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태양계와 별 수업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사고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Spatial Thinking Revealed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 on Solar System and Sta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942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천체의 운동을 이해하는데 공간적 사고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고임을 전제로, 실제 천문 관련 수업에서 공간적 사고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이 연구에서는 천체의 운동을 이해하는데 공간적 사고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고임을 전제로, 실제 천문 관련 수업에서 공간적 사고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태양계와 별 단원 수업에 대한 네 교사들의 수업을 공간적 사고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천체의 운동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학생과 교사가 관측의 기준점과 방위를 명시적으로 공유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구기반 관점과 우주기반 관점을 학생에게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 천체의 운동을 이해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천체의 운동을 이해하고 공간적 사고를 키우기 위하여 첫째, 관측 기준점과 방위를 명확히 제시하는 수업, 둘째, 지구기반 관점과 우주기반 관점을 동시에 제시하여 운동의 상대성을 체험시키는 수업, 셋째, 운동을 주제로 천체의 운동을 설명하는 수업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importance of spatial thinking to understand celestial mo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spatial thinking was treated in astronomy classes. For this study, we analyzed four elementary teachers` science classes about the unit ‘...

      Based on the importance of spatial thinking to understand celestial mo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spatial thinking was treated in astronomy classes. For this study, we analyzed four elementary teachers` science classes about the unit ‘solar systems and stars’ in 5th grade in terms of spatial thinking. The results showed that sharing perspectives and orientation explicitly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were important for students to understand celestial motion. Providing the earth-based and the space-based viewpoints simultaneously were helpful for students` understanding of celestial mo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clarifying the viewpoint and orientation, showing the earth-based and the space-based viewpoint simultaneously, and reorganizing the relative units of astronomy based on celestial motion and spatial think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진우, "흥미와 학습양식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지구의 자전 관련 개념" 한국지구과학회 25 (25): 532-544, 2004

      2 김상달, "초등학교 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 26 (26): 461-468, 2005

      3 김희수, "천문학적 공간개념 수준에 관한 검사도구 개발" 한국지구과학회 24 (24): 508-523, 2003

      4 이용섭, "천문영역에 대한 STAD모형의 협동 학습이 초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5 (25): 141-148, 2006

      5 채동현, "지구운동 중심 태양계 실험 모형이 초등 예비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천문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886-901, 2004

      6 변재성,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생각" 한국지구과학회 25 (25): 519-531, 2004

      7 맹승호, "순위 선다형 문항을 이용한 천문 시스템 학습 발달과정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703-718, 2014

      8 이용섭, "소집단 탐구기법을 활용한 ‘계절의 변화 원인’ 학습이 공간지각 개념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5 (5): 307-315, 2012

      9 고민석, "계절의 변화 원인에 대한 설명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개념 시뮬레이션 사례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7 (7): 43-53, 2014

      10 Mathewson, J. H., "Visual-spatial thinking : An aspect of science overlooked by educators" 83 (83): 33-54, 1999

      1 정진우, "흥미와 학습양식에 따른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지구의 자전 관련 개념" 한국지구과학회 25 (25): 532-544, 2004

      2 김상달, "초등학교 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한국지구과학회 26 (26): 461-468, 2005

      3 김희수, "천문학적 공간개념 수준에 관한 검사도구 개발" 한국지구과학회 24 (24): 508-523, 2003

      4 이용섭, "천문영역에 대한 STAD모형의 협동 학습이 초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5 (25): 141-148, 2006

      5 채동현, "지구운동 중심 태양계 실험 모형이 초등 예비교사와 초등학교 교사의 천문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886-901, 2004

      6 변재성,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생각" 한국지구과학회 25 (25): 519-531, 2004

      7 맹승호, "순위 선다형 문항을 이용한 천문 시스템 학습 발달과정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703-718, 2014

      8 이용섭, "소집단 탐구기법을 활용한 ‘계절의 변화 원인’ 학습이 공간지각 개념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5 (5): 307-315, 2012

      9 고민석, "계절의 변화 원인에 대한 설명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개념 시뮬레이션 사례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7 (7): 43-53, 2014

      10 Mathewson, J. H., "Visual-spatial thinking : An aspect of science overlooked by educators" 83 (83): 33-54, 1999

      11 Bishop, A. J., "The use of structural apparatus and spatial ability : A possible relationship" 9 (9): 43-49, 1973

      12 Callison, P. L., "The effect of teaching strategies using models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conceptions about Earth-Sun-Moon relationships" 2-17, 1993

      13 Lim, J., "The concept on the rotation of the earth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third year according to their spatial sensibilit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7

      14 Parker, J., "The Earth and Beyond : Developing Prim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Basic Astronomical Events" 20 (20): 503-520, 1998

      15 Broadfoot, J. M., "Teaching and learning astronomy: Effective strategies for educators worldwid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57, 2005

      16 Ha, O., "Study on the conceptual type of elementary students concerning on the earth’s rotation" 16 (16): 103-122, 1997

      17 Schoon, K. J., "Students' alternative conceptions of Earth and Space" 40 (40): 209-214, 1992

      18 Plummer, J. D., "Spatial thinking as the dimension of progress in an astronomy learning progression" 1-45, 2014

      19 Lohman, D. F., "Spatial ability: A review and reanalysis of the correlational literature" Stanford University, Aptitude Research project, School of Education 1979

      20 Black, A., "Spatial ability and Earth Science conceptual understanding" 53 (53): 402-414, 2005

      21 Kali, Y., "Spatial abilities of high-school students in the perception of geologic structures" 33 (33): 369-391, 1996

      22 Rudmann, D. S., "Solving astronomy problems can be limited by intuited knowledge, spatial ability, or both" 468815 : 1-11, 2002

      23 Geary‚ D. C., "Sexual selection and sex difference s in mathematical abilities" 19 (19): 229-247, 1996

      2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5-2" MiraeN 2011

      25 Myeong, J., "Reasons for unsuccessful Earth Science problem solving of pre-service teachers : A study on the motions of the moon and the planets" 22 (22): 339-349, 2001

      26 French, J. W., "Manual for kit of reference tests for cognitive factors (revised 1963)" Educational Testing Service 1963

      27 National Research Council, "Learning to think spatially" National Academies Press 2006

      28 Bishop, A. J., "Issues in Mathematics Education" Springer Science+ Business Media 71-82, 2008

      29 Lohman, D. F., "Intelligence and cognition: Contemporary frames of reference" Springer 253-312, 1987

      30 MaGee, M. G., "Human spatial abilities : Psychometric studies and environmental genetic, hormonal and neurological influences" 86 (86): 889-918, 1979

      31 Dunlop. J., "How children observe the universe" 17 (17): 194-206, 2000

      32 Linn, M. C., "Emergence an characterization of sex differences in spatial ability : A meta-analysis" 56 : 1479-1498, 1985

      33 Broadfoot, J. M., "Development of visuospatial abilities among undergraduate astronomy students" Curtin University of Technology 1995

      34 Diakidoy, I-A, "Conceptual change in astronomy: Models of the earth and of the day/night cycle in American-Indian children" 12 (12): 159-184, 1997

      35 Kim, B., "Concepts on motion of the earth and the moon to spatial ability, visual-perception-recall ability, learning styles" 17 (17): 103-111, 1998

      36 Baxter, J., "Children's understanding of familiar astronomical events" 11 (11): 502-513, 1989

      37 Titus, S., "Characterizing and improving spatial visualization skills" 57 (57): 242-254, 2009

      38 Vosniadou, S., "Capturing and modeling the process of conceptual change" 4 (4): 45-69, 1994

      39 Plummer, J., "Build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celestial motion : Elementary levels from an earth-based perspective" 47 (47): 768-787, 2010

      40 Lim, C., "An analysis of contents and problems on astronomical area in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13 (13): 247-256, 1993

      41 이경훈, "9학년 학생의 공간 능력 차이에 따른 지구자전 개념의 획득" 한국지구과학회 31 (31): 267-275,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4-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7 1.87 1.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54 2.133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