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공주교육대학교의 역사와 교육도시 공주의 이미지 형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746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history of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rom its origin to the early 1970s. The reason why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as chosen was because of its unique status. The school was reor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history of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from its origin to the early 1970s. The reason why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as chosen was because of its unique status. The school was reorganized into Gongju National University following the context of Gongju Women's Normal School in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Gongju Normal School after liberation. The transition of this school served as a regional or periodical significance in two ways. First, it is the consistent purpose of foste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name and system of the school have changed several times, but the purpose of foste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s remained unchanged from its origin to the prese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history of this school is directly related to the history of foste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orea. The following is the link between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Gongju Women's Normal School was established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economic crisis in the region caused by the relocation of Chungcheongnam-do. Local residents attempted to urbanize education as a way to overcome the identity of the administrative city lost due to the relocation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The community continued to campaign for the attrac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school, making it an important asset of their city, and the school communicated with the community through high-quality human resources and direct and indirect economic feasibility.
      In Chapter II, Gongju Women's Normal School was the result of the residents' strong campaign to attract schools using the Joseon Governor-General's policy to expand the teacher's school. The goal of fostering female teachers by the Governor-General of the Joseon Dynasty was to emphasize "Home Economics" and meet the "for war preparations" with diligence and thrift within the family. In addition, practical subjects and Physical education subjects were strengthened in line with the war preparations system. In order to strengthen such a curriculum, a life guidance center was built and the dormitory system was adhered to. Gongju Women’s Normal School teacher education had a strong state-led nature and received full economic and administrative support from the Joseon Governor-General. The school was seen by local residents as a reward for the relocation of the Chungcheongnam-do Provincial Government. Residents organized an established association to attract government-run teachers' schools and even raised a large donation of 100,000 won from the local residents. In other words,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used the wishes of local residents to extract the expenses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teacher school and the construction of the teacher. However, it has an important regional historical meaning in that it is an important image symbolizing Gongju, an educational city of Gongju Women's Normal School during this period.
      Chapter III,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Japanese-style education was conducted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without being liquidated. Naturally, Gongju's training of teachers was difficult and revealed her limitations. In order to overcome this, Gongju Women's Normal School and the local residents ask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Kongju Normal College, more actively to save the reg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Kongju Normal College, the Gongju Women's Normal School not only gave away the School building, but also used human resources, the faculty. The three departments opened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Kongju Normal College, they were Korean literature, Mathematics, and Home Economics. In order to emphasize the subject of the "Home Economics," Gongju Women's Normal School was equipped with school buildings and teachers related to Home Economics, including life guides. By utilizing this, Kongju Normal College was able to be established by conducting a campaign to persuade the authorities that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teacher's college at a low cost. After liberation, there was a widespread perception among local residents that Gongju needed to develop into an educational city.
      In Chapter IV, the transformation and reorganization of Gongju Normal School from 1951 to 1962 were intensively reviewed and discussed. As the elite-centered women's Normal school changed to a coeducational system, it had a very positive effect on the community. The reorganization of the coeducational system during the Korean War guaranteed military service benefits for male students and employment after graduation. Many male students in the area who were able to obtain such information quickly entered Gongju Normal School. The fact that 57.4% of Gongju Normal School graduates in 1954 are from Gongju proves this. With the existence of Gongju Normal School, small forms of commerce for schools and students along with boarding have developed in the community. This landscape of the Gongju area clearly revealed its distinctiveness from other regions and made it unique as the 'local color of Gongju'. A structure has been established in which the community benefits economically through the Gongju Normal School. This fact means that Gongju Normal School has been 'localized' by strengthening its identity as 'Gongju’s School' rather than simply a school in the region.
      In Chapter IV, the Gongju College of Education started uneasily. At that time, the symbolism of the teacher changed due to the lack of appointment and low treat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s fact also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community. Most of the students are children of rural families, and Gongju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who will become teachers in rural areas after graduation have been given the role of enlightenment and mental reform in rural areas to revive the rural economy. By government authorities and schools, students had limited club activities and were actively mobilized for volunteer work in rural areas. The rural volunteer work of shift students was intertwined with the interests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school. Previously, the profits gained by the local community through schools changed more actively from passive methods such as Boarding house and Small consumption activities to Volunteer activities in rural areas and the mobilization of students without pay.
      Firs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school history itself.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community by using an academic approach. Second, the meaning of local history of school history was considered. In particular, Gongju is an "educational city," and it can be seen that the impact on the local community was significant due to the periodical transition of the Gongju shift,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f the community was cut off from the government-run Gongju Women's Normal School, the teacher's school after liberation interacted with the community and changed to 'localization of schools'. Third, the meaning of school history in educational history was considered. It can be said that the periodical changes and educational policies of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significant as a way to check in detail how they were being realized at the school site whe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its policy. Fourth, the student life culture, student culture, youth culture, or teacher culture for each period were examined by period by reflecting the awareness of problems such as life culture history. As a result, it was found in detail that Gongju Women's Normal School and Gongju Normal School, the roots of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not established independently, but were obtained through strong aspirations and establishment movements of local residents, and sometimes "fighting" of sacrificial fundraising and cost investment. Other schools may be the case, but especially in the case of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have been able to maintain their reputation and reputation for a long time as they interact like this. Gongju area is a city that is recognized externally as an "educational city." The strongest background and foundation that forms the basis is the existence of a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to have formed a deep bond with the local community as a university that performs a consistent purpose of foste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refore, the history of this Gongju shift cannot be considered entirely as that of Gongju shift. Some of the history can be regarded as for local resi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론
      • 1. 연구의 목적
      • 2. 선행연구의 검토
      • 목 차
      • Ⅰ. 서론
      • 1. 연구의 목적
      • 2. 선행연구의 검토
      • 3. 연구의 방법
      • Ⅱ. 일제하 공주여자사범학교의 설립과 공주의 교육도시화 시도
      • 1. 일제하 공주여자사범학교 설립 배경과 지역사회
      • 1) 초등교원 양성정책과 여성교원 양성론의 대두
      • 2) 지역사회의 ‘관립사범학교’ 유치와 공주여자사범학교 설립
      • 2. 공주여자사범학교 학사 운영의 성격
      • 1) 여성교원 교육과정의 특징과 가사 교육의 강조
      • 2) 입학전형과 입학생의 출신지별 특징
      • 3) 전국적 학생 모집과 일본인의 공주 유학
      • 3. 공주여자사범학교를 통한 교육도시 형성의 한계
      • 1) 지역사회의 교육도시 공주 이미지 형성시도
      • 2) 기숙사 제도로 인한 지역사회와의 단절
      • 4. 소결
      • Ⅲ. 해방 후 공주여자사범학교의 개편과 공주사범대학 설립의 의미
      • 1. 해방 직후 공주여자사범학교 운영의 파행
      • 1) 해방 후 미군정의 교원양성 정책
      • 2) 학생과 교원의 감소로 인한 학교 운영의 한계
      • 2. 지역사회의 공주사범대학 유치와 공주여자사범학교의 역할
      • 1) 지역사회의 공주사범대학 유치활동과 교육도시 이미지 강화
      • 2) 공주여자사범학교의 공주사범대학 정착을 위한 상호협조
      • 3. 한국전쟁기 공주여자사범학교의 피해와 학사 운영의 영향
      • 4. 소결
      • Ⅳ. 공주사범학교로의 개편과 학사 운영의 변화
      • 1. 남녀공학 중심 공주사범학교의 출범과 학교 위상의 변화
      • 1) 학생 수 감소로 인한 남녀공학으로의 전환
      • 2) 전국 단위에서 공주 지역 학교로의 변화
      • 3) 농촌 중심의 입학생과 초등교원의 위상
      • 2. 공주사범학교의 교육과정의 문제와 학교생활의 특징
      • 1) 교육과정의 한계와 학사운영의 문제점
      • 2) 하숙중심의 학교생활과 지역사회와의 밀착
      • 3. 사범학교에서 교육대학으로의 변화
      • 1) 사범학교와 지역사회의 ‘교육대학 승격’을 위한 노력
      • 2) 사범학교와 교육대학 공존 기간의 갈등
      • 4. 소결
      • Ⅴ. 공주교육대학의 성장과 교육도시 이미지의 정착
      • 1. 2년제 공주교육대학의 불안한 출발과 지역사회의 고민
      • 1) 초등교원의 인기하락과 지위의 하락
      • 2) 교육도시 이미지의 한계와 지역사회의 모색
      • 2. 공주교육대학의 학사 운영과 학생 활동의 의미
      • 1) 교육과정의 성격과 체육‧실업 교육의 강화
      • 2) 학생활동을 통한 지역사회와의 연계 강화
      • 3. 공주교육대학 확대 개편과 교육도시 이미지 형성
      • 1) 초등교원의 정치사회적 역할 강화
      • 2) 공주교대의 안정화와 규모의 확대
      • 3) 공주교육대학의 재도약과 교육도시 이미지 강화
      • 4. 소결
      • Ⅵ.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영명중, "永明90年史", 고등학교, 1997

      2 영명중, "永明100年史", 고등학교, 2007

      3 진소라, "사친회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4 정규영, "통치와 교육", 교육과학사, 2018

      5 황인식, "(저), 윤용권(역)", 황인식 자서전(인쇄본), 2005

      6 공주시, "古都公州이야기", 공주대학교 참여문화연구소, 2012

      7 손인수, "한국근대교육사", 연세대학교 출판부, 1975

      8 김동구, "미군정기의 교육", 문음사, 1995

      9 강일국, "새교육운동 硏究",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10 이길상, "20세기 한국교육사", 집문당, 2007

      1 영명중, "永明90年史", 고등학교, 1997

      2 영명중, "永明100年史", 고등학교, 2007

      3 진소라, "사친회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4 정규영, "통치와 교육", 교육과학사, 2018

      5 황인식, "(저), 윤용권(역)", 황인식 자서전(인쇄본), 2005

      6 공주시, "古都公州이야기", 공주대학교 참여문화연구소, 2012

      7 손인수, "한국근대교육사", 연세대학교 출판부, 1975

      8 김동구, "미군정기의 교육", 문음사, 1995

      9 강일국, "새교육운동 硏究",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10 이길상, "20세기 한국교육사", 집문당, 2007

      11 정선이, "경성제국대학 연구", 문음사, 2002

      12 송의열, 이일주, "공주의 학교변천사", 공주영상정보대학論文集제5권, 1998

      13 손인수, "미군정과 교육정책", 민영사, 1992

      14 윤해동, "식민지의 회색지대", 역사비평사, 2003

      15 오성철, "교복과 마음의 통증", 교육비평제18권, 2005

      16 김동환, "지역교육에 말을 걸다", 문음사, 2008

      17 나도승, "공주 금강권의 역사지리", 공주교육대학, 1992

      18 강명숙, "미군정기 고등교육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19 오성철, "식민지 초등교육의 형성", 교육과학사, 2000

      20 노영택, "일제하 민중교육 운동사", 학이시습, 2010

      21 김영화, "한국의 교육과 경제발전", 한국학술정보(주), 2004

      22 김영우, "韓國中等敎員養成敎育史", 敎育科學史, 1989

      23 이용기, "역사학, 구술사를 만나다", 역사와 현실제71호, 2009

      24 오성철, "1930年代韓國初等學校硏究",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25 윤용혁, "공주대학교의 70년사 간행", 대학의 쇄신과 발전을 위한 대학사 연구, 2022

      26 정연태, "식민지민족차별의 일상사", 푸른역사, 2021

      27 지수걸, "지방유지의 '식민지적' 삶", 역사비평제90호, 2010

      28 이길상, "미군정기 초등교육의 변화", 한국교육사학제25권 제2호, 2002

      29 송덕수, "광복교육 50년: 미군정기 편", 대한교원 공제회, 1996

      30 김영우, "한국개화기의 교원양성연구", 창학사, 1984

      31 오제연, "1960-1970년 대학학생운동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32 지수걸, "공주의 한국전쟁과 전쟁피해", 제노사이드연구제4호, 2008

      33 허대영, "오천석과 미군정기 교육정책", 강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4 송충기, "경험의 역사로서 독일 구술사", 역사비평통권102호, 2013

      35 하유식, "蔚山郡上北面의 농지개혁 연구", 부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6 김우영, "1950년대 도의교육의 개념과 성격", 교육문제연구제22권 제2호, 2016

      37 송충기, 지수걸, "구술로 듣는 공주의 역사와 문화", 공주문화원, 2013

      38 김상훈, "해방 전후 중등 교육과정의 변화", 역사와 교육제21권, 2015

      39 이길상, "미군정의 국가적 성격과 교육정책", 정신문화연구제15권 제2호, 1992

      40 정규영, "미셸 푸코의 규율 권력과 근대교육", 교육사학 연구제23권 제 2호, 2013

      41 미셸, "푸코(저) 오생근(역), , 감시와 처벌", 강원대학교출판부, 1996

      42 김영우, "교원교육-한국 초 중등교원 교육사-", 하우, 1995

      43 이상록, 이유재, "엮음, ,일상사로 보는 한국근현대사", 책과 함께, 2006

      44 김광규, "日帝强占期朝鮮人初等敎員施策硏究",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45 안태윤, "일제말기 전시체제와 모성의 식민화", 한국여성학제19권 3호, 2003

      46 전은경, "창씨개명과 총동원의 모성담론 전략", 한국현대문학연구제26 호, 2008

      47 공주시, "공주근현대사 연표 및 주요 기사 색인", 공주대학교 참여문화연구 소, 2012

      48 이문원, "해방 후 한국 고등교육의 역사적 평가", 한국교육사학제14권, 1992

      49 오성철, "박정희의 국가주의 교육론과 경제성장", 역사문제연구제11권, 2003

      50 정평순, "공주 근대건축의 보존방안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3

      51 지수걸, "개인소장 근현대사료의 수집과 정리방법", 제18회 국사편찬위원 회 사료조사위원회 발표요지, 1999

      52 강명숙, "일제 말기(1938-1945) 전문학교 정책의 변화", 한국교육사학 제43권 제4호, 2021

      53 오성철, "포스트 콜로니얼리즘과 식민지 교육연구", 論文集제41권, 2003

      54 김상훈, "미군정기 교육정책 수립과 한국인의 역할", 역사연구제28호, 2015

      55 강명숙, 고마고메, "다케시 외 6인, ,식민지 교육연구의 다변화", 교육과학사, 2011

      56 박범, "조선후기 공주목 읍치의 공간 구성과 성격", 충청학과 충청문 화, 제28권 제1호, 2020

      57 연정은, "특집. 안호상의 일민주의와 정치 교육활동", 역사연구제12호, 2003

      58 정고운, "「애국계몽운동과 근대적 교육열의 형성」",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 회 논문집제2009권 제1호, 2009

      59 오성철, "교사가 만드는 교육사, 교사가 쓰는 교육사", 교육비평제5권, 2001

      60 임영태, "근대사 학습을 위한 학교사 자료 활용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61 허종, "일제강점기 후반 대구사범학교의 학생운동", 한국독립운동사 연구제27집, 2006

      62 지수걸, "지방지(地方誌) 쓰기와 공동체 문화 만들기", 황해문화통권 제 89호, 2015

      63 송충기, "토건이 낳은 근대: 일제강점기 공주의 풍경", 모먼트, 2017

      64 황건하, "대학기록관의 수집범위와 정책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5

      65 오세트로바 마리야, "박정희 대통령 집권하 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경북 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66 박종무, "미군정기 조선교육자협의회 교육이념과 활동", 역사교육연구제 13호, 2011

      67 박진섭, "일제 말기 교사양성 교육에 대한 구술사 연구", 공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68 손인수, "한국교육운동사 Ⅰ, 1950년대 교육의 역사인식", 문음사, 1994

      69 손인수, "한국교육운동사 Ⅱ, 1960년대 교육의 역사인식", 문음사, 1994

      70 손인수, "한국교육운동사 Ⅲ, 1970년대 교육의 역사인식", 문음사, 1994

      71 민성희, "해방직후(1945-1948)황의돈의 국사교육재건활동", 역사교육연구 제21호, 2015

      72 김용일, "美軍政下의 敎育政策硏究: 교육정치학적 접근", 고려대학교 민족문 화연구원, 1999

      73 김호준, "이승만 정권기 실업교육진흥책의 추진과 성격", 史學硏究제119 호, 2015

      74 최병택, "해방 이후 의무 교육 요구와 정책의 전개 방향", 대구사학제 125권, 2016

      75 김종덕, "미국의 대한 농산물원조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76 안홍선, 우용제, "근대적 교원양성제도와 변천과 사범대학의 설립", 아시 아교육연구제7권 제4호, 2006

      77 강명숙, "미군정기 사립대학 설립과 고등교육기회의 확대", 아시아교육연 구제4권 1호, 2003

      78 차수희, "일제말기와 미군정기의 초등교육 현상 비교연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79 윤용혁, "칸, 그리고 아메미야-공주 역사 속의 외국인(일본)", 웅진문화 제26집, 2013

      80 이용기, "미군정기의 새로운 이해와 '사회사'적 접근의 모색", 역사와 현 실제35호, 2000

      81 송충기, "독일의 세계사 교육: 중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전북사 학제37호, 2010

      82 조건, "제1차 교육과정 성립기 문교부 조직과 반공 교육정책", 역사와 교 육제22권, 2016

      83 박경희, 배경미, "일제 총동원체제하 통제경제 정책과 조선의 경제범죄",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제8권 제7호, 2018

      84 양정호, "한국교육부 장관에 대한 연구: 장관, 그들은 누구인가?", 교육행 정학연구제22권 제4호, 2004

      85 옥철우, "미군정기 한국교육주도세력의 형성과 교육개혁의 성격", 경북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86 김미정, "전시체제기 조선총독부의 여성노동력 동원정책과 실태", 고려대학 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87 하스이케, "시게요[蓮池重代], , 일제강점기 사범학교 교육과정 연구", 동국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88 김영우, "우리나라 초등학교교원 양성의 제도적 변천에 관한 연구", 춘천 교육대학 논문집제4호, 1968

      89 박찬승, "일제하 공립보통학교의 일본인 교원 임용을 둘러싼 논란", 동아시아 문화연구제75호, 2018

      90 이나미, "미군정기의 민주주의 교육-일제시기와 연속성을 중심으로", 동양 정치사상사제3권 제1호, 2004

      91 양원철, "일제시기 사립 중앙고등보통학교 학생 구성과 졸업생 진로", 한국 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92 곽건홍, "한국현대사 연구에서 아카이브의 이용-1970년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제55호, 2017

      93 권형진, "나치정권의 소년들에 대한 통제-히틀러 유켄트를 중심으로-", 대구사학제89권, 2007

      94 강일국, "해방이후 초등학교의 교육개혁운동과 반공교육의 전개과정", 교 육사회학연구제12권 제2호, 2002

      95 이윤희, "1950년대 후반 이후 충주사범학교 교육에 관한 구술사적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6 장미현, "박정희 정부시기 기술인력 정책의 전개와 숙련노동자의 대응", 연 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97 지수걸, "일제하 공주지역 유지집단의 도청이전 반대운동(1930.11-1932.10)", 역사와 현실제20권, 1996

      98 지수걸, "장소의 역사와 기억-공주사대 부설고등학교 터의 내력과 추억", 역사와 역사교육제30권, 2015

      99 소영현, "여학교와 기숙사-식민지기 여학생과 일상 감각의 젠더적 개편-", 국제어문, 제83집, 2019

      100 김대영, "박정희 국가동원 매커니즘에 관한연구-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제61호, 2004

      101 김정인, "(대학권력, 국가권력, 시장권력) 대학과 권력-한국대학 100년 역 사", 휴머니스트, 2018

      102 전진희, "일제하 공주여자사범학교의 설립배경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특 징", 한국학논총, 제57호, 2022

      103 안종철, 정병준, "미군정 참여 미국선교사관련 인사들의 활동과 대한민 국 정부수립", 한국기독교역사제30권, 2009

      104 소노다, "쓰네아키[園田恒明] 저 윤용혁 역, ,소노다의 제민천 70년전의 추억", 웅진문화제26집, 2013

      105 곽건홍, "일상 아카이브(Archives of everyday life)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소론", 기록학연구제29호, 2011

      106 최병택, "일제하 학교비 재정 운영의 성격-호별할과 기부금 문제를 중심 으로", 역사와 현실제90호, 2013

      107 윤종문, "1947년 미군정 문교부 내 중핵적 교원집단 양성안의 등장배경과 그 특징", 한국 근현대 연구제92호, 2020

      108 지수걸, "우리나라 지방권력과 지방분권1, 충남 공주 지역 지방정치와 지방 유지", 내일을 여는 역사제11권, 2003

      109 지수걸, "韓國의 近代와 公州사람들: 韓末 日帝近代시기 公州의 近代都市 發達史", 公州文化院, 1999

      110 이용기, "일제시기 을종 농업학교의 특성과 학생 구성 : 상주공립 농잠학교 의 사례", 한국학논총제55호, 2021

      111 박효숙, "대학 공공기록물의 관리 실태 및 발전 방안 : 국립 공주대학교 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12 전미경, "1920-30년대 모성담론에 관한 연구-신여성에 나타난 어머니 교육 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교육학회지제17권 제2호, 2005

      113 정연태, "일제강점기 한 일공학 중등학교의 관행적 민족차별-충남 강경 상고의 사례-", 한국사연구제159호, 2012

      114 이용기, "일제시기 을종 농업학교 학생의 졸업 후 진로 - 상주공립농잠학교 의 사례 -", 역사문화연구, 제81호, 2022

      115 강일국, "해방 후 초등학교 현장의 교육과정 개혁-새교육운동 주도학교를 중 심으로-", 교육과정연구제20권 제3호, 2002

      116 류타, 이타가키, "(저), 홍종욱 이대화(역) ,한국 근대의 역사 민족지 경북 상주 의 식민지 경험", 혜안, 2014

      117 박호근, "사립학교법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박정희 정부의 교원 임면제도를 중심으로", 敎育法學硏究제14권 제2호, 2002

      118 지수걸, "日帝下公州地域有志集團硏究-事例2: 金甲淳(1872-1960)의 有志 基盤'과 '有志政治'", 한국민족운동사연구, 1997

      119 조원선, "1960년대 박정희 평등주의 교육개혁의 정치성 연구: 무한경쟁체제 와 사회계층화",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20 김부자, "(저), 조경희 김우자(역), , 학교 밖의 조선 여성들-젠더사로 고쳐 쓴 식민지 교육-", 일조각, 2009

      121 지수걸, "日帝下公州地域有志集團硏究- 事例3: 池憲正(1890-1950)의 '有 志基盤'과 '有志政治'", 역사와 역사교육제2권, 1997

      122 이영훈, "새로운 대한민국사(史) 7: 1950년대의 교육혁명이 1960년대 고도성 장의 밑거름됐다", 한국논단제286권, 2013

      123 지수걸, "日帝下公州地域有志集團硏究: -事例1: 徐悳淳(1892-1969)의 '有 志基盤'과 '有志政治'", 역사와 역사교육제1권, 1996

      124 안진, "미군정기 교육정책에 관한 교육 사회사적 연구: 교육주도세력의 형성 을 중심으로", 순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

      125 지수걸, "한국 사범교육의 성취와 한계: 창립 재건기(1948-1969)공주사범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와 역사교육제41권, 2020

      126 국성하, "해방이후 6 25 전쟁기까지의 초중등학교 교원의 자격 연구-무자 격 교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제40권 제3호, 2018

      127 홍진영, "지역 인물을 통한 사회과통합형 역사 수업방안-공주갑부 김갑순의 생애사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128 홍덕창, "해방이후의 실업교육에 관한 연구(1949-1960): 5 16이전까지의 실 업교육의 발전을 중심으로", 총신대 논총제16권, 1997

      129 김수정, 장효정, "학교역사관 기록물 관리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J교육 청 학교역사관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제53호, 2017

      130 김인희, 최재선, 이명근, "해방 이후 반세기의 현장 자료 분석을 통한 교육 현장의 정치역학적 성격 규명에 관한 연구", 연세교육연구제13권 제1호, 2000

      131 이명근, 최재선, "해방 이후 반세기의 현장 자료 분석을 통한 교육현장의 정 치 역학적 성격 규명에 관한 연구1", 연세교육연구제13권 제1호, 2001

      132 최병택, "일제하 지방의회 회의록을 통해서 본 보통학교 재정 운용 양상 - 충남 공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연구제39호, 2020

      133 박경희, 배경미, "일제말기 전시 동원정책과 재조일본인의 식생활개선운동 : 녹기연맹 부인부의 활동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제8 권 제5호, 2018

      134 송행희, "박정희 정권의 비정규교육 정책 연구: 재건학교, 새마을청소년학교, 산업체 부설학교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35 이상록, "미군정기 새교육 운동과 초등학교 규율연구: 일제말기 초등학교 규 율과 비교를 중심으로; 1945-1948", 역사와 현실제35호, 2000

      136 유정환, "1960년대 박정희 정부의 지역통치체계 재편과 유지집단의 활동: 충 청북도 괴산군 증평읍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제104호, 2017

      137 전진희, "공주지역 교육도시 도약의 시대와 사회적 요인 분석-미군정기 교원양성과 사범대학 설립 운동을 중심으로-", 역사와 담론, 제100호, 2021

      138 김종태, "박정희 정부시기 선진국담론의 부상과 발전주의적 국가정체성의 형성 대통령 연설문과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제47집 제1호, 2013

      139 정미량, "1970년대 국적 있는 교육 담론의 교사상 구성 방식, 그 역사적 유사성의 탐색- 1930년대 국체명징 교육 담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사학 연구제24권 제2호, 2014

      140 이유진, 이은진, "사립대학교 학교사 편찬절차 및 기록물 수집방안-K대 학 사례를 중심으로-,디지털문화아카이브지제2권 제2호 이후 6 25 전쟁기까지의 초중등학교 교원의 자격 연구-무자격 교원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사학제40권 제3호,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