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미국 장기요양보허정책의 운영 경험 및 개혁 논의의 시사점 = An Analysis of Long-Term Care Policy in the United States: Lessons for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390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opulation aging is a worldwide issue and more so for Korea,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formulate appropriate solutions based on an in-depth analysis of the experiences of the developed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xperiences and the reform debate of long-term care in the United States and to draw valuable lessons for Korea. When introducing the public long-term care program in 2007, Korea should seriously consider key policy issues that include the philosophy and goals, public-private partnership, institutional vs noninstitutional services, role of informal care-givers, integration of acute and long-term care, the administrative form, the share between a self-governing body and an insurer, serving both the elderly and non-elderly disabled, assurance of high-quality care, and expenditure controls.
      번역하기

      Population aging is a worldwide issue and more so for Korea,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formulate appropriate solutions based on an in-depth analysis of the experiences of the developed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xperie...

      Population aging is a worldwide issue and more so for Korea,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formulate appropriate solutions based on an in-depth analysis of the experiences of the developed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xperiences and the reform debate of long-term care in the United States and to draw valuable lessons for Korea. When introducing the public long-term care program in 2007, Korea should seriously consider key policy issues that include the philosophy and goals, public-private partnership, institutional vs noninstitutional services, role of informal care-givers, integration of acute and long-term care, the administrative form, the share between a self-governing body and an insurer, serving both the elderly and non-elderly disabled, assurance of high-quality care, and expenditure contro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기요양보호의 역사가 오래 된 미국을 대상으로 제도의 결함을 시정하기 위한 개혁 논의과정에 초점을 맞춰 장기간에 걸친 운영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다음,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큰 교훈과 정책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여타 선진국과 구별되는 미국 장기요양보호정책의 가장 큰 특징은 역사가 매우 오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령화와 장애에 의한 사회적 위험을 별도로 다루는 독립적인 단일 제도가 없고, 노인 대상의 사회 정책적 차원에서 도입된 각종 관련 법규와 정책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분립적이고 다원화된 프로그램을 통해 발전되어 왔다는 점이다. 사회적 환경과 역사적 배경이 다른 우리로서는 미국의 경험에서 얻은 교훈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따르며, 오랜 기간에 걸쳐 축적된 미국 제도의 장단점을 우리의 특성과 상황에 맞춰 취사선택하고 시행착오를 면밀하게 분석한 결과를 타산지석의 교훈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장기요양보호의 역사가 오래 된 미국을 대상으로 제도의 결함을 시정하기 위한 개혁 논의과정에 초점을 맞춰 장기간에 걸친 운영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다음, 우리에게 시사...

      본 연구는 장기요양보호의 역사가 오래 된 미국을 대상으로 제도의 결함을 시정하기 위한 개혁 논의과정에 초점을 맞춰 장기간에 걸친 운영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다음,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큰 교훈과 정책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여타 선진국과 구별되는 미국 장기요양보호정책의 가장 큰 특징은 역사가 매우 오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령화와 장애에 의한 사회적 위험을 별도로 다루는 독립적인 단일 제도가 없고, 노인 대상의 사회 정책적 차원에서 도입된 각종 관련 법규와 정책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분립적이고 다원화된 프로그램을 통해 발전되어 왔다는 점이다. 사회적 환경과 역사적 배경이 다른 우리로서는 미국의 경험에서 얻은 교훈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따르며, 오랜 기간에 걸쳐 축적된 미국 제도의 장단점을 우리의 특성과 상황에 맞춰 취사선택하고 시행착오를 면밀하게 분석한 결과를 타산지석의 교훈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래인구 특별추계" 2005

      2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센터, "장기요양서비스체계 도입방안 검토" 국민건강보험공단 2002

      3 "일본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운영실적과 시사점" 5 : 136-156, 2005

      4 "우리나라 장기요양보호정책의 쟁점과 발전방향" 36 : 36-48, 1999

      5 권순만., "독일의 장기요양제도" 12 : 27-47, 2003

      6 "독일의 사회요양보험 및 한국에서의 시사점" 35 : 75-85, 1999

      7 "독일과 미국의 노인장기요양제도 비교 연구" 8 (8): 37-64, 2004

      8 "노인장기요양보호사업의 비교연구-미국의 경험을 중심으로" 13 (13): 99-118, 1993

      9 "노인요양보험제도 도입에 대한 비판적 검토" 12 : 105-124, 2001

      10 "노인요양보장체계 공청회 자료" 전국경제인 연합회 2004

      1 "장래인구 특별추계" 2005

      2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센터, "장기요양서비스체계 도입방안 검토" 국민건강보험공단 2002

      3 "일본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운영실적과 시사점" 5 : 136-156, 2005

      4 "우리나라 장기요양보호정책의 쟁점과 발전방향" 36 : 36-48, 1999

      5 권순만., "독일의 장기요양제도" 12 : 27-47, 2003

      6 "독일의 사회요양보험 및 한국에서의 시사점" 35 : 75-85, 1999

      7 "독일과 미국의 노인장기요양제도 비교 연구" 8 (8): 37-64, 2004

      8 "노인장기요양보호사업의 비교연구-미국의 경험을 중심으로" 13 (13): 99-118, 1993

      9 "노인요양보험제도 도입에 대한 비판적 검토" 12 : 105-124, 2001

      10 "노인요양보장체계 공청회 자료" 전국경제인 연합회 2004

      11 "노인요양보장제도 추진방안" 서울: 보건복지부 2005

      12 공적노인요양보장추진기획단, "노인요양보장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재정운영방식의 선택: 공적노인요양보장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재정운영방식의 선택에 관한 공청회" 공적노인요양보장추진기획단 2003

      13 "노인 장기요양정책의 기본방향" 7 : 37-66, 2003

      14 노인장기요양보호정책기획단, "노인 장기요양보호의 종합대책 수립방안 연구" 노인장기요양보호정책기획단 2000

      15 "노인 장기요양보장정책의 과제와 발전방향:한국보건행정학회 제30차 전기학술대회" 한국보건행정학회 2003

      16 "공적 노인요양보장체계 최종보고" 공적노인요양보장추진기획단 2004

      17 "공적 노인요양보장제도의 정책방향: 2004 헬스케어 심포지엄" 보건복지부,교보생명교육문화재단 2004

      18 "고령화 사회의 노인요양 정책과제" 3 (3): 27-35, 2004

      19 General Accounting Office, "successful state efforts to expand home services while limiting costs" 1994

      20 "What happened to long-term care in the health reform debate of 1993-1994? lessons for the future" 9 (9): 207-252, 2001

      21 Bodenheimer T.S, "Understanding health policy: a clinical approach (3rd ed.)" Lange Medical Books/McGraw-Hill 104-112, 2002

      22 "Towards an international consensus on policy for long-term care of the ageing" WHO 2000

      23 "The politics of long-term care reform under the Clinton health plan: lessons for the future"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206-214, 2000

      24 "The organization and financing of health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80 (80): 261-301, 2002

      25 Kane R. A, "The heart of long-term care"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26 Binstock R. H, "The future of long-term care:social and policy issue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6

      27 "The debate about long-term care reform: a view from the United States: Caring for frail elderly people: policies in evolution" 279-291, 1996

      28 Hooyman N. R, "Social gerontology: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4th ed.)." Allyn and Bacon 1996

      29 "Population aging: a comparison among industrialized countries" 19 (19): 191-203, 2000

      30 "Options for LTC financing reform The Journal of Long-Term Care Administration" 46-57, 1993

      31 "OECD국가의 장기요양보호정책과 시사점" 42 : 53-64, 2000

      32 "OECD 선진국의 노인 장기요양보호제도 운영실태" 40-52, 2004

      33 OECD, "OECD Health project: towards high-performing health systems" 2004

      34 "Managing health care for the elderly" 1993

      35 "Long-term tare for the disabled elderly: current policy, emerging trends and implications for the 21st century" Milbank Memorial Fund 2000

      36 "Long-term care:Health care delivery in the United States(7th ed)"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2

      37 "Long-term care: managing across the continuum" An Aspen Publication 1999

      38 Campbell J.C, "Long-term care insurance comes to Japan" 19 (19): 26-39, 2000

      39 "Long-term care in the United States:an overview" 19 (19): 40-55, 2000

      40 "Lessons learned from research on effects of community-based long-term car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348-353, 1994

      41 "Key policy issues in long-term care" WHO 2003

      42 "Introduction to health services(6th ed)" Delmar Thomson Learning 2002

      43 "Integrating acute and long-term care for the elderly:Health and Health Care 2001" JOSSEY-BASS 2001

      44 Heffler S, "Health spending growth up in 1999 faster growth expected in the future" 20 (20): 2001

      45 Feldstein P.J, "Health policy issues: an economic perspective on health reform(2nd ed)" AUPHA 417-430, 2003

      46 Gill D. G, "Health care reform in the United States: implications for the elderly" 11 (11): 177-194, 1997

      47 "Health care reform in the 1990s" 402-8, 1994

      48 "Health care reform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40-54, 1993

      49 Geyman J.P, "Health care in America: can our ailing system be healed?" Butterworth Heinemann 2002

      50 Leutz W. N, "Five laws for integrating medical and social services: lessons from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77 (77): 77-110, 1999

      51 "Essentials of health services(2nd ed)" Delmar Thomson Learning 94-105, 2001

      52 Kane R, "Effects of the Clinton health reform on older persons and their families" 598-605, 1994

      53 Jacobzone S., "Coping with aging:international challenges" 19 (19): 213-225, 2000

      54 Merlis M, "Caring for the frail elderly:an international review" 19 (19): 141-149, 2000

      55 OECD, "Caring for frail elderly people: policies in evolution" 1996

      56 "Caring for an aging world international models for long-term care" McGraw-Hill Information Services Company 1989

      57 "Can social insurance for long-term work? The Experience of Germany" 19 (19): 8-25, 2000

      58 National Association for Home Care, "Basic statistics about home care" 2000

      59 Harrington C, "1998 State data book on long-term care program and market characteristics"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 Francisco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18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건과 사회과학
      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Science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3 2.13 2.5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