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또래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2세 영아의 바라보기 행동이 사회적 참조로써 어떠한 의미로 나타나는지를 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에 거주하는 세 명의 2세 영아들과 그들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또래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2세 영아의 바라보기 행동이 사회적 참조로써 어떠한 의미로 나타나는지를 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에 거주하는 세 명의 2세 영아들과 그들의 ...
본 연구는 또래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2세 영아의 바라보기 행동이 사회적 참조로써 어떠한 의미로 나타나는지를 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에 거주하는 세 명의 2세 영아들과 그들의 어머니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어머니와의 면담과 예비관찰 3회를 통하여 영아의 발달특성을 파악하였으며, 또래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영아들의 사회적 참조행동을 살펴보기 위하여 9회의 본관찰이 이루어졌다.
2세 영아들은 또래관계 속에서 양육자로부터 정서적 위안과 안정감을 얻기 위하여 사회적 참조를 사용하였으며, 점차 그 대상은 변화되기도 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또래영아를 바라보는 참조행동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영아의 사회적 참조행동은 자신의 행동에 대한 평가와 통제를 위하여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또래관계에서 발생한 상황을 해석하고 타인의 마음을 공감하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하였다. 또한, 처음에는 낯설었던 또래는 점차 의미있는 타인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영아들의 사회적 참조 행동의 대상이 어머니에서 또래로 옮겨져 가는 것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영아는 상황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사회적 참조를 사용하며 이때 활용될 수 있는 사회적 참조는 자신과 친숙한 사람으로부터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더욱이 언어발달 이전의 영아는 사회적 참조행동을 타인과의 정서적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자신에게 의미있는 사람에게 의존하여 선택적으로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at exploring the significance of the "looking behavior" of infants that is called social referencing. For this study, three two-year-old infants and their mothers living in Seoul were selected and observed 12 times. Two-year-old...
This research aimed at exploring the significance of the "looking behavior" of infants that is called social referencing. For this study, three two-year-old infants and their mothers living in Seoul were selected and observed 12 times.
Two-year-old infants in unfamiliar circumstances looked at their mothers often for affective and emotional consolation, and to gather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situation. Additionally, they used social referencing to control and check the limit of their behavior. The subjects of social referencing of the infants were transferred from their mothers to their peers gradually as the peer relationship was built. Infants mimicked the emotional expressions of others in order to empathize with others and showed pro-social behavior toward other infants. It means that the infants became familiar with each other and coexisted as meaningful others in their context.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social referencing for two-year-old infants is related to their familiarity and it might take a role as a social and emotional communicative skill until they acquire language ability. Also, their instances of social referencing occur selectively depending on their meaningful other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천, "질적연구 방법론 1" 문음사 2006
2 宋聖玉, "외동이와 형제아의 사회성 발달과 아버지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成均館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3 김덕희, "외동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4 위영희, "영아의 사회적 참조행동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4
5 김연수, "영아기 간접적 정서 정보의 이해에 따른 사회적 참조 행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6 이옥임, "영아 사회적 참조에 관한 이론고찰 및 사례연구" 10 (10): 137-159, 2006
7 Kim, Jeongah,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관련된 제 변인에 관한 연구 : 어머니와 교사의 평가를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0
8 김연수, "사회적 참조 상황에서의 영아의 응시와 기질간 관련성"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83-99, 2011
9 정석진, "반응성 애착장애아와 자폐아의 사회인지능력 비교 : 사회적 참조와 공동주의하기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0 De Rosnay, M., "Transmission of Social Anxiety from Mother to Infant, An Experimental Study Using a Social Referencing Paradigm" 44 (44): 1165-1175, 2006
1 김영천, "질적연구 방법론 1" 문음사 2006
2 宋聖玉, "외동이와 형제아의 사회성 발달과 아버지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成均館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3 김덕희, "외동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4 위영희, "영아의 사회적 참조행동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4
5 김연수, "영아기 간접적 정서 정보의 이해에 따른 사회적 참조 행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6 이옥임, "영아 사회적 참조에 관한 이론고찰 및 사례연구" 10 (10): 137-159, 2006
7 Kim, Jeongah,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관련된 제 변인에 관한 연구 : 어머니와 교사의 평가를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0
8 김연수, "사회적 참조 상황에서의 영아의 응시와 기질간 관련성"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83-99, 2011
9 정석진, "반응성 애착장애아와 자폐아의 사회인지능력 비교 : 사회적 참조와 공동주의하기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0 De Rosnay, M., "Transmission of Social Anxiety from Mother to Infant, An Experimental Study Using a Social Referencing Paradigm" 44 (44): 1165-1175, 2006
11 Vaillant-Molina, M., "The Role of Intersensory Redundancy in the Emergence of Social Referencing in 5½-month-old infants" 48 (48): 1-9, 2012
12 Honik, R., "The Effect of Maternal Positive, Neutral, and Negative Communications on Infant Responses to New Toys" 58 : 937-944, 1987
13 Kellman, P. J., "The Cradle of Knowledge, Development of Perception in Infancy" MIT press 1998
14 Zahn-Waxler., "The Case for Empathy, A Developmental Review" 2 : 155-158, 1991
15 Feinman, S., "Social Referencing and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in Infancy" Plenum 3-13, 1992
16 Feinman, S., "Social Referencing and Second-order Effect in Ten-month Old Infants" 1981
17 Miles, M. B., "Qualitative Data Analysis, A Sourcebook of New Methods" Sage 1994
18 Clearfield, M. W., "Learning by Looking, Infants’ Social Looking Behavior Across the Transition from Crawling to Walking" 100 (100): 297-307, 2008
19 Murray, L.,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Maternal Social Anxiety, The Role of Social Referencing Processes"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2005
20 Walden, T. A, "Infants' Social Looking toward Mothers and Strangers" 29 (29): 356-360, 2005
21 Campos, J. J., "Infant Social Cognition , Empirical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Erlbaum 314-323, 1981
22 Kim, G., "Impact and Characteristics of Positive and Fearful Emotional Messages during Infant Social Referencing" 33 (33): 189-195, 2010
23 Hatfield, E., "Emotional Contag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24 Pelaez, M., "Derived Relational Responding, Applications for Learners with Autism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New Harbinger 63-78, 2009
25 Adamson, L. B., "Annals of child development" Kingsley 1-41, 1991
26 Pelaez, M., "Acquisition of Social Referencing via Discrimination Training in Infants" 45 (45): 23-36, 2012
27 Falbo, T., "A Quantitative Review of the Only-child Literature, Research Evidence and Theory Development" 100 : 176-189, 1987
28 Stenberg, G., ""Effects of Maternal Inattentiveness on Infant Social Referencing"" 12 (12): 399-419, 2003
대학생의 부모됨 동기, 부모됨 인식, 부모역할 자신감에 관한 연구
부부 간 의사소통이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조 바꾸기를 활용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흥미와 음악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동화에 나타난 생명존중 관련 내용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04 | 2.04 | 2.1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02 | 1.95 | 2.428 | 0.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