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i Tae-jun’ <Cheongchun museong> (1940) and <Byeoreun changmada> (1942-3) interpreted critically nationalism and the “National Total Mobilization”(1938-45)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itics of everyday life.’ The colonial aut...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41692
2013
Korean
이태준 ; < ; 청춘무성> ; < ; 별은 창마다> ; 국가총동원체제 ; 일상정치 ; 공공성 ; 자유주의 ; 교양주의 ; 국가주의 ; 파시즘 ; Yi Tae-jun ; < ; Cheongchun museong> ; < ; Byeorun changmada> ; National TotalMobilization ; politics of everyday life ; public interests ; liberalism ; culturalism ; nationalism ; fascism
810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419-454(36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i Tae-jun’ <Cheongchun museong> (1940) and <Byeoreun changmada> (1942-3) interpreted critically nationalism and the “National Total Mobilization”(1938-45)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itics of everyday life.’ The colonial aut...
Yi Tae-jun’ <Cheongchun museong> (1940) and <Byeoreun changmada> (1942-3) interpreted critically nationalism and the “National Total Mobilization”(1938-45)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itics of everyday life.’ The colonial authority of Korea not only forced Koreans to participate in realizing ‘Pan-Asianism’ of the Japanese empire, but also by ‘the National Total Mobilization’ did control the way of eating, wearing and sleeping in everyday life, and even putting nationalistic Japanese overtones on sympathizing others. On the other way, the western modus vivendi, liberalism, and cultural-ism, which having prevailed in everyday life since the ‘Enlightenment Period,’ were ostracized as non-Japanese and nonnational.
Yi Tea-jun by pluralizing the meaning and values of everyday life, challenged Japan’s national plan which utilized everyday life as a field for training Koreans as Japanese citizens. For example, in his novel <Cheongchun museong>, Yi has rewritten the ‘social welfare service’ monopolized by the colonial authority as actualization of common good based on the solidarity of Koreans. By recreating civil and liberalistic public interests imaginatively, he questioned on fascistic and non-liberalistic public interests which was circumscribed by the goal of the colonial regime, such as maintenance of social order, encouragement of allegiance to Japan, and logistical assistance.
In <Byeoreun changmada>, Yi Tae-jun criticized the national control on modus vivendi of everyday life such as eating, clothing and sheltering from a western cultural-ism standpoint. Yi, via young main characters dreaming the construction of beautiful and moralistic culture, criticized Japanese fascis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itics of everyday life, which standardize and homogenize everything into the nationalistic and logistical. Yi, by critical rewriting the daily control and nationalism of Japanese fascism, hoped to realize his politics of the imagination against it.
참고문헌 (Reference)
1 가와바타 미츠루, "조선주택영단의 주택에 관한 연구 : 문래동(舊道林町)주택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1990
2 최재서, "전환기의 조선문학" 영남대학교 출판부 191-, 2006
3 공제욱, "전시동원기 일제의 의복통제와 국민복" (9) : 231-261, 2006
4 송치호, "일제시기 조선사회사업협회의 성격에 대한 실증분석 : '식민지배 도구적 성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5 박진숙, "일제 말기 사회사업의 텍스트화 양상과 그 의미" 개신어문학회 (32) : 123-162, 2010
6 오재환, "일상생활의 구조와 생활정치" 11 (11): 89-103, 1996
7 정하늬, "이태준의 <별은 窓마다>에 나타난 도시" 한국현대문학회 (28) : 243-280, 2009
8 이태준, "이태준문학전집 4: 별은 창마다" 깊은샘 292-, 2000
9 이태준, "이태준 문학전집 14: 청춘무성" 깊은샘 438-, 2001
10 이태준, "연재장편과 작가, 두 연재물에 대하여" 14 (14): 118-119, 1942
1 가와바타 미츠루, "조선주택영단의 주택에 관한 연구 : 문래동(舊道林町)주택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1990
2 최재서, "전환기의 조선문학" 영남대학교 출판부 191-, 2006
3 공제욱, "전시동원기 일제의 의복통제와 국민복" (9) : 231-261, 2006
4 송치호, "일제시기 조선사회사업협회의 성격에 대한 실증분석 : '식민지배 도구적 성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5 박진숙, "일제 말기 사회사업의 텍스트화 양상과 그 의미" 개신어문학회 (32) : 123-162, 2010
6 오재환, "일상생활의 구조와 생활정치" 11 (11): 89-103, 1996
7 정하늬, "이태준의 <별은 窓마다>에 나타난 도시" 한국현대문학회 (28) : 243-280, 2009
8 이태준, "이태준문학전집 4: 별은 창마다" 깊은샘 292-, 2000
9 이태준, "이태준 문학전집 14: 청춘무성" 깊은샘 438-, 2001
10 이태준, "연재장편과 작가, 두 연재물에 대하여" 14 (14): 118-119, 1942
11 김주리, "연애와 건축 -김남천의 <사랑의 수족관>과 이태준의 <별은 창마다> 고찰-" 한민족문화학회 (37) : 147-176, 2011
12 Harootunian, Harry, "역사의 요동" Humanist 357-, 2006
13 윤해동, "식민지 공공성" 책과함께 418-, 2010
14 사이토 준이치, "민주적 공공성" 이음 134-, 2009
15 이광수, "도산 안창호 , In 이광수전집 7" 삼중당 116-218, 1971
16 히로마쓰 와타루, "근대의 초극론" 민음사 262-,
17 李賢姬., "韓半島に建築された日式住宅, 韓國に おけるい日式住宅"
18 Habermas, J.,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Lifeworld and System, A Critique of Functionalist Reason, Vol. 2" Beacon Press 457-, 1985
19 Jameson, Fredric, "The Political Unconscious : Narrative as a Socially Symbolic Act" Methuen 305-, 1981
20 Park, Sunyoung, "Everyday Life as Critique in Late Colonial Korea : Kim Namch’ǒn’s Literary Experiments, 1934~43" 63 (63): 861-893, 2009
아기장수전설의 서사가지(narrative tree)와 역사적 트라우마 극복의 선택지, 그리고 드라마〈각시탈〉의 아기장수전설 새로 쓰기
〈오륜가〉와 출처(出處)의 두 얼굴 : 주세붕의〈오륜가〉와 박인로의〈오륜가〉의 거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9 | 0.79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2 | 0.72 | 1.376 | 0.3 |
(수어) 위대한 수업4(GREAT MINDS) - 저출생, 워킹맘, 극우 그리고 신자유주의
K-MOOC EBS 조앤 윌리엄스(MOOC) 위대한 수업4(GREAT MINDS) - 저출생, 워킹맘, 극우 그리고 신자유주의
K-MOOC EBS 조앤 윌리엄스(더빙) 위대한 수업4(GREAT MINDS) - 저출생, 워킹맘, 극우 그리고 신자유주의
K-MOOC EBS 조앤 윌리엄스(방송) 위대한 수업4(GREAT MINDS) - 저출생, 워킹맘, 극우 그리고 신자유주의
K-MOOC EBS 조앤 윌리엄스세계평화와 지역협력론
대구가톨릭대학교 변영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