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楚亭 朴齊家의 ‘屈騷’ 수용과 그 의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9712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초정 박제가의 ‘굴소’ 수용 양상과 그 의미를 다루었다. 우선 초정의 이름과 자 · 호의 유래를 살펴본 결과 중국의 『대학』 · 「이소」 · 『시경』과 연관됨을 알 수 있었다. 그�...

      본고는 초정 박제가의 ‘굴소’ 수용 양상과 그 의미를 다루었다. 우선 초정의 이름과 자 · 호의 유래를 살펴본 결과 중국의 『대학』 · 「이소」 · 『시경』과 연관됨을 알 수 있었다. 그중 특히 ‘초정’이란 호는 박제가가 스스로 밝힌 바와 같이 「이소」의 의미에 기탁하여 지은 것이다. 그 동기에 대해서는 굴원과의 同病相憐 및 굴원의 爲人을 이상적인 인격으로 추구하고, 그러한 인격 기준으로 늘 자신을 편달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세속의 영향이 미칠 수 없는 ‘백운’을 자주 언급한 것도 ‘초정’이나 ‘정유’와 같은 호의 이미지와 동일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시경』에서 유래된 ‘위항도인’이란 호를 통해 재능을 自信하는 동시에 성취하고야 말겠다는 열정과 여의치 않는 생에 대한 낙관을 읽을 수 있었다.
      다음은 초정의 「이소」에 대한 이해를 고찰하였다. 초정은 ‘굴소’를 숭상하여 號를 ‘楚亭’이라 했던 만큼 굴원의 인격은 곧 초정이 지향하는 이상적인 인격이었다. 초정은 「이소」를 『시경』의 비흥수법과 대조시켜 怨慕의 작품으로 보았고, 비분강개한 정서의 작품 및 통곡의 작품으로 인식하였다. 한편 이러한 ‘굴소’를 초정은 약간은 ‘怨而不怒’의 유가적 詩敎에 위배된 것으로 이해하면서도 다른 한편 굴원의 인격과 멀어지는가 싶어서 「이소」를 베끼었고, 「이소」와 같은 작품을 지으려 함으로써 ‘굴소’에 대한 애호를 멈추지 않았다. 초정은 굴원의 인격만이 아니라 그의 시어나 표현수법에도 관심을 가졌다. 그는 초사의 시구를 나름대로 변용하여 나의 시어, 나의 시의 이미지로 승화시켜 시 창작에 일조하였다. 요컨대 초정은 젊은 시절 재주와 포부는 지녔으나 신분의 한계로 인하여 비전이 없는 현실을 고민하였고, 후기에 성은을 입어 致仕는 했지만 마음 한 구석에는 항상 大材小用의 유감이 자리 잡고 있었다고 본다. 따라서 평생 이소를 애독함으로써 만강의 수심을 해소하는 동시에 굴원의 고결한 인격으로 자신을 편달했던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nection between Chojeong (楚亭) Park Je-ga (朴齊家) and ‘Kul-so’ (屈騷, Li-sao written by Qu Yuan). Chojeong revered ‘Cho-sa’ (Chu-ci in Chinese), so he named himself Chojeong (楚亭) as his pen name. Chu...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nection between Chojeong (楚亭) Park Je-ga (朴齊家) and ‘Kul-so’ (屈騷, Li-sao written by Qu Yuan). Chojeong revered ‘Cho-sa’ (Chu-ci in Chinese), so he named himself Chojeong (楚亭) as his pen name. Chu Yuan (굴원)’s personality was just the ideal that Chojeong aimed for. Chojeong usually enjoyed reading Cho-sa and even when he met friends he carried 「Li-sao(離騷)」 along. In this way, Chojeong regarded Cho-sa as his soul mate and delighted in it very much. Chojeong appreciated 「Li-sao」 as a literary work full of patriotism and sorrowful indignation, as well as resentment and yearning. But Chojeong also paid attention to his excessive obsession over 「Li-sao」. It was due to that he considered Cho-sa as against traditional Confucian poetic theory, which sought “resentment but no anger(怨而不怒)”. Chojeong sometimes read 「Li-sao」 when he felt he had grown away from Chu Yuan’s personality. The son of a concubine, regret over being overqualified and self-discipline were perhaps the main reasons why Chojeong received Cho-s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글
      • 2. 楚亭 등 그 號의 의미
      • 3. ‘굴소’에 대한 이해
      • 4. 詩의 ‘屈騷’ 수용 양상
      • 〈국문초록〉
      • 1. 머리글
      • 2. 楚亭 등 그 號의 의미
      • 3. ‘굴소’에 대한 이해
      • 4. 詩의 ‘屈騷’ 수용 양상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屈原, "離騷"

      2 정일남, "초정 박제가 문학연구" 지식산업사 2004

      3 류연화, "題畵詩를 통해 본 朴齊家와 杜甫의 관련 연구" 동방한문학회 (58) : 295-324, 2014

      4 李德懋, "青莊館全書"

      5 朴齊家, "貞蕤閣集 (상중하)" 돌베개 2010

      6 朴齊家, "貞㽔集全" 國史編纂委員會, 探求堂 1974

      7 "詩經"

      8 袁宗道, "白蘇齋類集" 상해고적출판사 1989

      9 정일남, "炯菴 李德懋의 ‘屈騷’ 수용 양상" 동방한문학회 52 : 213-238, 2012

      10 金鑢, "潭庭叢書"

      1 屈原, "離騷"

      2 정일남, "초정 박제가 문학연구" 지식산업사 2004

      3 류연화, "題畵詩를 통해 본 朴齊家와 杜甫의 관련 연구" 동방한문학회 (58) : 295-324, 2014

      4 李德懋, "青莊館全書"

      5 朴齊家, "貞蕤閣集 (상중하)" 돌베개 2010

      6 朴齊家, "貞㽔集全" 國史編纂委員會, 探求堂 1974

      7 "詩經"

      8 袁宗道, "白蘇齋類集" 상해고적출판사 1989

      9 정일남, "炯菴 李德懋의 ‘屈騷’ 수용 양상" 동방한문학회 52 : 213-238, 2012

      10 金鑢, "潭庭叢書"

      11 屈原, "漁父"

      12 屈原, "涉江"

      13 朴齊家, "楚亭全書 (上中下)" 아시아문화사 1992

      14 李煜, "李煜詩詞全集"

      15 정일남, "朴齊家懷人詩與淸代文人" 1 : 2007

      16 "在線新華字典"

      17 司馬遷, "史記"

      18 徐堅, "初學記" 中華書局 1980

      19 "先秦詩鑑賞辭典" 上海辭書出版社 1999

      20 "中國美學史資料選編 (上,下)" 中國文史資料編輯委員會, 輔新書局 1984

      21 袁行霈, "中國文學史" 高等敎育出版社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6-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민족문화추진회 -> 한국고전번역원
      영문명 :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 Institute Translation of Korea Classics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63 1.54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