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놀이친화적 환경이 아동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놀이공간 조성과 지역 유형에 따른 다집단 분석- = Impact of children’s play environment on their quality of life: Multiple-group analysis by play space and community typ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87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ldren’s play environment makes an essential contribution to their overall quality of life. Using multiple group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children’s play environment on their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creation of a play space. It also examined the impact of the play environment on the quality of life by community type, such as rural area and city, using multiple group analysis. The participants were 584 children (third to sixth grade) who were recruited from a selection of primary schools and daycare centers from varying communities nationwid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lay environment contributes directly to increasing the children’s outdoor playtime and quality of life. A mediation effect of outdoor playtime was found in this relationship. The mediation effect was evident only in the group of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of creating a play space. In addition, when the environment in rural areas was created to be play-friendly, it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quality of life directly and to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mediation of outdoor playtime.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creating a place space as well as the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of creating a play-friendly environment and of advocating for children’s right to play.
      번역하기

      Children’s play environment makes an essential contribution to their overall quality of life. Using multiple group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children’s play environment on their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creation of a play...

      Children’s play environment makes an essential contribution to their overall quality of life. Using multiple group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children’s play environment on their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creation of a play space. It also examined the impact of the play environment on the quality of life by community type, such as rural area and city, using multiple group analysis. The participants were 584 children (third to sixth grade) who were recruited from a selection of primary schools and daycare centers from varying communities nationwid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lay environment contributes directly to increasing the children’s outdoor playtime and quality of life. A mediation effect of outdoor playtime was found in this relationship. The mediation effect was evident only in the group of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of creating a play space. In addition, when the environment in rural areas was created to be play-friendly, it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quality of life directly and to th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mediation of outdoor playtime.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creating a place space as well as the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of creating a play-friendly environment and of advocating for children’s right to pla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놀이친화적인 환경이 아동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로를 놀이공간 조성 여부 및 지역 유형에 따라 비교하고자 다집단 분석을 수행하였다. 조사 대상은 놀이공간조성사업에 참여한 학교(또는 돌봄기관)의아동들과 유사 사업에 노출되지 않은 비참여 학교(또는 돌봄기관)의 아동들로서 최종 분석에 포함된 사례 수는 총 584사례이다. 분석 결과, 놀이공간조성집단에서는 놀이친화적 환경이 아동의 삶의 질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더불어 신체활동놀이를 매개하여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 또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놀이공간 비조성 집단에서는 놀이친화적 환경이 아동의 삶의 질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직접 효과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지역유형별 다집단 분석에서는 농어촌 지역에서만 신체활동놀이를 매개하는 경로가 유의미했고, 이러한 농어촌과 도시 지역 간 유의미한 경로 계수간 차이는 공간조성여부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놀이공간조성 사업의 아동복지적 의미와 놀이친화적 환경 조성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 지역사회 기반의 놀권리 옹호를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놀이친화적인 환경이 아동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로를 놀이공간 조성 여부 및 지역 유형에 따라 비교하고자 다집단 분석을 수행하였다. 조사 대상은 놀이공간조성사업...

      본 연구에서는 놀이친화적인 환경이 아동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로를 놀이공간 조성 여부 및 지역 유형에 따라 비교하고자 다집단 분석을 수행하였다. 조사 대상은 놀이공간조성사업에 참여한 학교(또는 돌봄기관)의아동들과 유사 사업에 노출되지 않은 비참여 학교(또는 돌봄기관)의 아동들로서 최종 분석에 포함된 사례 수는 총 584사례이다. 분석 결과, 놀이공간조성집단에서는 놀이친화적 환경이 아동의 삶의 질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더불어 신체활동놀이를 매개하여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 또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놀이공간 비조성 집단에서는 놀이친화적 환경이 아동의 삶의 질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직접 효과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지역유형별 다집단 분석에서는 농어촌 지역에서만 신체활동놀이를 매개하는 경로가 유의미했고, 이러한 농어촌과 도시 지역 간 유의미한 경로 계수간 차이는 공간조성여부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놀이공간조성 사업의 아동복지적 의미와 놀이친화적 환경 조성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 지역사회 기반의 놀권리 옹호를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봉주, "한국 아동의 삶의 질에관한 종합지수 연구" 세이브더칠드런·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3

      2 정혜연, "학습 공간 디자이너로서의 학습자: 건축가와 함께하는 놀이터 디자인"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 (20): 59-82, 2019

      3 임수원, "초등학생의 지각된 스포츠관여도, 친구관계 질, 사회성 간의 인과모형 : 운동장 유무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초등체육학회 19 (19): 35-45, 2013

      4 황옥경, "초, 중, 고등학교 학생의 놀이·여가 실태에 대한 연구-연령별, 지역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296-302, 2018

      5 이봉주, "지표를 통해 본 한국 아동의 삶의 질"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세이브더칠드런 2017

      6 송순옥, "전통놀이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및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69-90, 2015

      7 최민수, "전통놀이 신체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및 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4 (14): 243-261, 2015

      8 권선영, "유아와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 공간의 의미 탐색"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85-94, 2017

      9 도남희, "유아기 행복감 증진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4

      10 정진욱, "운동장 및 체육수업 유·무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신체활동량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15 (15): 301-310, 2010

      1 이봉주, "한국 아동의 삶의 질에관한 종합지수 연구" 세이브더칠드런·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3

      2 정혜연, "학습 공간 디자이너로서의 학습자: 건축가와 함께하는 놀이터 디자인"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 (20): 59-82, 2019

      3 임수원, "초등학생의 지각된 스포츠관여도, 친구관계 질, 사회성 간의 인과모형 : 운동장 유무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초등체육학회 19 (19): 35-45, 2013

      4 황옥경, "초, 중, 고등학교 학생의 놀이·여가 실태에 대한 연구-연령별, 지역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296-302, 2018

      5 이봉주, "지표를 통해 본 한국 아동의 삶의 질"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세이브더칠드런 2017

      6 송순옥, "전통놀이를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및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69-90, 2015

      7 최민수, "전통놀이 신체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및 인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4 (14): 243-261, 2015

      8 권선영, "유아와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 공간의 의미 탐색"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85-94, 2017

      9 도남희, "유아기 행복감 증진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4

      10 정진욱, "운동장 및 체육수업 유·무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신체활동량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15 (15): 301-310, 2010

      11 이윤진, "영유아 문화인프라 이용실태와 지원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3

      12 신상미, "어린이의 놀이 특징을 적용한 실외 놀이터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9 (9): 103-112, 2014

      13 김민우, "어린이 놀이터 연구 동향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363-383, 2019

      14 황해수, "어린이 놀이터 관련 학술지 논문의 연구 경향 분석"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8 (8): 97-113, 2009

      15 손석정,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 법규 고찰"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2 (12): 85-104, 2009

      16 이지영, "어린이 놀이공간의 개념을 적용한교육시설의 건축계획적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2 (12): 159-166, 2014

      17 김미숙, "아동의 삶의 질 수준 국제비교와 놀이와 여가활동의 영향 연구" 아시아.유럽미래학회 15 (15): 29-59, 2018

      18 조숙인, "아동의 놀 권리 강화를 위한 지역사회 환경 조성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2017

      19 천지혜, "아동 놀이행태에 따른 아파트단지 놀이시설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20 (20): 567-584, 2019

      20 김명순, "실외 놀이터 질적 수준 평가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327-348, 2018

      21 위은애, "신체접촉 놀이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4 (14): 209-223, 2015

      22 유혜경, "신체적 놀이 활동이 초등학생의 건강 관련 체력과 신체적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23 최수경, "숲에서의 자유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181-198, 2013

      24 김명순, "서울시 어린이놀이터의 질적 수준과 아동의 놀이행동 및 신체활동의 차이"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105-124, 2019

      25 김명희, "상상 어린이공원 놀이시설 이용률과 연령별 놀이행태 상관성에 의한 놀이시설 개선 제안"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2 (12): 113-124, 2017

      26 곽윤진, "바깥놀이 활동을 통한 배려교육이 유아의 행복감, 또래 유능성, 타인 정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7 (17): 327-350, 2016

      27 김정화, "농촌지역 아동의 놀이충분성과 놀이만족도가 삶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625-633, 2019

      28 우룡, "농어촌 아동·청소년의 실태 및 정책방향" 한국청소년학회 15 (15): 233-273, 2008

      29 제충만, "놀이터를 지켜라" 푸른숲 2016

      30 최정화, "놀이를 통한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동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037-1056, 2019

      31 이성주, "놀이다운 놀이를 할 수 있는 어린이 놀이터 색채디자인 분석 및 제안" 53-55, 2016

      32 황옥경, "권리로서의 놀이와 여가에 대한 아동의 인식과 행복감의 관계" 한국아동권리학회 19 (19): 755-774, 2015

      33 백기웅, "공동주택단지 놀이터 리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65 : 267-281, 2018

      34 강승지,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시기에 따른 놀이터 연구물 동향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 26 (26): 65-88, 2019

      35 정익중, "UNCR 30주년 기념 한국 아동권리의 현주소-동상이몽, 부모자녀 권리인식 비교"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2019

      36 Weir, L. A., "Parents’ Perceptions of Neighborhood Safety and Children’s Physical Activity" 43 (43): 212-217, 2006

      37 Aarts, M. J., "Outdoor Play a mong Children in Relation to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 A Cross-sectional Neighborhood Observation Study" 9 (9): 98-, 2012

      38 Handy, S., "Neighborhood Design and Children’s Outdoor Play : Evidence from Northern California" 18 (18): 160-179, 2008

      39 Veitch, J., "Individual,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al Correlates of Children’s Active Free-play : A Cross-sectional Study" 7 (7): 1-10, 2010

      40 Tappe, K. A., "Children’s Physical Activity and Parents’Perception of the Neighborhood Environment: Neighborhood Impact on Kids Study" 10 (10): 2013

      41 Anthamatten, P., "An Assessment of Schoolyard Renovation Strategies to Encourage Children’s Physical Activity" 8 (8): 2011

      42 Storli, R., "Affordances in Outdoor Environments and Children’s Physically Active Play in Pre‐school" 18 (18): 445-456, 2010

      43 이봉주, "2018 대한민국 아동권리지수" 굿네이버스 2018

      44 송지홍, "2014 컬러트렌드를 적용한 어린이 창의놀이공간 색채 제안"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17 : 219-232,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1.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5 2.11 2.512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