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麟坪大君房全圖』와 御製祭文을 통해 본 朝鮮王室의 友愛 宣揚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에 서울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화려한 第宅은 麟坪大君(1622~1658)의 집이었다. 인평대군은 인조의 3째 아들이자 훗날 효종이 되는 봉림대군의 동생이다. 인평대군과 봉림대군은 駱...

      조선시대에 서울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화려한 第宅은 麟坪大君(1622~1658)의 집이었다. 인평대군은 인조의 3째 아들이자 훗날 효종이 되는 봉림대군의 동생이다. 인평대군과 봉림대군은 駱山과 宗廟를 각각 등 뒤에 두고 서로 마주 보는 두 누각 朝陽樓, 夕陽樓를 짓고 살았다. 조양루는 봉림대군이 15살이던 1633년에, 석양루는 인평대군이 20세이던 1641년에 건립되었는데 3살 터울이 나는 두 형제는 鈴索으로 불리는 방울을 단 동아줄을 연결하여 서신을 왕래하고 안부를 묻는 등 우애가 각별하였다. 효종이 왕으로 있는 동안 인평대군은 여러 가지 보호를 받아 제택의 규모를 늘리고 화려한 생활을 누렸다. 현종 대에도 이런 기조는 이어졌다.
      그러나 숙종 대의 경신환국(1680)으로 인평대군의 아들 삼형제가 역모로 몰려 죽고 영조대에는 다시 그 증손자가 당쟁에 휘말려 죽자 화려하던 제택은 퇴락하고 급기야는 동물이나 거지들이 들락거리며 이웃 사람들이 꽃나무를 땔감으로 베어가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집안의 여종 得玉의 저주라는 귀신 이야기가 장안에 회자되기도 하였다.
      몰락을 거듭하던 인평대군 집안은 1731년 귀머거리 李?을 봉사손으로 삼아 겨우 사당에 제사를 올리는 정도였는데 1751년(영조27) 영조가 本宮에 들렀다가 이숙을 만나보는 것을 기점으로 다시 중흥하게 된다. 이숙의 아들 李鎭翼은 1751년 昌慶宮 崇文堂에서 영조를 알현하여 선대의 御札과 우애를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었고, 1773년에는 慶熙宮 集慶堂에서 인평대군의 遺稿를 가지고 입시하여 영조의 명으로 校書館에서 간행하였다.
      한편 인평대군의 사후 효종을 비롯하여 숙종 · 영조는 치제문을 친히 짓고 썼는데 중심 내용은 인평대군의 우애이다. 특히 이 제문에는 숙종과 영조 자신이 인평대군의 후손을 죽인 것을 후회하는 내용이 들어 있어 주목된다. 이러한 전통을 계승하여 1792년(정조16)에 정조는 이진익에게 인평대군의 묘소에 제사를 올리고 치제문비를 세우게 하였으며, 閣臣 徐榮輔에게 인평대군 사당을 봉심하고 인평대군 제택을 그림으로 그려 올리라 명하였다. 이는 비정한 정치 현실로 무너진 왕실의 우애를 선양하고 나아가 왕실과 왕권을 강화하려는 큰 구도 속에서 나온 조치이다.
      그동안 규장각에 소장된 「麟坪大君房全圖」는 제작 연대가 불명하였으나 이번 연구로 1792년에 제작된 것이 밝혀졌다. 또한 인평대군 묘소 앞에 세워진 2기의 비문내용을 인평대군 후손의 당쟁 연루와 비교 분석하여 조선 왕실에서 그 우애를 선양한 맥락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인평대군방전도」와 인평대군 致祭文碑의 이해를 심화시켜 문화유산의 가치를 제고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아울러 인평대군의 6대손이자 이진익의 손자 寀重은 球로 이름을 바꾸어 영조의 동생 延齡君의 嗣子인 恩信君의 후사를 이었는데, 그가 바로 南延君이고 그의 아들 흥선은 대원군이 되고 손자 고종은 황제가 된 역사적 사실은, 그 진진한 왕실 가계의 곡절로 인하여 인평대군의 우애가 반영된 그림과 비문에 문화적 흥미를 더해 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nsion of the Prince Inpyeong, the third son of Injo and younger brother of Hyojong, was the most splendid residence in Seoul at that time. On the opposite side of Inpyeong’s mansion, there was the mansion of the Prince Bonglim, the future Hyoj...

      The mansion of the Prince Inpyeong, the third son of Injo and younger brother of Hyojong, was the most splendid residence in Seoul at that time. On the opposite side of Inpyeong’s mansion, there was the mansion of the Prince Bonglim, the future Hyojong. In the back of Inpyeong’s mansion there was Mt. Nak, while in the back of Bonglim’s house, there was Jongmyeo, the National Shrine. The main building of Inpyeong’s residence was the Joyang Pavilion built in 1633, while the main structure of Bonglim’s was the Sekyang Pavilion built in 1641. During the reign of Hyojong, the Prince Inpyeong enjoyed his brilliant house.
      After the death of Inpyeong and the tragic end of his sons during the political strife of 1680, the mansion became a deserted house and people came there to cut down the trees for the firewood. Only Yi Suk, a deaf man who was left as one relative of the Inpyeong family, kept the memorial service for ancestors.
      However, Yi Jinik, the son of Yi Suk, changed the fortunes of the mansion. In 1752, he met Yeongjo and let the king know about the brotherhood of Inpyeong and Hyojong. In 1773, he showed the posthumous works of Prince Inpyeong to Yeongjo and made Inpyeong’s anthology under Yeongjo’s orders. Yeongjo composed the funeral oration for Inpyeong and praised the brotherhood. The next king, Jeongjo, was touched by the story of Inpyeong and Hyojong, and asked Se Yeongbo to paint the mansion of Prince Inpyeong. Presumably with political motivations, Jeongjo aimed to show the virtuous brotherhood of the royal family to the world. It can be assumed that the anonymous painting “Mansion of Prince Inpyeong” currently preserved in the Kyujanggak must have been produced in 1792 under the orders of King Jeongj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麟坪大君房全圖』와 마주보는 두 第宅
      • 3. 朝陽樓, 夕陽樓의 興亡盛衰와 鈴索 故事
      • 4. 역대 왕들의 치제문과 우애의 반추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麟坪大君房全圖』와 마주보는 두 第宅
      • 3. 朝陽樓, 夕陽樓의 興亡盛衰와 鈴索 故事
      • 4. 역대 왕들의 치제문과 우애의 반추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麟坪大君要覽"

      2 "六堂本 靑丘永言" 푸른사상 2013

      3 지두환, "효종대왕과 친인척" 역사문화 2009

      4 임형택, "한문 서사의 영토 1" 태학사 2012

      5 안희준, "한국미술사연구" 사회평론 2012

      6 유재빈, "추모의 정치성과 재현 -정조의 단종사적 정비와 《월중도(越中圖)》-"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7) : 260-291, 2008

      7 한신대학교박물관, "조선이 사랑한 글씨" 2013

      8 이순자, "조선의 숨겨진 왕가 이야기" 평단 2013

      9 김문식, "정조의 생각" 글항아리 2012

      10 지두환, "정조대왕과 친인척 1 - 세가" 역사문화 2009

      1 "麟坪大君要覽"

      2 "六堂本 靑丘永言" 푸른사상 2013

      3 지두환, "효종대왕과 친인척" 역사문화 2009

      4 임형택, "한문 서사의 영토 1" 태학사 2012

      5 안희준, "한국미술사연구" 사회평론 2012

      6 유재빈, "추모의 정치성과 재현 -정조의 단종사적 정비와 《월중도(越中圖)》-"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7) : 260-291, 2008

      7 한신대학교박물관, "조선이 사랑한 글씨" 2013

      8 이순자, "조선의 숨겨진 왕가 이야기" 평단 2013

      9 김문식, "정조의 생각" 글항아리 2012

      10 지두환, "정조대왕과 친인척 1 - 세가" 역사문화 2009

      11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전주이씨대관" 뿌리문화사 1999

      12 김하라, "자료소개: 석양루(夕陽樓)라는 공간" 국문학회 (27) : 281-297, 2013

      13 최재남, "인평대군의 가곡 향유와 <몽천요>에 대한 반응" 한국시가문화학회 31 : 375-403, 2013

      14 "인평대군 묘소 앞 賜祭文碑"

      15 지두환, "인조대왕과 친인척" 역사문화 2009

      16 주우일, "이화장과 주변지역의 역사적 맥락에 따른 형성과 변화과정 연구" 한국주거환경학회 11 (11): 251-262, 2013

      17 박광용, "영조와 정조의 나라" 푸른역사 1999

      18 지두환, "영조대왕과 친인척 1 - 영조 세가" 역사문화 2009

      19 지두환, "숙종대왕과 친인척" 역사문화 2009

      20 허영환, "서울지도" 범우사 1994

      21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지도" 2006

      22 서울특별시 시사편찬위원회, "서울의 누정" 2012

      23 하은하, "귀신 이야기의 형성 과정과 문학치료적 의의"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4 주남철, "궁집" 일지사 2003

      25 "고시조대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26 "麟坪大君房全圖"

      27 朴能緖, "韓國系行譜" 寶庫社 1992

      28 "韓國文集叢刊(DB)"

      29 南公轍, "金陵集" 한국고전번역원 DB자료

      30 김지영, "肅宗․英祖代 御眞圖寫와 奉安處所 확대에 대한 고찰" 2004

      31 鄭鉒東, "眞本靑丘永言校註" 新生文化社 1957

      32 尹愭, "無名子集" 성균관대출판부 2014

      33 兪晩柱, "欽英" 서울대학교규장각 1997

      34 李㴭, "松溪集" 한국고전번역원 DB자료

      35 "朝鮮王朝實錄(DB)"

      36 李恩英, "朝鮮後期 御製 祭文의 規範性과 抒情性 - 肅宗 英祖 正祖의 祭文을 中心으로 -" 한국한문학회 30 : 103-143, 2002

      37 "承政院日記(DB)"

      38 "列聖御製"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6-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민족문화추진회 -> 한국고전번역원
      영문명 :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 Institute Translation of Korea Classics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63 1.54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