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高句麗 초기 梁貊 관계 기사와 그 실체 검토 = A Review on Historical Texts about Yangmaek and Its Reality during the Early Period of Kogury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761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previous studies, Yangmaek (梁貊) had been considered as an ethnic group that resided in the upper region of Taizi River in China. After Koguryo’s subjugation, the group were forced to offer tributes, or participate in Koguryo’s war. However,...

      In previous studies, Yangmaek (梁貊) had been considered as an ethnic group that resided in the upper region of Taizi River in China. After Koguryo’s subjugation, the group were forced to offer tributes, or participate in Koguryo’s war. However, while the term Yangmaek appears only in the “Annals of Koguryo (高句麗本紀),” there is a limitation to identifying its reality due to the frailty of related historical sources. Thus, this paper attempted to review the historical texts about Yangmaek, focusing on the scope of recognition of the ‘Yangmaek’ itself and Koguryo’s ruling method.
      First, this paper reconfirmed the previous studies’ perspective that the term Yangmaek was not limited to the residents in the upper region of Taizi River, but a generic term for the people in the western frontier of Koguryo. Also, it reviewed the places names that appeared in the text during the invasion of the Wei Dynasty led by Guanqiu Jian(毌丘儉) in the third century. As a result, although Yangmaek was used as a term referring to the resident in a wider area than the upper regions of Taizi River, it was presumed that the term was not for the people in an ambiguous area but a limited range of residents in a more existent space. Additionally, because the residents of the Second Xuantu Commandery(玄菟郡) were called ‘maek(貊)’, the residents in this area were addressed with the same ethnic term despite the cultural disparity from Koguryo.
      After the second century AD, Koguryo secured control over the upper region of Ai River(靉河) and Kuandian County(寬甸縣), which were the residential area for Maek people in the Second Xuantu Commandery. Within this jurisdictional boundary, the upper region of Taizi River, specifically Xiajiahe Village where Taizi Fortress (太子城) was constructed, the center of transportation. Later, Yangmaek was used as a name referring to the residents in this jurisdictional boundary, becauseKoguryo governed the surrounding area through this area by the middle peri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梁貊은 기존 연구에서 중국 태자하 상류에 거주하고 있었던 종족집단(ethnic group)으로서 고구려에게 복속된 이래 공납물을 바치거나 때로는 전쟁에 동원된 집단으로 비정되어 왔다. 그러나 ...

      梁貊은 기존 연구에서 중국 태자하 상류에 거주하고 있었던 종족집단(ethnic group)으로서 고구려에게 복속된 이래 공납물을 바치거나 때로는 전쟁에 동원된 집단으로 비정되어 왔다. 그러나 양맥이라는 용어는 오로지 高句麗本紀에만 등장할 뿐만 아니라, 관련 자료의 박약함으로 인해 접근에 한계가 많다. 이에 본고에서는 양맥이라는 종족집단의 명칭이 가진 인식의 범위와 그 인식의 주체인 고구려의 지배방식 문제를 중심으로고구려본기 양맥 관계 기사를 검토하였다.
      먼저 양맥이라는 용어가 태자하 상류 주민들에 한정된 것이 아닌 고구려 서변의 주민들의 범칭이라는 기존연구의 관점을 재확인하고, 이와 관련된 3세기 위나라 관구검 침공 당시 나타나는 양맥 관계 지명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양맥은 비록 태자하 상류보다 넓은 범위의 주민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지만, 그것은 막연한 인식이 아닌 보다 실제적인 공간에 한정된 범위의 주민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태자하상류 일대는 고구려와 문화적으로 상이성도 두드러짐에도 같은 ‘맥’으로 칭해진 이유는 제 2현도군 시기 그 관할 주민들을 ‘맥’으로 칭했던 사정에서 기인했다고 보았다.
      2세기 이후 고구려는 애하 상류-관전현 일대를 포함한 주변의 주민집단, 곧 기존 현도군에서 ‘맥’으로 칭해지던 집단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하였다. 그리고 이 지배 권역에서 태자성이 설치된 태자하 상류 하협하향 일대는 북쪽의 소자하 연안의 주민집단과, 남쪽의 애하-관전현으로 이어지는 교통로의 중심지였다. 곧 양맥이이 관할 영역을 대표하는 이름으로 정착된 것은 고구려가 중기에 이르기까지 태자성이 설치된 구 양맥의 거주지를 중심으로 하여 주변 지역을 관리했기 때문으로 보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冬達, "遼寧新濱高句麗太子城" (4) : 1992

      2 윤용구, "한중관계사상의 교통로와 거점" 동북아역사재단 2011

      3 김종완, "한중관계사상의 교통로와 거점" 동북아역사재단 2011

      4 조영광, "초기 고구려 종족 계통 고찰 - 예맥족을 중심으로 -" 동북아역사재단 (27) : 167-218, 2010

      5 김장석, "중부지역 종족 연구경향에 대한 단상" 2019

      6 윤용구, "요동군과 현도군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8

      7 오대양, "요동과 길림, 서북한지역 청동기시대 묘제의 전개양상 검토" 백산학회 (115) : 173-217, 2019

      8 이정빈, "양맥・숙신의 난(難), 변경에서 본3세기 후반 동아시아와 고구려" 한국사연구회 (187) : 105-141, 2019

      9 윤선태, "낙랑군 호구부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10

      10 권오중, "고대 중국 正史에서의 예맥 - ‘요동예맥’의 자취에 관한 검토로서 -" 동북아역사재단 (49) : 243-281, 2015

      1 冬達, "遼寧新濱高句麗太子城" (4) : 1992

      2 윤용구, "한중관계사상의 교통로와 거점" 동북아역사재단 2011

      3 김종완, "한중관계사상의 교통로와 거점" 동북아역사재단 2011

      4 조영광, "초기 고구려 종족 계통 고찰 - 예맥족을 중심으로 -" 동북아역사재단 (27) : 167-218, 2010

      5 김장석, "중부지역 종족 연구경향에 대한 단상" 2019

      6 윤용구, "요동군과 현도군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08

      7 오대양, "요동과 길림, 서북한지역 청동기시대 묘제의 전개양상 검토" 백산학회 (115) : 173-217, 2019

      8 이정빈, "양맥・숙신의 난(難), 변경에서 본3세기 후반 동아시아와 고구려" 한국사연구회 (187) : 105-141, 2019

      9 윤선태, "낙랑군 호구부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10

      10 권오중, "고대 중국 正史에서의 예맥 - ‘요동예맥’의 자취에 관한 검토로서 -" 동북아역사재단 (49) : 243-281, 2015

      11 윤용구, "고구려의 역사와 대외관계" 서경문화사 2006

      12 김기흥, "고구려의 성장과 대외무역" 16 : 1987

      13 朴京哲, "고구려의 국가형성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7

      14 강인숙, "고구려사연구" 사회과학출판사 1976

      15 여호규, "고구려 초기의 梁貊과 小水貊" 한국고대사학회 25 : 91-130, 2002

      16 여호규, "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 신서원 2014

      17 여호규, "고구려 초기 對中戰爭의 전개과정과 그 성격" 동북아역사재단 (15) : 7-56, 2007

      18 김현숙, "고구려 영역지배방식 연구" 모시는사람들 2005

      19 양시은, "고구려 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20 정원철, "고구려 남도․북도와 고구려 산성의 축성"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0) : 1-52, 2011

      21 중앙문화재연구원, "고구려 고고학" 진인진 2020

      22 여호규, "高句麗의 種族 起源에 대한 일고찰 ― 夫餘別種說과 貊族說의 정합적 이해를 중심으로 ―" 수선사학회 (38) : 105-140, 2011

      23 김효진, "高句麗의 對新 관계 전개와 高句驪侯" 한국고대사학회 (99) : 205-232, 2020

      24 여호규, "高句麗의 國家形成과 漢의 對外政策"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54) : 1-37, 2005

      25 이종록, "高句麗와 玄菟郡의 관계와 幘溝漊 설치 배경 검토" 한국고대학회 (55) : 403-438, 2018

      26 王綿厚, "高句麗古城研究" 文物出版社 2002

      27 田中俊明, "高句麗の興期と幘溝漊" 1 : 1994

      28 東潮, "高句麗の歴史と遺跡" 中央公論社 1995

      29 박경철, "高句麗 異種族支配의 實相" 고려사학회 (15) : 10-320, 2003

      30 임기환, "高句麗 前期 山城 硏究" 82 : 1998

      31 여호규, "高句麗 初期의 兵力動員體系" 36 : 1998

      32 김성현, "高句麗 初期 支配勢力의 再編과 政治體制의 變動" 서울대학교 2021

      33 이병도, "韓國古代史硏究" 博英社 1976

      34 撫順市博物館, "遼寧新賓縣高句麗太子城" 4 : 1992

      35 이성제, "玄菟郡의 改編과 高句麗 -‘夷貊所侵’의 의미와 郡縣의 對應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64) : 285-322, 2011

      36 和田淸, "玄菟郡考" 1 : 1951

      37 三品彰英, "濊貊族小考" 1953

      38 梁志龍, "沸流雜考" 4 : 1997

      39 이현혜, "沃沮의 기원과 문화 성격에 관한 고찰" 한국상고사학회 70 (70): 41-67, 2010

      40 梁志龍, "梁貊略說" (1) : 1993

      41 오강원, "東洲河 流域~蘇子河 下流域의 支石墓와 梁貊" 동아시아고대학회 (28) : 205-252, 2012

      42 孫進己, "東北歷史地理" 黑龍江人民出版社 1989

      43 王綿厚, "東北古代交通" 沈陽出版社 1988

      44 박찬규, "小水貊과 梁貊考" 9 : 1997

      45 吉林省文物管理委員會, "吉林通化市江口村和東江村考古發掘簡報" (7) : 1960

      46 顧頡剛, "中國古代地理名著選讀" 中國科學院地理硏究所 1959

      47 이현혜, "三韓社會形成過程硏究" 일조각 1984

      48 여호규, "『高句麗 城』2(遼河流域篇)" 국방군사연구소 1999

      49 鄭早苗, "『漢書』ㆍ『後漢書』ㆍ『三國志』の高句麗と句麗の名稱について" 89 : 1978

      50 白鳥庫吉, "『滿洲歷史地理』1" 南滿洲鐵道株式會社 1913

      51 池內宏, "『朝鮮史硏究』上世第一冊" 吉川弘文館 1951

      52 이종록 ; 박대재, "『我邦疆域考』 역주・비평(3) -玄菟考-" 고려사학회 (80) : 217-258, 2020

      53 박경철, "‘高句麗社會’의 發展과 政治的 統合 努力" 14 : 1998

      54 기경량, "4세기 고구려 ‘南道·北道’의 실체와 그 성격"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3) : 239-272, 2016

      55 여호규, "3세기 후반~4세기 전반 고구려의 교통로와 지방통치조직" 91 : 1995

      56 余昊奎, "1-4세기 고구려 政治體制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1-07-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Balhae -> Association of Koguryo Balha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2-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 -> 고구려발해연구
      외국어명 : The Koguryo Yonku -> The KoguryoBalhae Yonku
      KCI등재후보
      2008-02-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회 -> 고구려발해학회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 Institute of KoguryoBalha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3 2.013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