서 역사혁신의 서술문제”", 「헤겔연구」 30, 2011
68 최신한, "인생교과서 헤겔: 세계 속의 이성을 인식하라", 서울: 21세기북스, 2016
69 정재현, "우상과 신앙: 종교적 인간에 대한 철학적 성찰", 서울: 한울, 2019
70 윤병태, "“민족정신의 세 기둥으로서 종교와 예술과 학문”", 「헤겔연구」 34, 2013
71 조극훈, "“헤겔 역사철학에 나타난 자유와 필연의 변증법”", 「철학탐구」 27, 2010
72 조종화, "“본질과 가상: 헤겔의 가상의 논리학을 중심으로”", 「헤겔연구」 43, 2018
73 김준수, "승인이론: 독일 관념론의 상호주관성 이론 연구", 서울: 용의숲, 2015
74 서유석, "“역사철학의 종말?: ‘이성의 간지’ 개념 재조명”", 「大同哲學」 11, 2000
75 나종석, "“헤겔 역사철학의 근본 주장 및 그 의미에 대하여”", 「헤겔연구」 21, 2007
76 하세가와, "히로시 지음/이신철 옮김, 헤겔 정신현상학 입문", 서울: 도서출판b, 2013
77 나종석, "차이와 연대: 현대 세계와 헤겔의 사회-정치철학", 서울: 도서출판 길, 2007
78 김종두, "키에르케고어의 실존사상과 현대인의 자아 이해",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4
79 정미라, "“헤겔과 현대성 문제: 정신현상학을 중심으로”", 「헤겔연구」 23, 2007
80 우병훈, "“루터의 만인 제사장직 교리의 의미와 현대적 의미”", 「신학논단」 87, 2017
81 이정은, "“청년 헤겔에게 예수는 기독교 실정성의 근원인가?”", 「헤겔연구」 20, 2006
82 백훈승, "“존재론적 신 존재 증명에 대한 칸트와 헤겔의 견해”", 「철학논총」 36, 2004
83 최신한, "“탈형이상학 시대의 종교: 교리종교에서 생활종교로”", 「동서철학연구」 82, 2016
84 정진우, "“헤겔 정신신학의 ‘정신’ 개념과 ‘신학’ 방법론”", 「기독교철학」 24, 2017
85 강순전, "“헤겔 정신현상학에서 칸트와 피히테의 관념론 비판”", 「철학탐구」 20, 2006
86 이병창, "“헤겔의 정신현상학에서 정신 개념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87 한자경, "자아의 연구: 서양 근-현대 철학자들의 자아관 연구", 파주: 서광사, 2013
88 박정훈, "“개념과 역사: 헤겔 정신현상학의 체계론적 위상”", 「헤겔연구」 36, 2014
89 정진우, "“우상의 변증법: 니체 종교비판의 신앙성찰적 재해석”", 「신학논단」 87, 2017
90 이정은, "“헤겔 정신현상학에서 ‘절대지’의 의미와 방법”", 「시대와 철학」 19-1, 2008
91 유헌식, "“헤겔의 역사철학에 나타난 세계사적 민족의 출현구조”", 「哲學」 63, 2000
92 정재현, "망치로 신-학하기: ‘말씀’이 말이 되게 하기 위하여", 서울: 한울, 2008
93 강순전, "“아도르노의 부정변증법: 헤겔 변증법 비판을 중심으로”", 「헤겔연구」 19, 2006
94 황설중, "“얼굴과 폭력 그리고 사랑: 레비나스와 헤겔을 중심으로”", 「헤겔연구」 34, 2013
95 김준수, "“헤겔 예나 철학에서의 승인 이론의 사회 윤리학적 의미”", 「철학탐구」 11, 1999
96 정재현, "자유가 너희를 진리하게 하리라: 우리 믿음 되돌아보기", 서울: 한울, 2007
97 백종현, "칸트 이성철학 9서 5제; ‘참’ 가치의 원리로서의 이성", 서울: 아카넷, 2014
98 정진우, "“헤겔 「정신현상학」에 나타난 ‘동일자’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99 윤삼석, "“헤겔 법철학에서 법을 통한 근대적 인륜성의 재구성”", 「헤겔연구」 40, 2016
100 정재현, "티끌만도 못한 주제에: ‘사람됨’을 향한 신학적 인간학", 칠곡: 분도출판사, 2010
101 이정은, "“헤겔의 종교 변증법에서 종교의 완성: 종교의 종언과 해체”", 「철학연구」 105, 2014
102 정재현, "“종교의 자기부정: 인간의 자기족쇄로부터의 해방을 향하여”", 「神學思想」 102, 1998
103 정재현, "종교신학강의: 다종교 상황에서 그리스도교인이 가야할 길", 서울: 비아, 2017
104 정재현, "“참됨과 나: 키에르케고르의 주체적 진리관의 탈근대적 함의”", 「신학사상」 89, 1995
105 김준수, "“헤겔의 승인이론: 예나 중기 정신철학적 초고들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51, 2000
106 정재현, "“학문의 자유와 신학하기: 인간과 종교의 관계를 준거로 하여”", 「신학논단」 51, 2008
107 유헌식, "“역사에서 새로운 것의 출현에 대한 헤겔의 행위이론적인 이해”", 「헤겔연구」 28, 2010
108 지젝, "슬라보예 밀뱅크, 존/배성민 박치현 옮김, 예수는 괴물이다", 서울: 마티, 2013
109 김종국, "“영구평화 대(對) 힘들의 유희(遊戱): 칸트와 헤겔의 국제관계론”", 「칸트연구」 28, 2011
110 최신한, "지평 확대의 철학: 슐라이어마허, 점진적 자기발견의 정신탐구", 파주: 한길사, 2009
111 정재현, "“영성 신학과 토착화 신학: 우리 삶에 맞갖은 신학하기를 위하여”", 「영성신학 과 토착화신학」 「한국조직신학논총」 52, 2018
112 나종석, "“칼 포퍼의 헤겔 비판과 헤겔 사회 정치철학의 근본특성에 대하여”", 「사회와 철학」 10, 2005
113 방연상, "타자를 향한, 타자와 함께하는 선교: 21세기 포스트모던 선교신학", 서울: 동연, 2016
114 이병덕, "“현대영미분석철학의 헤겔주의적 전회: 왜 칸트가 아니라 헤겔인가?”", 「헤겔 연구」 23, 2008
115 호네트, "악셀/문성훈, 이현재 옮김, 인정투쟁: 사회적 갈등의 도덕적 형식론", 서울: 동녘, 1996
116 김준수, "“승인과 사회 윤리 - 헤겔의 승인이론에 의거한 현대적 인륜성의 모색”", 「사 회와 철학」 3, 2002
117 강순전, "칸트에서 헤겔로: 유한한 인간 이성의 철학에서 절대적 주체성의 철학으로", 「哲學」 99, 2009
118 정재현, "“죽음의 신학적 인간학: 종말론적 실존을 위한 존재-자유의 관계 정립(Ⅲ)”", 「기독교사상」 36, 1992
119 수하키, "마저리/정재현 옮김, 신성과 다양성: 다종교 상황에서 기독교가 가야할 길", 서 울: 한들, 2012
120 정재현, "“신앙성찰과 신학하기: 한국 기독교 신앙에 대한 종교문화적 분석을 통하여”", 「신학논단」 53, 2008
121 정재현, "“인격성의 폭력과 탈신화화: 신정론적 발상에 대한 불트만 해석학의 처방을”", 「神學思想」 172, 2016
122 정미라, "“도덕성과 인륜성: 헤겔의 법철학에 나타난 도덕성의 인륜성에로의 지양문제”", 「大同哲學」 70, 1999
123 정재현, "“종교비판에서 신앙성찰로: 한국 그리스도교를 위해 ‘무신론’을 다시 보며”", 「 신학과 실천」 12, 2007
124 최신한, "“종교적 진리와 철학적 진리: 헤겔에 있어서 화해의 종교적 표상과 철학적 파 악”", 「헤겔연구」 5, 1994
125 강순전, "“헤겔 변증법 이후의 변증법 비판과 변증법 기획: 아도르노와 들뢰즈를 중심 으로”", 「哲學硏究」 100, 2006
126 최신한, "독백의 철학에서 대화의 철학으로: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적-변증법적 사유 탐구", 서울: 문예출판사, 2001
127 정재현, "“폴 틸리히의 상호관계방법에 대한 분석과 비판: 우리 자리에서 신학하기를 위하여”", 「신학논단」 39, 2005
128 정재현, "“우상파괴를 통한 종교해방: 니시타니의 공(空)과 포이어바흐의 투사를 잇댐 으로써”", 「神學思想」 166, 2014
129 정재현, "“‘올바름’에서 ‘베풀음’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자유’를 해방시키기 위하여”", 「 중세철학」 12, 2006
130 지젝, "슬라보예 밀뱅크, 존 /주형일 옮김, 가장 숭고한 히스테리환자: 라캉과 함께 한 헤겔", 고양: 인간 사랑, 2013
131 정재현, "‘묻지마 믿음’ 그리고 물음: 아주 열심히 믿는 분과 도저히 못 믿겠다는 분 을 위하여", 서울: 동연, 2014
132 한인철, "예수는 어떻게 하나님이 되셨는가: 로마제국 말기의 참된 기독교를 정의하기 위한 투쟁", 고양: 한국기독교연구소, 2004
133 정재현, "“‘종교적 인간’에서 ‘신앙하는 인간’으로: 종교신학에 대한 파니카의 비판을 통하여」", 「神學思想」 146, 2009
134 강순전, "“사회적 통합의 두 변증법적 모델 (1): 헤겔과 아도르노의 주체-객체, 보편- 특수의 변증법”", 「시대와 철학」 14, 2004
135 정재현, "“자유가 너희를 진리하게 하리라: 모순에서 역설로의 전환을 통한 ‘참된 종 교’를 위하여”", 「조직신학논총」 10, 2004
136 최신한, "“전일성 이론의 자기의식적 구조: 헤겔 초기 사상에 나타난 종교와 철학의 관 계를 중심으로”", 「헤겔연구」 6, 1995
137 이정은, "“국제관계론에서 칸트와 헤겔의 전선: 칸트의 세계시민사회에 관한 헤겔의 비 판에 기초하여”", 「헤겔연구」 30, 2011
138 권대중, "“헤겔의 “자유” 개념이 지니는 불편함들: 내향적 운동성과 외향적 운동성 사 이의 경쟁관계”", 「헤겔연구」 34, 2013
139 서정혁, "“헤겔의 철학 체계에서 ‘세계사’의 의미: ‘객관정신’과 ‘절대정신’의 관계를 중 심으로”", 「철학연구」 114집, 2016
140 정재현, "“‘종교간 만남’을 넘어 ‘신앙의 성숙’으로: 종교관계유형에 대한 파니카의 성 찰을 통하여”", 「신학논단」 55, 2009
141 강순전, "“사회적 통합의 두 변증법적 모델 (2): 인식과 체계의 문제에 대한 아도르노 의 부정 변증법과 헤겔의 사변 변증법의 대결”", 「시대와 철학」 15, 2004
142 김준수, "“승인 개념 그리고 스토아적 자기의식과 보편적 자기의식: 정신현상학과 엔치클로페디에서의 승인 이론의 차이”", 「헤겔연구」 12, 2002
143 이정은, "“청년기 헤겔의 감정과 도덕성의 관계: 베른 시기 민중종교와 기독교에 대한 단편들에 근거하여”, 영원을 향한 철학", 동과서,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