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서비스-러닝 활동에서의 서비스학습경험 연구 : 서비스경제 시대 서비스학습 활성화를 위한 기초 연구 = A Study on the Service Learning Experience in SERVICE-LEARNING Activity : A Basic Study for the Vitalization of Service Learning in the Era of Service Econom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0918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Service-Learning which is a service learning method in accord with service economy by determining the service learning experience of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Service-Learning, and providing a theoretical bas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features of learners(service provider) and the method of dealing with service objects(customer), and the performance of Service-Learning realized by learners.

      The phases of the study consisted of 5 phases: 1) reconceptualizing the service and Service-Learning, 2) observing the Service-Learning classes and having interviews, 3) analyzing the Service-Learning activities: activity theory, 4) finding the learning experience in Service-Learning: Q methodology, 5) investigating the features of found learning experience: survey researc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attended Service-Learning course at the S Women's University in Seoul which operates the Service-Learning course as a regular curriculum only in the country. 26 students who attended second semester of 2011 participated in the Q methodological study, and 149 students who attended first semester of 2012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rvice learning experience through the Service-Learning activity was recognized as three factors: 'service activity learning', 'service skill learning', and 'social experience learning'.
      Students who recognized the Service-Learning activity as a 'service activity learning' factor focused both on the service and the learning with equal values. Here the service means the learning through an activity providing the service, not a learning within the classroom. With this factor, students learned all over the service activity, which was enabled by regular contact with customers and stable interaction. In addition, customer learning which is based on wide comprehension was the most noticeable aspect in the 'service activity learning', while the key point of Service-Learning is to learn about customer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recognized factor of 'service activity learning' is the closest equivalent to the service activity "which creates the common value through the process of putting one's capability for the benefit of others" and to the Service-Learning which fulfills "learning and community service" through the service activity.
      Students recognizing the factor of 'service skill learning' were cynical about the learning experience demanding more from both service and learning. The relevant learners thought their capabilities were insufficient to provide the service and found it difficult to be involved in the class which was not associated with the service activity. It is suggested that students recognizing the factor of 'service skill learning' were not satisfied with the needs as a customer in the way that they were customers at the same time who get service from the operating body of Service-Learning. In this factor, some of service related learning appeared while the customer learning which is the key point of service learning was not conducted. It is considered that it is because students had limited time to contact customers notwithstanding the regular contact in person, and they did not have enough time to interact with customers since they spent more time for the preparation and other works.
      Students recognizing the factor of 'social experience learning' focused not on the service learning but on the individual learning of service provider who is the subject. The relevant learners did not recognize and learn a contradiction, but admitted it as a property of society and adapted to it. They are directed at the learning rather than the service, and the learning here means a self-learning related to preliminary social experience, not a learning related to service providing. It is supposed that this feature of the 'social experience learning' factor is attributed to fewer opportunities to interact with customers from the indirect and occasional encounter.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could be some effects of vocational education in Service-Learning.
      Many aspects aimed by Service-Learning as follows meet with the philosophy of vocational education emphasized by Dewey: the purpose of individual growth and social contribution, and the learning through the practice in the real context, and the way to perform the service to others. In addition, the performances of Service-Learning suggested in this study as a capability of the service human resources corresponded to the basic capability of vocation analyzed by many countries in the world. Service-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understanding customers' which is a core capability for the professionals, same as that in 'service activity learning'.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s, this study proposes several suggestions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Service-Learning for cultivating the service human resources as follows.
      First, in regard to further studies, it is required that the study on the service and Service-Learning should be conducted in terms of developmental strategy of the nation, and the study to generalize this exploratory study for researchers.
      Second,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design Service-Learning to interact with customers in a stable contact, and the various Service-Learning programs and activity settings should be composed so that learners can have a merged learning experience. With this, active service cooperation of organizations in service sector is required to expand the setting of Service-Learning activity.
      Lastly, political endeavors are necessary to expand Service-Learning into the curriculum of Vocational Education and career exploration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s well as higher education, same as that in the developed countr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Service-Learning which is a service learning method in accord with service economy by determining the service learning experience of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Service-Learning, and pr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Service-Learning which is a service learning method in accord with service economy by determining the service learning experience of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Service-Learning, and providing a theoretical bas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features of learners(service provider) and the method of dealing with service objects(customer), and the performance of Service-Learning realized by learners.

      The phases of the study consisted of 5 phases: 1) reconceptualizing the service and Service-Learning, 2) observing the Service-Learning classes and having interviews, 3) analyzing the Service-Learning activities: activity theory, 4) finding the learning experience in Service-Learning: Q methodology, 5) investigating the features of found learning experience: survey researc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attended Service-Learning course at the S Women's University in Seoul which operates the Service-Learning course as a regular curriculum only in the country. 26 students who attended second semester of 2011 participated in the Q methodological study, and 149 students who attended first semester of 2012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rvice learning experience through the Service-Learning activity was recognized as three factors: 'service activity learning', 'service skill learning', and 'social experience learning'.
      Students who recognized the Service-Learning activity as a 'service activity learning' factor focused both on the service and the learning with equal values. Here the service means the learning through an activity providing the service, not a learning within the classroom. With this factor, students learned all over the service activity, which was enabled by regular contact with customers and stable interaction. In addition, customer learning which is based on wide comprehension was the most noticeable aspect in the 'service activity learning', while the key point of Service-Learning is to learn about customer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recognized factor of 'service activity learning' is the closest equivalent to the service activity "which creates the common value through the process of putting one's capability for the benefit of others" and to the Service-Learning which fulfills "learning and community service" through the service activity.
      Students recognizing the factor of 'service skill learning' were cynical about the learning experience demanding more from both service and learning. The relevant learners thought their capabilities were insufficient to provide the service and found it difficult to be involved in the class which was not associated with the service activity. It is suggested that students recognizing the factor of 'service skill learning' were not satisfied with the needs as a customer in the way that they were customers at the same time who get service from the operating body of Service-Learning. In this factor, some of service related learning appeared while the customer learning which is the key point of service learning was not conducted. It is considered that it is because students had limited time to contact customers notwithstanding the regular contact in person, and they did not have enough time to interact with customers since they spent more time for the preparation and other works.
      Students recognizing the factor of 'social experience learning' focused not on the service learning but on the individual learning of service provider who is the subject. The relevant learners did not recognize and learn a contradiction, but admitted it as a property of society and adapted to it. They are directed at the learning rather than the service, and the learning here means a self-learning related to preliminary social experience, not a learning related to service providing. It is supposed that this feature of the 'social experience learning' factor is attributed to fewer opportunities to interact with customers from the indirect and occasional encounter.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could be some effects of vocational education in Service-Learning.
      Many aspects aimed by Service-Learning as follows meet with the philosophy of vocational education emphasized by Dewey: the purpose of individual growth and social contribution, and the learning through the practice in the real context, and the way to perform the service to others. In addition, the performances of Service-Learning suggested in this study as a capability of the service human resources corresponded to the basic capability of vocation analyzed by many countries in the world. Service-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understanding customers' which is a core capability for the professionals, same as that in 'service activity learning'.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s, this study proposes several suggestions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Service-Learning for cultivating the service human resources as follows.
      First, in regard to further studies, it is required that the study on the service and Service-Learning should be conducted in terms of developmental strategy of the nation, and the study to generalize this exploratory study for researchers.
      Second,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design Service-Learning to interact with customers in a stable contact, and the various Service-Learning programs and activity settings should be composed so that learners can have a merged learning experience. With this, active service cooperation of organizations in service sector is required to expand the setting of Service-Learning activity.
      Lastly, political endeavors are necessary to expand Service-Learning into the curriculum of Vocational Education and career exploration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s well as higher education, same as that in the developed countr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러닝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서비스학습경험을 밝히고 이와 관련된 학습자(서비스제공자)의 특성과 서비스대상(고객) 대면방법 특성, 학습자가 인식하는 서비스-러닝의 성과를 분석하여 서비스-러닝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서비스경제에 부합되는 서비스 학습방법으로서의 서비스-러닝 확대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단계는 1) 서비스와 서비스-러닝의 재개념화, 2) 서비스-러닝 수업 참관 및 면담, 3) 서비스-러닝 활동 분석: 활동이론, 4) 서비스-러닝에서의 학습경험 발견: Q 방법론, 5) 발견된 학습경험의 특성 조사: 서베이의 총 5단계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서비스-러닝을 정규 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서울 S여대 서비스-러닝 수강자들이다. Q 연구에는 2011학년도 2학기 수강자 26명, 서베이 연구에는 2012학년도 1학기 수강자 149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러닝 활동을 통한 서비스학습경험은 ‘서비스활동 학습’과 ‘서비스기술 학습’, ‘사회경험 학습’의 세 가지 요인으로 인식되었다.
      ‘서비스활동 학습’ 요인 인식 학생은 서비스와 학습 모두에 같은 비중의 초점을 두는데 여기서의 학습은 강의실내에서의 학습이라기보다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활동을 통한 학습이다. 이 요인에서는 서비스 활동 전반을 학습하는데 이것은 정기적으로 고객을 만나고 안정적인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가능하였다. 또한, 서비스 학습의 핵심은 고객을 학습하는 것인데 ‘서비스활동 학습’에서는 고객활동을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고객학습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서비스활동 학습’ 인식 요인은 “타인의 이익을 위해 자신의 역량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공동의 가치를 창출하는” 서비스 활동과 이를 통해 “학습과 지역사회 서비스”를 실현하는 서비스-러닝의 모습에 가장 근접해 있다고 할 수 있다.
      ‘서비스기술 학습’ 요인은 서비스와 학습 모두에서 아쉬움을 가지고 학습경험에 대해서도 부정적이었다. 이 요인 학습자는 서비스제공에 있어 자신의 역량이 부족하다는 생각을 하고 수업내용도 서비스 활동과 관련되어 있지 않은 것에 어려움을 느꼈다. 학습자 역시 서비스-러닝 운영주체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고객이 되는데 ‘서비스기술 학습’ 인식 학생은 이러한 고객으로서의 욕구에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 요인에서는 서비스 관련 학습이 일부 나타나지만 서비스 학습의 핵심인 고객 학습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데, 이러한 결과는 정기적으로 고객을 직접 만나기는 하나 대면 시간이 적고 이 조차도 준비나 기타 다른 업무들로 고객과의 상호작용 시간이 적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사회경험 학습’ 요인은 서비스학습보다는 주체인 서비스제공자의 개별 학습에 초점을 둔다. 모순을 인식하고 이를 학습화하기 보다는 사회의 속성으로 인정하고 순응하는 편이다. 이러한 학습자의 초점은 서비스와 학습 중 학습을 향해 있고, 그 학습은 서비스제공과 관련된 학습이 아닌 예비사회경험과 관련된 자신의 학습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경험 학습’ 요인의 특성은 고객을 주로 간접적이고 비정기적으로 대면함으로써 고객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적었던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서비스-러닝이 가질 수 있는 직업교육적 효과이다.
      서비스-러닝에서 지향하는 개인의 성장과 사회적 기여의 목적, 그리고 실제 맥락에서의 실천을 통한 학습과 타인에 대한 서비스를 행하는 방법은 Dewey가 강조한 직업교육적 철학에 맞닿아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서비스 인적자원의 역량으로 제시한 서비스-러닝의 성과들은 세계 여러 나라에서 분석한 직업기초능력에 부합되고 있었다. 그리고 서비스-러닝은 서비스경제 시대의 직업인으로서 가져야 할 핵심역량인 ‘고객 이해’에 있어 '서비스활동 학습‘에서와 같이 긍정적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이상의 논의에 근거하여 서비스 인적자원 양성을 위한 서비스-러닝 확대에 기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후속 연구와 관련된 제언이다. 국가 차원에서는 국가의 발전전략 측면에서 서비스와 서비스-러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야 하며, 연구자 차원에서는 탐사적 성격의 본 연구를 일반화 시킬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교육기관에서는 고객을 안정적으로 만나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러닝을 설계해야 하며, 이 때 서비스-러닝 프로그램과 활동 세팅은 다양하게 구성하여 학습자가 융합적 학습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여기에는 서비스-러닝 활동의 세팅을 확대시키기 위한 서비스 부문 단체들의 적극적 협력이 함께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선진국과 같이 서비스-러닝을 도입하여 고등교육을 비롯한 초중등교육의 직업교육과 진로탐색 교육과정으로 확산시키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러닝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서비스학습경험을 밝히고 이와 관련된 학습자(서비스제공자)의 특성과 서비스대상(고객) 대면방법 특성, 학습자가 인식하는 서비스-러...

      본 연구의 목적은 서비스-러닝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서비스학습경험을 밝히고 이와 관련된 학습자(서비스제공자)의 특성과 서비스대상(고객) 대면방법 특성, 학습자가 인식하는 서비스-러닝의 성과를 분석하여 서비스-러닝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서비스경제에 부합되는 서비스 학습방법으로서의 서비스-러닝 확대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단계는 1) 서비스와 서비스-러닝의 재개념화, 2) 서비스-러닝 수업 참관 및 면담, 3) 서비스-러닝 활동 분석: 활동이론, 4) 서비스-러닝에서의 학습경험 발견: Q 방법론, 5) 발견된 학습경험의 특성 조사: 서베이의 총 5단계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서비스-러닝을 정규 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서울 S여대 서비스-러닝 수강자들이다. Q 연구에는 2011학년도 2학기 수강자 26명, 서베이 연구에는 2012학년도 1학기 수강자 149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러닝 활동을 통한 서비스학습경험은 ‘서비스활동 학습’과 ‘서비스기술 학습’, ‘사회경험 학습’의 세 가지 요인으로 인식되었다.
      ‘서비스활동 학습’ 요인 인식 학생은 서비스와 학습 모두에 같은 비중의 초점을 두는데 여기서의 학습은 강의실내에서의 학습이라기보다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활동을 통한 학습이다. 이 요인에서는 서비스 활동 전반을 학습하는데 이것은 정기적으로 고객을 만나고 안정적인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가능하였다. 또한, 서비스 학습의 핵심은 고객을 학습하는 것인데 ‘서비스활동 학습’에서는 고객활동을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고객학습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서비스활동 학습’ 인식 요인은 “타인의 이익을 위해 자신의 역량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공동의 가치를 창출하는” 서비스 활동과 이를 통해 “학습과 지역사회 서비스”를 실현하는 서비스-러닝의 모습에 가장 근접해 있다고 할 수 있다.
      ‘서비스기술 학습’ 요인은 서비스와 학습 모두에서 아쉬움을 가지고 학습경험에 대해서도 부정적이었다. 이 요인 학습자는 서비스제공에 있어 자신의 역량이 부족하다는 생각을 하고 수업내용도 서비스 활동과 관련되어 있지 않은 것에 어려움을 느꼈다. 학습자 역시 서비스-러닝 운영주체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고객이 되는데 ‘서비스기술 학습’ 인식 학생은 이러한 고객으로서의 욕구에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 요인에서는 서비스 관련 학습이 일부 나타나지만 서비스 학습의 핵심인 고객 학습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데, 이러한 결과는 정기적으로 고객을 직접 만나기는 하나 대면 시간이 적고 이 조차도 준비나 기타 다른 업무들로 고객과의 상호작용 시간이 적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사회경험 학습’ 요인은 서비스학습보다는 주체인 서비스제공자의 개별 학습에 초점을 둔다. 모순을 인식하고 이를 학습화하기 보다는 사회의 속성으로 인정하고 순응하는 편이다. 이러한 학습자의 초점은 서비스와 학습 중 학습을 향해 있고, 그 학습은 서비스제공과 관련된 학습이 아닌 예비사회경험과 관련된 자신의 학습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경험 학습’ 요인의 특성은 고객을 주로 간접적이고 비정기적으로 대면함으로써 고객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적었던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서비스-러닝이 가질 수 있는 직업교육적 효과이다.
      서비스-러닝에서 지향하는 개인의 성장과 사회적 기여의 목적, 그리고 실제 맥락에서의 실천을 통한 학습과 타인에 대한 서비스를 행하는 방법은 Dewey가 강조한 직업교육적 철학에 맞닿아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서비스 인적자원의 역량으로 제시한 서비스-러닝의 성과들은 세계 여러 나라에서 분석한 직업기초능력에 부합되고 있었다. 그리고 서비스-러닝은 서비스경제 시대의 직업인으로서 가져야 할 핵심역량인 ‘고객 이해’에 있어 '서비스활동 학습‘에서와 같이 긍정적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이상의 논의에 근거하여 서비스 인적자원 양성을 위한 서비스-러닝 확대에 기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후속 연구와 관련된 제언이다. 국가 차원에서는 국가의 발전전략 측면에서 서비스와 서비스-러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야 하며, 연구자 차원에서는 탐사적 성격의 본 연구를 일반화 시킬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교육기관에서는 고객을 안정적으로 만나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러닝을 설계해야 하며, 이 때 서비스-러닝 프로그램과 활동 세팅은 다양하게 구성하여 학습자가 융합적 학습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여기에는 서비스-러닝 활동의 세팅을 확대시키기 위한 서비스 부문 단체들의 적극적 협력이 함께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선진국과 같이 서비스-러닝을 도입하여 고등교육을 비롯한 초중등교육의 직업교육과 진로탐색 교육과정으로 확산시키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문제 및 연구내용 7
      • 3. 연구방법 9
      • 4. 용어정의 11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 2. 연구문제 및 연구내용 7
      • 3. 연구방법 9
      • 4. 용어정의 11
      • Ⅱ. 서비스와 서비스-러닝 12
      • 1. 서비스 12
      • 2. 서비스-러닝 21
      • 가. 서비스-러닝의 개념 및 특성 22
      • 나. 서비스-러닝의 이론적 근거 30
      • 다. 서비스-러닝 관련 선행연구 32
      • 3. 서비스를 통한 학습 38
      • Ⅲ. 연구 분석틀 42
      • 1. 활동이론 42
      • 가. 활동이론 42
      • 나. 활동이론과 학습 51
      • 2. 서비스와 서비스-러닝 분석 54
      • 가. 활동이론으로 바라본 서비스 54
      • 나. 활동이론으로 바라본 서비스-러닝 63
      • Ⅳ. 조사방법 및 조사설계 67
      • 1. 조사대상 67
      • 2. 조사방법 72
      • 가. Q 방법론의 적용과 타당성 74
      • 나. 서베이의 적용과 타당성 76
      • 3. 조사설계 77
      • 가. 서비스-러닝 모순을 통한 서비스학습경험 분석: Q 방법론 79
      • 나. 서비스학습경험 유형의 사정을 위한 도구 개발: Q 도구 85
      • 다. 서비스학습경험의 빈도 및 특성 분석: 서베이 연구 85
      • Ⅴ. 조사결과 및 논의 89
      • 1. 조사결과 89
      • 가. 서비스-러닝의 서비스학습경험 유형 분석 89
      • 나. 서비스-러닝의 서비스학습경험 유형별 특성 분석 112
      • 2. 논의 134
      • 가. 서비스-러닝을 통한 서비스학습의 세 가지 측면 134
      • 나. 서비스학습경험: 서비스-러닝의 직업교육 효과 143
      • Ⅵ. 결론 및 제언 149
      • 1. 요약 149
      • 2. 제언 155
      • 가. 연구 제언 155
      • 나. 실천 제언 158
      • 다. 정책 제언 161
      • 참고문헌 165
      • Abstract 185
      • 부 록 1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