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간호대학생의 성적 자율성 및 성인지 감수성이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sexual autonomy and gender sensitivity on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nursing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738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실천 중심의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J도 소재의 일개 간호대학생 321명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생식건강증진행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생식건강증진행위는 성적 자율성 및 성인지 감수성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생식건강증진행위의 영향요인은 성적 자율성(β=.49, p<.001), 성인지 감수성(β=.12, p=.010) 순으로 나타났다. 모형의 설명력은 24.1%였다. 이는 간호교육이 단순 지식 전달을 넘어, 개인이 성적 주체로서 의사결정하고 성인지 감수성을 실제 행동으로 연결할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을 설계해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체계적인 생식건강증진행위 중심의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실천 중심의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J도 소재의 일개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실천 중심의 간호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J도 소재의 일개 간호대학생 321명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생식건강증진행위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생식건강증진행위는 성적 자율성 및 성인지 감수성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생식건강증진행위의 영향요인은 성적 자율성(β=.49, p<.001), 성인지 감수성(β=.12, p=.010) 순으로 나타났다. 모형의 설명력은 24.1%였다. 이는 간호교육이 단순 지식 전달을 넘어, 개인이 성적 주체로서 의사결정하고 성인지 감수성을 실제 행동으로 연결할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을 설계해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체계적인 생식건강증진행위 중심의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that attempted to identify the influences on the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behaviours of nursing students and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practice-based nursing education programmes.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behaviour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xual autonomy and sexual awareness, and sexual autonomy (β=.49, p<.001) and sexual awareness (β=.12, p=.010) were the influencing factors of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behaviour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24.1%. This suggests that nursing education should go beyond simple knowledge transfer and that enable individuals to make decisions as sexual subjects and translate sexuality sensitivity into real-life behaviour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velop sexuality education programmes that focus on systematic behaviours that promote reproductive health.
      번역하기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that attempted to identify the influences on the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behaviours of nursing students and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practice-based nursing education programmes. Reproductiv...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that attempted to identify the influences on the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behaviours of nursing students and provide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practice-based nursing education programmes.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behaviours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xual autonomy and sexual awareness, and sexual autonomy (β=.49, p<.001) and sexual awareness (β=.12, p=.010) were the influencing factors of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behaviour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24.1%. This suggests that nursing education should go beyond simple knowledge transfer and that enable individuals to make decisions as sexual subjects and translate sexuality sensitivity into real-life behaviour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velop sexuality education programmes that focus on systematic behaviours that promote reproductive health.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