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 수준 분석 = An Analysis of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Level of Nursing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54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ifference in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level of nursing students was analyz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extracurricular programs aimed at nurturing nursing talents with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Data from 322 nursing students recruited through recruitment announcements were analyzed. IBM SPSS WIN/25.0 was used for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average score of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was 3.38 points.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differed by age, department adaptation, and major satisfaction.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creative convergence was department adaptation, followed by major satisfaction and ag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20.5%. This study is meaningful as basic data that is the basis for developing various extracurricular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deficiencies of each area for the purpose of fostering talent with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by analyzing five factors of nursing students.
      번역하기

      The difference in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level of nursing students was analyz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extracurricular programs aimed at nurturing nursing talents with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Data from 3...

      The difference in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level of nursing students was analyz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extracurricular programs aimed at nurturing nursing talents with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Data from 322 nursing students recruited through recruitment announcements were analyzed. IBM SPSS WIN/25.0 was used for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average score of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was 3.38 points.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differed by age, department adaptation, and major satisfaction.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creative convergence was department adaptation, followed by major satisfaction and ag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20.5%. This study is meaningful as basic data that is the basis for developing various extracurricular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deficiencies of each area for the purpose of fostering talent with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y by analyzing five factors of nursing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창의융합역량을 갖춘 간호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여 영역별 부족한 부분을 증진할 수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 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모집공고문 등을 통해 대상자를 모집하여 수집된 322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IBM SPSS WIN/25.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 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창의융합역량은 평균 3.38점이었다. 창의융합역량은 나이, 학과적응도, 전공만족 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창의융합역량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과적응도, 학과만족도, 나이순이었다. 모 형에 대한 설명력은 20.5%였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의 5개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창의융합역량 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영역별 부족한 부분을 증진할 수 있는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근 거가 되는 기초자료로서 그 의미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창의융합역량을 갖춘 간호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여 영역별 부족한 부분을 증진할 수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

      본 연구는 창의융합역량을 갖춘 간호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여 영역별 부족한 부분을 증진할 수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 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모집공고문 등을 통해 대상자를 모집하여 수집된 322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IBM SPSS WIN/25.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 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창의융합역량은 평균 3.38점이었다. 창의융합역량은 나이, 학과적응도, 전공만족 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창의융합역량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과적응도, 학과만족도, 나이순이었다. 모 형에 대한 설명력은 20.5%였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의 5개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창의융합역량 을 갖춘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영역별 부족한 부분을 증진할 수 있는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근 거가 되는 기초자료로서 그 의미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용금 ; 오태진 ; 이현 ; 임근옥 ; 홍지헌 ; 정수라, "창의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일부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 수준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656-664, 2020

      2 이지용, "창의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교양 교과목개발 사례 연구"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12) : 227-256, 2020

      3 김영미, "창의융합역량향상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 모형개발" 한국정보통신학회 20 (20): 2172-2180, 2016

      4 김정연, "창의융합교육을 위한 공학계열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 및 자아개념 분석" 한국영재교육학회 19 (19): 39-66, 2020

      5 김정연 ; 태진미, "창의융합 교과목 개발을 위한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 차이 비교 및 분석"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1 (11): 145-164, 2017

      6 홍효정 ; 이재경, "창의·융합적 사고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9 (9): 163-192, 2015

      7 임유진 ; 김보경 ; 김세영 ; 임현진, "창의·융합역량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A대학 재학생 인식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287-312, 2019

      8 유선영 ; 길효정, "예비유아교사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271-1291, 2020

      9 김정순,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기반 간호학 학습프로그램의 적용효과" 융복합지식학회 8 (8): 1-9, 2020

      10 이경화 ; 김해리 ; 박수진,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한국영재교육학회 20 (20): 5-29, 2021

      1 최용금 ; 오태진 ; 이현 ; 임근옥 ; 홍지헌 ; 정수라, "창의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일부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 수준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656-664, 2020

      2 이지용, "창의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교양 교과목개발 사례 연구"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12) : 227-256, 2020

      3 김영미, "창의융합역량향상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 모형개발" 한국정보통신학회 20 (20): 2172-2180, 2016

      4 김정연, "창의융합교육을 위한 공학계열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 및 자아개념 분석" 한국영재교육학회 19 (19): 39-66, 2020

      5 김정연 ; 태진미, "창의융합 교과목 개발을 위한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 차이 비교 및 분석"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1 (11): 145-164, 2017

      6 홍효정 ; 이재경, "창의·융합적 사고역량 강화를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9 (9): 163-192, 2015

      7 임유진 ; 김보경 ; 김세영 ; 임현진, "창의·융합역량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A대학 재학생 인식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287-312, 2019

      8 유선영 ; 길효정, "예비유아교사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271-1291, 2020

      9 김정순,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기반 간호학 학습프로그램의 적용효과" 융복합지식학회 8 (8): 1-9, 2020

      10 이경화 ; 김해리 ; 박수진,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한국영재교육학회 20 (20): 5-29, 2021

      11 김은경 ; 한윤영,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창의, 융합역량 학습성과 루브릭 개발"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497-519, 2019

      12 허영주 ; 박은숙, "교양교과목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 수강이 이공계열 대학생의 창의역량 향상에 미치는 영향 -COVID-19 이전과 이후 수업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359-372, 2021

      13 A. L. Baylor, "The Instructional Planning Self-Reflective Tool(IPSRT) : A method for promoting effective lesson planning" 41 (41): 56-59, 2001

      14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KABONE), "Nursing core competencies" KABONE 2012

      15 E. A. Park, "How to apply 2015 national curriculum to school subjects:Focusing on the general highschool"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7

      16 J. Y. Ki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reativity confluence competency test for university students" Soongsil University 2017

      17 이경화 ; 박창희 ; 배희라, "AI시대 적응을 위한 대학생의 미래창의융합역량 분석"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7 (17): 61-79, 2021

      18 H. J. Park,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urse on convergence liberal arts-Understanding human and arts" 16 (16): 192-193, 2014

      19 김미원 ; 박정모 ; 한애경, "4년제 간호학과 교과과정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 17 (17): 416-425,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