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엄지말뚝 흙막이의 붕괴실태 분석을 통한 안전관리항목 도출 및 체크리스트 구성체계의 제안 = Derivation of Safety Management Items and Proposal for Checklist Composition System through the Analysis of Soldier Pile Retaining Collapse Stat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447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굴착공사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굴착깊이 증가뿐만 아니라 기후나 지반환경의 불확실성 요소에 의해 굴착과 흙막이판 설치과정에서 붕괴사고가 다수 발생하여 흙막이구조물의 안전성 점검은 매우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엄지말뚝 흙막이 시공단계별 붕괴실태의 분석뿐만 아니라 붕괴발생요소(붕괴원인, 위험요소, 등) 간 관련성 분석의 부족으로 유사한 재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1993년부터 2021년까지 엄지말뚝 흙막이공사에서 발생한 붕괴사고 21건을 대상으로 굴착공사 안전관리의 합리화 방안을 고찰하기 위해 흙막이 붕괴방지의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조사대상별로 흙막이 붕괴의 위험요소를 도출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붕괴위험요소가 지반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흙막이 설치단계별로 붕괴원인을 그룹핑하고, 붕괴원인별로 붕괴프로세스를 분석하였다. 사례연구 및 굴착공사가이드를 기반으로 흙막이공사 안전관리항목의 분류관점 및 붕괴점검용 체크리스트의 구성체계를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최근, 굴착공사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굴착깊이 증가뿐만 아니라 기후나 지반환경의 불확실성 요소에 의해 굴착과 흙막이판 설치과정에서 붕괴사고가 다수 발생하여 흙막이구조물의 안전...

      최근, 굴착공사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굴착깊이 증가뿐만 아니라 기후나 지반환경의 불확실성 요소에 의해 굴착과 흙막이판 설치과정에서 붕괴사고가 다수 발생하여 흙막이구조물의 안전성 점검은 매우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엄지말뚝 흙막이 시공단계별 붕괴실태의 분석뿐만 아니라 붕괴발생요소(붕괴원인, 위험요소, 등) 간 관련성 분석의 부족으로 유사한 재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1993년부터 2021년까지 엄지말뚝 흙막이공사에서 발생한 붕괴사고 21건을 대상으로 굴착공사 안전관리의 합리화 방안을 고찰하기 위해 흙막이 붕괴방지의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조사대상별로 흙막이 붕괴의 위험요소를 도출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붕괴위험요소가 지반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흙막이 설치단계별로 붕괴원인을 그룹핑하고, 붕괴원인별로 붕괴프로세스를 분석하였다. 사례연구 및 굴착공사가이드를 기반으로 흙막이공사 안전관리항목의 분류관점 및 붕괴점검용 체크리스트의 구성체계를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safety inspection of retaining wall structure is recognized as very important problem because many collapses have occurred in excavation and earth plate construction process by the uncertainty factors of climate and ground environment as well as increase of excavation depth due to enlargement trend of excavation construction. However, similar retaining collapse accidents occur repeatedly due to the lack of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pse occurrence factors(collapse cause, risk factor, etc) as well as the analysis of collapse conditions for each construction step of soldier pile retaining. From this viewpoin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methodology of retaining collapse prevention to contemplate rational measures of excavation safety management targeting 21 accidents in soldier pile retaining work from 1993 to 2021.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study, risk factors for the collapse of retaining wall were derived for each survey target, and the effect on the ground by risk factors of collapse was considered through case study. The collapse causes was grouped for each retaining installation step, and retaining collapse process was analyzed for each collapse causes. Based on the case study and excavation work guide, we suggest the classification viewpoint of safety management items and composition system of checklist as the countermeasure to prevent collapse accidents in retaining wall construction.
      번역하기

      Recently, safety inspection of retaining wall structure is recognized as very important problem because many collapses have occurred in excavation and earth plate construction process by the uncertainty factors of climate and ground environment as wel...

      Recently, safety inspection of retaining wall structure is recognized as very important problem because many collapses have occurred in excavation and earth plate construction process by the uncertainty factors of climate and ground environment as well as increase of excavation depth due to enlargement trend of excavation construction. However, similar retaining collapse accidents occur repeatedly due to the lack of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pse occurrence factors(collapse cause, risk factor, etc) as well as the analysis of collapse conditions for each construction step of soldier pile retaining. From this viewpoin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methodology of retaining collapse prevention to contemplate rational measures of excavation safety management targeting 21 accidents in soldier pile retaining work from 1993 to 2021.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study, risk factors for the collapse of retaining wall were derived for each survey target, and the effect on the ground by risk factors of collapse was considered through case study. The collapse causes was grouped for each retaining installation step, and retaining collapse process was analyzed for each collapse causes. Based on the case study and excavation work guide, we suggest the classification viewpoint of safety management items and composition system of checklist as the countermeasure to prevent collapse accidents in retaining wall construc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