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Frame 개념을 적용한 사진 아카이브 계획 : 충무로 사진 거리를 활용하여 = A photo archive plan with the concept of a frame : Using Chungmuro's photo stree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820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서울시의 계획에 따르면, 현재 서울시 도봉구 창동에 국내 최초의 공공 사진 미술관이 계획되어지고 있다. 장소 선정에 있어서는 문화 환경이 다른 구에 비해 열악한 서울 동북권에 조성해 지역주민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자하였다고 한다. 좋은 취지라고 할 수 있지만, 미술관과 대상지가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되었으며, 보다 더 적합한 대상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지 서울의 여러 위치에 예술 공간을 조성해 문화 향유기회를 확대 한다는 의견은 다소 아쉬움을 느끼기에 충분했다.
      문화 향유 기회도 중요하지만, 대상에 맞는 장소선정을 함으로써, 보다 해당 구의 역사를 살리고, 기억하며 더 가능성 있는 제안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사진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에게 추억과 기억을 회상하게 하는데,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추억과 기억에 대해 가장 적합한 대상지인 충무로에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 환경조성을 하는 것에 있어서 적절한 대상지 선정을 통하여 단순히 사진을 전시하는 공간이 아닌, 기존의 추억과 기억을 회상 할 수 있는 곳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한 바이며, 그 상황에 맞게 재해석하고자 한다. 새롭게 선정 할 대상지의 기존의 추억과 기억, 그리고 회상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저장이라는 단어를 도출했고, 저장이라는 요소를 통해 아카이브를 도출하게 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아카이브의 기능은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대다수였기에, 보다 더 새로운 개념의 아카이브인 저장과 전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서울시의 계획에 따르면, 현재 서울시 도봉구 창동에 국내 최초의 공공 사진 미술관이 계획되어지고 있다. 장소 선정에 있어서는 문화 환경이 다른 구에 비해 열악한 서울 동북권에 조성해 ...

      서울시의 계획에 따르면, 현재 서울시 도봉구 창동에 국내 최초의 공공 사진 미술관이 계획되어지고 있다. 장소 선정에 있어서는 문화 환경이 다른 구에 비해 열악한 서울 동북권에 조성해 지역주민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자하였다고 한다. 좋은 취지라고 할 수 있지만, 미술관과 대상지가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되었으며, 보다 더 적합한 대상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지 서울의 여러 위치에 예술 공간을 조성해 문화 향유기회를 확대 한다는 의견은 다소 아쉬움을 느끼기에 충분했다.
      문화 향유 기회도 중요하지만, 대상에 맞는 장소선정을 함으로써, 보다 해당 구의 역사를 살리고, 기억하며 더 가능성 있는 제안이 아닌가 생각해본다. 사진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에게 추억과 기억을 회상하게 하는데,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추억과 기억에 대해 가장 적합한 대상지인 충무로에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 환경조성을 하는 것에 있어서 적절한 대상지 선정을 통하여 단순히 사진을 전시하는 공간이 아닌, 기존의 추억과 기억을 회상 할 수 있는 곳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한 바이며, 그 상황에 맞게 재해석하고자 한다. 새롭게 선정 할 대상지의 기존의 추억과 기억, 그리고 회상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저장이라는 단어를 도출했고, 저장이라는 요소를 통해 아카이브를 도출하게 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아카이브의 기능은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대다수였기에, 보다 더 새로운 개념의 아카이브인 저장과 전시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 제3절 연구흐름도 4
      • 제2장 아카이브와 Frame의 이론적 고찰 5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 제3절 연구흐름도 4
      • 제2장 아카이브와 Frame의 이론적 고찰 5
      • 제1절 아카이브의 이론적 고찰 5
      • 1.1 아카이브의 일반적 개념 5
      • 1.2 아카이브의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 6
      • 제2절 아카이브 기능에 대한 고찰 및 역할에 대한 요소 11
      • 제3절 Frame의 이론적 고찰 12
      • 3.1 Frame의 일반적 개념 12
      • 3.2 Frame의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 14
      • 제4절 소결 16
      • 제3장 아카이브 계획을 위한 사례 연구 19
      • 제1절 아카이브의 사례연구 19
      • 1.1 일민미술관 21
      • (1) 개요 21
      • (2) 공간구성 22
      • 1.2 청주 국립현대미술관 24
      • (1) 개요 24
      • (2) 공간구성 27
      • 1.3 파주 국립민속박물관 28
      • (1) 개요 28
      • (2) 공간구성 29
      • 제2절 Frame의 개념을 적용한 건축적 사례 32
      • 2.1 Frame의 개념을 적용 32
      • (1) 중첩으로서의 해석 33
      • (2) 차경으로서의 해석 34
      • 제3절 길을 통한 Frame - Interpretation Centre of Romanesque 35
      • 제4절 공간을 통한 Frame - School Group André Malraux 39
      • 제5절 외피를 통한 Frame – The Nelson-Atkins Museum of Art 43
      • 제6절 소결 48
      • 제4장 대상지 선정 50
      • 제1절 대상지 선정 50
      • 1.1 선정조건 50
      • 1.2 선정이유 51
      • 제2절 대상지 현황 및 분석 53
      • 제3절 소결 54
      • 제5장 Design Process 56
      • 제1절 디자인 전략 56
      • 제2절 Concept 57
      • 제3절 Program 59
      • 제4절 Mass Study 60
      • 제5절 소결 62
      • 제6장 건축계획 63
      • 제1절 배치계획 63
      • 제2절 평면계획 64
      • 제3절 입면계획 72
      • 제4절 단면계획 73
      • 제5절 동선계획 75
      • 제 7장 통합설계 76
      • 제1절 구조계획 76
      • 제2절 외피계획 78
      • 제3절 설비계획 80
      • 제4절 통합 설계 82
      • 제5절 피난 방재 계획 83
      • 제6절 무장애 계획 84
      • 제 8장 결론 86
      • 참고문헌 88
      • 부록 92
      • 국문초록 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