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3D시네마 동향 분석을 통해 제안된 디스플레이 기술 연구 = (The)Research of Display Technology Suggested through Analyzing 3D Cinema Tre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0321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광운대학교, 2008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004.6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ii, 57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dissertation will propose to analyze the past and present works of 3D cinema and business circle and technology of movie theater in order to appropriate 3D cinema display.
      As shown in the recent declining movie business, the image industry has gone downhill for several recent years. This is because the relatively reduced necessity of Movie Theater caused by DVD which is sold upon movie is launched and diverse digital devices that allow us to watch movie easily thanks to development of home theater and network. As a result, 3D cinema which is more dynamic than the existing 2D cinema and difficult to copy is highlighted as it is being developed mainly in USA. Developing to digital cinema, 2D cinema in the past could be easily converted into 3D cinema and the development of cubic image technology in the movie theater notably contributed to this trend. Making more profit compared to 2D cinema, 3D cinema is produced more by eminent producers and directors of Hollywood. As 3D movie is noted, it is required to forecast the future prospect by analyzing works and trend of business circle of 3D cinema.
      This dissertation tried to grasp the development trend of 3D cinema by checking the history of 3D cinema and classifying some 450 movie works on the basis of year, state, image technology and length. Further, the technical trend of business circle such as business circle related to 3D cinema and movie image system like RealD, Nuvision, Dolby and KDC. Viewing the tendency of 3D cinema, we can see that movie produced by 3D technology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increasing number of theaters where cubic screening is possible and the existing 2D cinema which is converted into 3D. In this paper, it is aimed to analyze its trend of 3D cinema and to research the 3D display technology focusing on the shutter glasses type.
      번역하기

      This dissertation will propose to analyze the past and present works of 3D cinema and business circle and technology of movie theater in order to appropriate 3D cinema display. As shown in the recent declining movie business, the image industry has ...

      This dissertation will propose to analyze the past and present works of 3D cinema and business circle and technology of movie theater in order to appropriate 3D cinema display.
      As shown in the recent declining movie business, the image industry has gone downhill for several recent years. This is because the relatively reduced necessity of Movie Theater caused by DVD which is sold upon movie is launched and diverse digital devices that allow us to watch movie easily thanks to development of home theater and network. As a result, 3D cinema which is more dynamic than the existing 2D cinema and difficult to copy is highlighted as it is being developed mainly in USA. Developing to digital cinema, 2D cinema in the past could be easily converted into 3D cinema and the development of cubic image technology in the movie theater notably contributed to this trend. Making more profit compared to 2D cinema, 3D cinema is produced more by eminent producers and directors of Hollywood. As 3D movie is noted, it is required to forecast the future prospect by analyzing works and trend of business circle of 3D cinema.
      This dissertation tried to grasp the development trend of 3D cinema by checking the history of 3D cinema and classifying some 450 movie works on the basis of year, state, image technology and length. Further, the technical trend of business circle such as business circle related to 3D cinema and movie image system like RealD, Nuvision, Dolby and KDC. Viewing the tendency of 3D cinema, we can see that movie produced by 3D technology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increasing number of theaters where cubic screening is possible and the existing 2D cinema which is converted into 3D. In this paper, it is aimed to analyze its trend of 3D cinema and to research the 3D display technology focusing on the shutter glasses typ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3D 영화의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작품들과 3D 업계 및 극장 기술들의 분석을 통하여 가장 적합한 3D 시네마용 디스플레이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최근의 영화 흥행 성적 하락이 말해주듯이 영상산업 전체는 최근 몇 년간 쇠퇴하였다. 그 이유로 영화개봉과 동시에 DVD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홈시어터의 발전과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인해 각종 디지털 기기로 영화를 쉽게 볼 수 있게 되어 상대적으로 극장의 필요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이에 기존의 2D 영화보다 좀 더 박진감이 넘치고 영화의 복제가 어려운 3D 영화가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하면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이는 디지털 시네마로 발전되면서 과거 2D 영화에서 3D 영화로의 변환이 쉬워지게 되었으며, 극장 입체 영상기술의 발전도 이러한 동향에 크게 기여하였다. 영화 수익면에서도 2D 영화에 비해 많은 수익이 나고 있으며 할리우드의 유명 제작사, 감독들 또한 3D 영화제작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처럼 3D 영화가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3D 영화의 작품 및 업계 동향의 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전망을 예측해 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3D 영화의 역사를 살펴보고,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약 450 편에 이르는 영화작품들의 연도, 국가, 영상기술을 기준으로 작품을 분류하여 이에 따른 3D 영화의 발전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3D 영화 관련 업계와 RealD, Nuvision, Dolby, 케이디씨 같은 극장 영상 시스템의 업계의 기술 동향을 살펴보았다.
      3D 영화의 추세를 살펴보면 입체상영이 가능한 극장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의 2D작품에서 3D로 변환되어 제작되는 작품들과 3D 기술에 의하여 상영되는 영화가 점차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3D 시네마의 동향을 분석해 보고, 액정셔터방식을 중심으로 3D 디스플레이 기술에 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3D 영화의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작품들과 3D 업계 및 극장 기술들의 분석을 통하여 가장 적합한 3D 시네마용 디스플레이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최근의 영화 흥행 성적 하락이 ...

      본 논문은 3D 영화의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작품들과 3D 업계 및 극장 기술들의 분석을 통하여 가장 적합한 3D 시네마용 디스플레이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최근의 영화 흥행 성적 하락이 말해주듯이 영상산업 전체는 최근 몇 년간 쇠퇴하였다. 그 이유로 영화개봉과 동시에 DVD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홈시어터의 발전과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인해 각종 디지털 기기로 영화를 쉽게 볼 수 있게 되어 상대적으로 극장의 필요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이에 기존의 2D 영화보다 좀 더 박진감이 넘치고 영화의 복제가 어려운 3D 영화가 미국을 중심으로 발전하면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이는 디지털 시네마로 발전되면서 과거 2D 영화에서 3D 영화로의 변환이 쉬워지게 되었으며, 극장 입체 영상기술의 발전도 이러한 동향에 크게 기여하였다. 영화 수익면에서도 2D 영화에 비해 많은 수익이 나고 있으며 할리우드의 유명 제작사, 감독들 또한 3D 영화제작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처럼 3D 영화가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3D 영화의 작품 및 업계 동향의 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전망을 예측해 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3D 영화의 역사를 살펴보고,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약 450 편에 이르는 영화작품들의 연도, 국가, 영상기술을 기준으로 작품을 분류하여 이에 따른 3D 영화의 발전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3D 영화 관련 업계와 RealD, Nuvision, Dolby, 케이디씨 같은 극장 영상 시스템의 업계의 기술 동향을 살펴보았다.
      3D 영화의 추세를 살펴보면 입체상영이 가능한 극장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의 2D작품에서 3D로 변환되어 제작되는 작품들과 3D 기술에 의하여 상영되는 영화가 점차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3D 시네마의 동향을 분석해 보고, 액정셔터방식을 중심으로 3D 디스플레이 기술에 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II. 3D 영화의 역사
      • 2.1 3D 영화의 탄생
      • 2.2 3D 영화의 흐름
      • 2.2.1 첫 번째 붐
      • I. 서론
      • II. 3D 영화의 역사
      • 2.1 3D 영화의 탄생
      • 2.2 3D 영화의 흐름
      • 2.2.1 첫 번째 붐
      • 2.2.2 두 번째 붐
      • 2.2.3 세 번째 붐
      • III. 3D 영화 작품 동향 분석
      • 3.1 3D 작품 동향
      • 3.1.1 연도별 작품 추이
      • 3.1.2 국가별 작품 추이
      • 3.2 3D 극장 동향
      • 3.3 3D 기술 동향
      • 3.3.1 애너글리프 방식
      • 3.3.2 편광 방식
      • 3.3.3 액정셔터 방식
      • 3.3.4 패럴랙스배리어 방식
      • 3.3.5 렌티큘러 방식
      • IV. 3D 영화사 동향 분석
      • 4.1 3D 영화 관련 업계 동향
      • 4.2 3D 영화 제작사 동향
      • 4.3 3D 극장용 장비 업계 동향
      • V. 제안된 3D 시네마용 3D 디스플레이 기술
      • 5.1 시스템 구성
      • 5.2 장단점 비교
      • 5.3 변형된 액정셔터 안경 방식
      • Ⅵ.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