덧배기는 예로부터 경상도 지역에서 풍속에 의해 전래된 향토춤이다. 이 춤은 과거 세시 농경행사에서 마을 사람들이 자신들만의 색채를 향유하며 추던 비형식적인 춤이다. 하지만 오늘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963785
최흥기 (경상대학교 강사, 민속무용학 전공)
2018
Korean
Ulsan Dutbeki ; Dutbeki ; Hutton dance ; Traditional dance of Ulsan ; Intangible culture of Ulsan ; 울산덧배기 ; 덧배기 ; 허튼춤 ; 울산전통춤 ; 울산무형문화
KCI등재
학술저널
199-222(24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덧배기는 예로부터 경상도 지역에서 풍속에 의해 전래된 향토춤이다. 이 춤은 과거 세시 농경행사에서 마을 사람들이 자신들만의 색채를 향유하며 추던 비형식적인 춤이다. 하지만 오늘날...
덧배기는 예로부터 경상도 지역에서 풍속에 의해 전래된 향토춤이다. 이 춤은 과거 세시 농경행사에서 마을 사람들이 자신들만의 색채를 향유하며 추던 비형식적인 춤이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급격하게 변화한 사회 환경과 함께 이 덧배기도 사라져 가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연구자는 울산의 향토춤인 덧배기를 보호하고 전승하기 위하여, 울산덧배기의 시원과 전승 현황을 고찰하였다. 그 방법으로 울산덧배기의 시원은 울산지역에서 과거부터 전해진 생활상의 기록을 고찰하였다. 전승 현황은 최근까지 울산지역에서 덧배기가 자연 전승된 현황과 울산토박이인 연구자의 현장 참여에 의한 전승 현황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민속학자 정상박은 그 동안 범칭으로 불리었던 덧배기에 지역 명을 붙여 그 지역의 무형문화로 정립하였다. 이에 따라 울산지역의 덧배기도 울산덧배기로 그 명칭이 정하여져 무형문화유산의 가치를 가지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이 연구의 성과는 울산지역의 덧배기에 대한 시원을 정립하고, 그 전승 현황을 고찰함으로 울산 무형문화유산의 정체성을 확인한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tbeki is a local dance which has been transmitted by customs in Kyongsang area since ancient times. This is a formless dance that each of the villagers enjoyed with their own colors at seasonal farming events in the past. Today, however, Dutbeki is ...
Dutbeki is a local dance which has been transmitted by customs in Kyongsang area since ancient times. This is a formless dance that each of the villagers enjoyed with their own colors at seasonal farming events in the past. Today, however, Dutbeki is disappearing with a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In this situation, the researcher is going to study the origin and present condition of Dutbeki, local dance of Ulsan area, to protect and transmit it to the future. The method is as follows. Regarding the origin of Ulsan Dutbeki, the researcher reviewed the records of life from the past in Ulsan area. As for the current status of transmission, the current status of the natural handover of Dutbeki in Ulsan area and the current status of it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researcher, a native of Ulsan, are discussed. The folklorist Jung Sangbark has established Dutbeki, which had been called as a generic name, as a local intangible culture by attaching a local name to it. As a result, Dutbeki in Ulsan area was designated as Ulsan Dutbeki and the value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as obtained. In this context, this study has made an accomplishment of confirming the identity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Ulsan by establishing the origin of Ulsan Dutbeki and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its inheritance.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두현, "한국연극사" 학연사 1991
2 정상박, "짧은 글・긴 생각, 민속학 현장에서 만난 한국춤의 미학" 국립민속박물관 238 : 2017
3 최흥기, "죽광대의 특징과 정체성에 관한 시론" 한국학중앙연구원 36 (36): 244-268, 2013
4 정상박, "전통춤의 갈래 설정과 향토춤의 위상" 영남춤학회 1 : 2013
5 "인터뷰: 손희숙, 2018.10.15. 장소: 울산시 옥교동 115-5에서"
6 최흥기, "울산덧배기놀음"
7 울산박물관, "울산과 達里" 대일인쇄(주) 2014
8 울산문화원, "울산공업축제에서 처용문화제까지" 동신출판사 2000
9 최흥기, "울산 달리마을 풍속에 따른 농악의 갈래와 구성에 관한 제시" 한국학중앙연구원 40 (40): 69-100, 2017
10 정상박, "오광대와 들놀음 연구" 집문당 1986
1 이두현, "한국연극사" 학연사 1991
2 정상박, "짧은 글・긴 생각, 민속학 현장에서 만난 한국춤의 미학" 국립민속박물관 238 : 2017
3 최흥기, "죽광대의 특징과 정체성에 관한 시론" 한국학중앙연구원 36 (36): 244-268, 2013
4 정상박, "전통춤의 갈래 설정과 향토춤의 위상" 영남춤학회 1 : 2013
5 "인터뷰: 손희숙, 2018.10.15. 장소: 울산시 옥교동 115-5에서"
6 최흥기, "울산덧배기놀음"
7 울산박물관, "울산과 達里" 대일인쇄(주) 2014
8 울산문화원, "울산공업축제에서 처용문화제까지" 동신출판사 2000
9 최흥기, "울산 달리마을 풍속에 따른 농악의 갈래와 구성에 관한 제시" 한국학중앙연구원 40 (40): 69-100, 2017
10 정상박, "오광대와 들놀음 연구" 집문당 1986
11 국립민속박물관, "석남 송석하 한국 민속의 재음미 · 上, 下" 경희정보인쇄(주) 2004
12 이창언, "민속학과 국가" 민속원 2017
13 울산광역시, "무형문화유산전수조사" 경상무형유산연구소 2016
14 최흥기, "덧배기의 동작 분석에 의한 특성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41 (41): 393-420, 2018
15 송석하, "경향신문"
16 양명학, "개운포 수영(水營)과 선소(船所)" 개운포역사문화연구회 2018
17 강용권, "가야문화권의 민속예능" 민속학회 1989
18 권상일, "鶴城誌(국역 학성지)" 울산남구문화원 부설 향토사연구소, 애드비젼 2010
19 최남선, "高麗大學校 亞細亞問題硏究所 六堂全集編纂委員會編" 玄岩社 1974
20 울산시, "蔚山市史"
21 송석하, "朝鮮民俗"
22 송석하, "地神밟기舞踊"
23 일연, "三國遺事(신역 삼국유사)" 홍신신서 1996
24 "Daum, 국어사전, [민속]"
25 울산박물관, "75년만의 귀향, 1936년 蔚山達里" 디자인 협진 2011
무용구술사의 창의적인 활용 방안 모색: 20세기 한국춤문화사 관련 도식 제작을 중심으로
춤, 대중문화로서 시국을 춤추다!-1980-90년대 대학가를 중심으로-
부르디외 문화생산의 장이론으로 본 한국발레장의 역사성: 1950년대 이후 신문기사의 양적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12-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DDH -> Asian Dance journal | |
2020-04-0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 The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5-08-2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DSDH -> The Journal of SDDH | |
2014-04-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무용기록학회 -> 무용역사기록학회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 |
2014-04-1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무용기록학회지 -> 무용역사기록학외국어명 : The Korean Jounal of Dance Documentation -> The Journal of DSDH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5-06-1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 | 0.7 | 0.7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81 | 0.943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