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성기 고구려 금공장식 연구 = A Study on the Metalwork Ornaments of Koguryo in Guknaeseong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761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earch on Koguryo decorations is focused on transplantation, dress-type ornaments, and random decorations, and research on the overall decoration is very sluggish. This is entirely due to a lack of data. A large amount of decoration was excavated fr...

      Research on Koguryo decorations is focused on transplantation, dress-type ornaments, and random decorations, and research on the overall decoration is very sluggish. This is entirely due to a lack of data. A large amount of decoration was excavated from the so-called Royal Tombs in Jian, Jilin Province, China, where the recent excavation survey was conducted, enabling consideration of the type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Koguryo's decoration during the period in Korea. In this article, we analyzed the gold and bronze decorations excavated from royal tombs excluding horse harnesses and transplants, which have progressed considerably. Among them, the function was estimated through analysis of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classifiable decorations. Based on this, the transformation process was considered by comparing the decorations of Koguryo after the domestic genitals were compiled and moved to Pyongyang. In addition, the patterns of exchange were ident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decorations of Samyeon, Baekje, Silla, and Japan.
      The types of decorations excavated from royal tombs in Korea can be classified into decorations of dress-type ornaments such as crown decoration and Yeongrak, as well as various crown decoration and other ornaments. The form of Yeongrak is subdivided into circular, deep-leaved, fishtail-shaped, and manobu Yeongrak. The openwork decoration is subdivided into the shape of Gumdong Tuzo Shichemun Guanjangsik(金銅透彫柹蔕文棺裝飾: gilt-bronze openwork persimmon shape coffin), animal, persimmon, five squares connected, round flower, hemispherical, hexagon, dragon, trefoiled and other decoration.
      Yeongrak has the largest amount of excavation, and many deep-leaved Yeongrak have been identified in the Samyeon area. In particular, it generally overlaps with the time when the crown decoration with the deep-leaved pearl was excavated from the tomb of the Moyong Seonbi, and through this, active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guryo and Moyong Seonbi can be confirmed.
      The openwork decoration is divided into a coffin in which the body is placed and other burial items are decorated. In particular, Gumdong Tuzo Shichemun Guanjangsik excavated from Taewangneung Tomb, which was reported as a Manga, has not been excavated from Koguryo tombs as well as China, which is important data for identifying the shape of the coffin where the body was placed. Various other pitching decorations are attached to the coffin and decorated, and the hexagon and dragon decorations can be classified as decorating other burial items such as harness and table.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decorations of Koguryo in Korea are closely related to the metalwork culture in the Samyeon region and influenced the metalwork cultur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고구려 장식에 대한 연구는 이식을 비롯한 착장형 장신구와 마구 장식에 집중되고 있으며, 이를 제외한 장식 전반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진하다. 이는 전적으로 자료의 부족에 기인한 것이...

      고구려 장식에 대한 연구는 이식을 비롯한 착장형 장신구와 마구 장식에 집중되고 있으며, 이를 제외한 장식 전반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진하다. 이는 전적으로 자료의 부족에 기인한 것이다. 최근 발굴조사가 실시된중국 지린성(吉林省) 지안(集安)시의 이른바 ‘왕릉급 고분’에서 다량의 장식이 출토되었는데, 이를 통해 국내성기 고구려 장식의 종류와 구조특징에 대한 고찰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연구가 상당히 진척된 마구와 이식을 제외한 왕릉급 고분에서 출토된 금제 및 금동제 장식을 분석하였다. 그중 분류 가능한 장식을 대상으로 형태 및 구조의 분석을 통해 기능을 추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성기 장식을 편년하고 평양천도이후의 고구려 장식과 비교하여 변천과정을 고찰하였다. 또한 삼연을 비롯해 백제, 신라 및 왜의 장식과 비교를 통해 교류 양상을 파악해 보았다.
      국내성기 왕릉급 고분에서 출토된 장식의 종류는 관모장식과 영락 등 착장형 장신구의 장식과 투조장식을비롯한 각종 관(棺) 장식 및 기타 부장품의 장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영락의 형태는 원형, 심엽형, 어미형, 마노부 영락으로 세분된다. 투조장식은 금동시체문투조관장식, 동물형, 시체문, 오련방, 단화형, 귀갑문, 용문, 삼엽문 및 기타 장식으로 세분된다.
      영락은 출토량이 가장 많은데, 심엽형 영락은 삼연지역에서도 다수 확인되고 있다. 특히 모용선비의 고분에서 심엽형 영락이 부착된 관모장식이 짐중적으로 출토되는 시기와 대체로 겹치며, 이를 통해 고구려와 모용선비의 활발한 문화적 교류를 확인할 수 있다.
      투조장식은 시신을 안치한 관과 기타 부장품에 장식한 용도로 구분된다. 특히 만가로 보고된 태왕릉 출토 금동시체문투조관장식은 고구려 고분뿐만 아니라 중국에서도 현재까지 출토 예가 없으며, 이는 시신을 안치한 관모양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기타 각종 투조장식들은 관에 부착하여 장식한 것들이며, 귀갑문과 용문장식은 마구나 안궤(案机) 등 다른 부장품을 장식한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국내성기 고구려 장식은 삼연지역의 금공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한반도 남부 및 왜의 금공문화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에렉젠, "흉노 귀족계층 무덤의 연구" 중앙아시아학회 15 : 55-78, 2010

      2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황남대총 북분 발굴조사보고서" 1985

      3 이한상, "황금의 나라 신라" 김영사 2004

      4 이난영, "한국 고대의 금속공예" 서울대학교출판부문화원 2012

      5 김수빈, "통구분지 고구려 고분 출토 금동장식 연구" 고려대학교 2021

      6 이도학, "태왕릉과 장군총의 피장자문제" 69 : 2004

      7 김유정, "집안지역 고구려 고분군의 분포 및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7

      8 이송란, "중국 위진남북조시대 金蟬紋璫과 金步搖冠飾의 시원과 전개" 한국대학박물관협회 (78) : 31-55, 2011

      9 강현숙, "중국 길림성 집안 지역 고구려 왕릉의 구조에 대하여" 한국고대사학회 (41) : 5-46, 2006

      10 이한상, "장신구 사여체제로 본 백제의 지방지배" 서경문화사 2009

      1 에렉젠, "흉노 귀족계층 무덤의 연구" 중앙아시아학회 15 : 55-78, 2010

      2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황남대총 북분 발굴조사보고서" 1985

      3 이한상, "황금의 나라 신라" 김영사 2004

      4 이난영, "한국 고대의 금속공예" 서울대학교출판부문화원 2012

      5 김수빈, "통구분지 고구려 고분 출토 금동장식 연구" 고려대학교 2021

      6 이도학, "태왕릉과 장군총의 피장자문제" 69 : 2004

      7 김유정, "집안지역 고구려 고분군의 분포 및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7

      8 이송란, "중국 위진남북조시대 金蟬紋璫과 金步搖冠飾의 시원과 전개" 한국대학박물관협회 (78) : 31-55, 2011

      9 강현숙, "중국 길림성 집안 지역 고구려 왕릉의 구조에 대하여" 한국고대사학회 (41) : 5-46, 2006

      10 이한상, "장신구 사여체제로 본 백제의 지방지배" 서경문화사 2009

      11 공석구, "연꽃무늬와당으로 본 광개토왕릉 비정" 고구려발해학회 64 : 83-107, 2019

      12 이송란, "신라 금속공예 연구" 일지사 2004

      13 한성백제박물관, "서울 석촌동 고분군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자료집"

      14 오진석, "삼연문화 연구의 현황과 과제" 고구려발해학회 65 : 39-67, 2019

      15 이한상, "부여 능산리 능안골 32호분 이식 검토" 6 : 2009

      16 이송란, "보요기법과 누금세공기법으로 본 신라 금공예의 수용 과정" 한국대학박물관협회 (86) : 59-87, 2015

      17 이한상, "백제이식에 대한 기초적 연구" 3 : 2000

      18 이남석, "백제 관제와 관식 - 관제 관식의 정치사적 의미고찰 -" 백제문화연구소 (20) : 5-20, 1990

      19 백승옥, "광개토왕릉비의 성격과 장군총의 주인공" 한국고대사학회 (41) : 47-84, 2006

      20 이한상, "공예 I : 고분미술" 예경 2006

      21 이영훈, "고분미술1" 솔출판사 2013

      22 리광희, "고구려유물연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5

      23 임기환, "고구려왕릉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9

      24 강현숙, "고구려와 비교해본 중국 한, 위ㆍ진의 벽화분" 지식산업사 2005

      25 정호섭, "고구려고분의 조영과 제의" 서경문화사 2011

      26 전호태, "고구려(高句麗)와 모용선비(慕容鮮卑) 삼연(三燕)의 고분문화" 동북아역사재단 (57) : 6-32, 2017

      27 기경량, "고구려(高句麗)국내성(國內城)시기의 왕릉과 수묘제(守墓制)" 56 : 2010

      28 강진원, "고구려 陵園制의 정비와 그 배경" 동북아역사재단 (39) : 7-52, 2013

      29 공석구, "고구려 유적의 어제와 오늘 : 고분과 유물편" 동북아역사재단 2008

      30 정호섭, "고구려 왕릉급 대형적석총의 型式과 編年" 고려사학회 (35) : 9-49, 2009

      31 임기환, "고구려 왕릉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9

      32 박아림, "고구려 벽화고분의 帷帳의 설치와 기능" 고구려발해학회 44 : 137-167, 2012

      33 강현숙, "고구려 고분에서 보이는 중국 삼연요소의 전개과정에 대하여" 한국상고사학회 51 (51): 109-146, 2006

      34 강현숙, "고구려 고분 연구" 진인진 2013

      35 강현숙, "고구려 고고학" 진인진 2020

      36 권오영, "고고자료에서 찾은 고구려인의 삶과 문화" 고구려연구재단 2006

      37 東潮, "高句麗考古學硏究" 吉川弘文館 1997

      38 魏存成, "高句麗考古"

      39 張福有, "高句麗王陵通考要報" 2007

      40 東湖, "高句麗王陵と巨大積石塚" 199ㆍ200合 : 2006

      41 浜田耕策, "高句麗廣開土王陵墓比定論の再檢討" 119ㆍ120合 : 1986

      42 耿鐵華, "高句麗墓上建築及其性質" 1993

      43 杉山信三, "高句麗の都城遺跡と古墳" 1992

      44 田村晃一, "高句麗の積石塚の年代と被葬者をめぐる問題について" 8 : 1984

      45 서나영, "高句麗 立柱附雲珠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46 유나리, "高句麗 金製 耳飾 硏究" 고려대학교 2015

      47 양은경, "高句麗 淸巖里土城 주변 출토 金銅冠의 系譜와 用途" 동북아역사재단 (34) : 245-293, 2011

      48 조법종, "高句麗 國內城의 空間과 廣開土王陵 -地圖와 陵碑文 檢討를 中心으로-" 고구려발해학회 44 : 263-296, 2012

      49 "食貨志"

      50 황호근, "韓國裝身具史" 瑞文堂 1972

      51 張福有, "集安高句麗王陵 : 1990-2003年集安高句麗王陵調査報告" 文物出版社 2004

      52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集安高句麗王陵" 文物出版社 2004

      53 魏存成, "集安高句麗大形積石塚王陵硏究" 2007

      54 여호규, "集安地域 고구려 超大型積石墓의 전개과정과 被葬者 문제" 한국고대사학회 (41) : 85-134, 2006

      55 최종택, "集安 高句麗 王陵 出土遺物의 諸 問題" 한국고대사학회 (41) : 135-168, 2006

      56 이도학, "集安 地域 高句麗 王陵에 관한 新考察" 고구려발해학회 30 : 87-119, 2008

      57 "隋書"

      58 "釋名"

      59 "舊唐書"

      60 이한상, "耳飾으로 본 古代 東北아시아 各國 사이의 交流" 백제문화연구소 1 (1): 181-212, 2013

      61 桃崎祐輔, "海と考古學" 六一書房 2005

      62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洞溝古墳群-1997年度調査測繪報告" 文物出版社 2002

      63 田村晃一, "楽浪と高句麗の考古学" 同成社 2001

      64 이한상, "東아시아 古代 金屬製 藏身具文化" 도서출판考古 2011

      65 이송란, "新羅의 말信仰과 馬具裝飾" 15 : 2002

      66 강현숙, "新羅 古墳美術에서 보이는 高句麗 影響에 대하여" 24 : 2003

      67 이도학, "將軍塚과 周邊 高句麗 王陵 比定 問題" 역사문화연구소 (58) : 3-34, 2016

      68 魏存成, "好太王的陵墓確認及相關問題" 2016

      69 永島輝神眞, "好太王卑と集安の壁畵古墳" 栮社 1988

      70 李熙濬, "太王陵의 墓主는 누구인가?" 한국고고학회 (59) : 74-117, 2006

      71 "大漢和辭典"

      72 조진숙, "壁畵에 나타난 高句麗 裝身具에 關한 硏究" 고구려발해학회 (17) : 45-84, 2004

      73 "周書"

      74 方起東, "千秋塚太王陵和將軍墳塚墓主人的推定" 1986

      75 飛鳥資料館, "北方騎馬民族のかがやき三燕文化の考古新発見"

      76 "北史"

      77 강현숙, "中國 三燕 墳墓와 慶州 皇南大塚 南墳의 比較 考察" 한국상고사학회 41 : 71-107, 2003

      78 百橋明穂, "世界美術大全集 東洋編4ㆍ隋ㆍ唐 4" 小学館版 1997

      79 辽宁省文物考古硏究所, "三燕文物精粋" 辽宁人民出版社 2002

      80 "三國志"

      81 문화공보부, "「신라 말신앙과 마구장식」, 『천마총발굴조사보고서』" 19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1-07-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Balhae -> Association of Koguryo Balha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2-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 -> 고구려발해연구
      외국어명 : The Koguryo Yonku -> The KoguryoBalhae Yonku
      KCI등재후보
      2008-02-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회 -> 고구려발해학회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 Institute of KoguryoBalha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3 2.013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