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 수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652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C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영유아교사 260명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설문지를 분석하여 평균, 표준편차 및 변인에 따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연령, 결혼여부, 학력 및 담당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31세 이상, 기혼, 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 그리고 영아반 담당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연령, 결혼여부 및 담당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31세 이상, 기혼, 영아 담당 교사의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전문성 인식의 하위 요인 중 사회봉사, 자율성,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었는데 그 중 직업윤리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예측하는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C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전문성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C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영유아교사 260명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설문지를 분석하여 평균, 표준편차 및 변인에 따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연령, 결혼여부, 학력 및 담당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31세 이상, 기혼, 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 그리고 영아반 담당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연령, 결혼여부 및 담당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31세 이상, 기혼, 영아 담당 교사의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전문성 인식의 하위 요인 중 사회봉사, 자율성, 직업윤리, 사회경제적 지위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었는데 그 중 직업윤리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예측하는 영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m and job satisfaction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Subjects were 260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Changwon. The measure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was conducted using a survey by Lindsay(1987) prepared by Cho(2012) and job satisfaction by Jorde-Bloom(1988) translated by Song(1993). Data was cod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14.0.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scor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higher. On the subordinated domain, the vocational ethics was the high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ge, marital status, schooling and charging class. Second, job satisfaction was above average. Teachers' job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ge, marital status and charging class. Third, teacher's job satisfaction had signigicant relationship with teacher's perception of job professionalism. The vocational ethics of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in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in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necessity of in-service training program fitting into teacher's specific character and needs was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m and job satisfaction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Subjects were 260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Changwon. The measure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

      This study examines the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m and job satisfaction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Subjects were 260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Changwon. The measuremen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was conducted using a survey by Lindsay(1987) prepared by Cho(2012) and job satisfaction by Jorde-Bloom(1988) translated by Song(1993). Data was cod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14.0.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scor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higher. On the subordinated domain, the vocational ethics was the high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ge, marital status, schooling and charging class. Second, job satisfaction was above average. Teachers' job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ge, marital status and charging class. Third, teacher's job satisfaction had signigicant relationship with teacher's perception of job professionalism. The vocational ethics of percep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in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in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necessity of in-service training program fitting into teacher's specific character and needs was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옥승, "탁아연구Ⅱ" 양서원 1993

      2 탁수연, "유치원교사의 교직 인식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 한국보육학회 10 (10): 147-166, 2010

      3 최윤정,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발달단계별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 이정희,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8 : 115-132, 2005

      5 김정한,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기 장학 수행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6 황정선,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장학요구와의 관계 연구"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7 조부경,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관심사와의 관계연구" 10 (10): 131-161, 1994

      8 권영자,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DAP 교육신념과 교사 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9 신화식, "유아교육학 탐구" 학지사 2001

      10 송유진,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1 양옥승, "탁아연구Ⅱ" 양서원 1993

      2 탁수연, "유치원교사의 교직 인식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 한국보육학회 10 (10): 147-166, 2010

      3 최윤정,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발달단계별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4 이정희,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8 : 115-132, 2005

      5 김정한,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자기 장학 수행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6 황정선,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장학요구와의 관계 연구"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7 조부경, "유치원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과 관심사와의 관계연구" 10 (10): 131-161, 1994

      8 권영자,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DAP 교육신념과 교사 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9 신화식, "유아교육학 탐구" 학지사 2001

      10 송유진,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11 윤건호, "유아교육교사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비교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1 (21): 123-146, 2003

      12 이현정, "유아교사의 효능감과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3 이현정, "유아교사의 효능감과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4 문채련,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 14 (14): 387-399, 2005

      15 박선화,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2

      16 이혜상,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153-168, 2005

      17 모용희, "유아교사의 교직전문성과 교직신념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241-260, 2013

      18 신장미, "유아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9 박지현, "유아교사의 교직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천안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20 김세루,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전문성 인식 및 의사소통능력의 관계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5-25, 2009

      21 박영태,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 및 창의적 인성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275-298, 2009

      22 최진령,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교직 전문성에 관한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335-360, 2010

      23 황경애, "영유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44 : 109-128, 2005

      24 최희양,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과 보육환경과의 관계 : 서울시 양천구 소재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5 김유진,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26 이정미,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7 이미란,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8 오영숙, "영아반 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직무 만족도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9 김지은, "영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197-216, 2009

      30 박은미, "영아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보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5 (15): 261-290, 2011

      31 신혜영,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6 (26): 105-122, 2005

      32 보건복지부, "보육지원 체제 전문개편안"

      33 조성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6) : 23-44, 2004

      34 변미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6) : 95-117, 2004

      35 최명,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6 강란혜,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사 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25 (25): 71-88, 2006

      37 이순영,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근무유형, 학력, 경력, 연령간의 관계)"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3 (13): 299-317, 2009

      38 조은주,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및 직무만족도,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2

      39 김애리, "보육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보수교육 방안"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4

      40 구은미,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 및 전문성인식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1) : 457-476, 2005

      41 윤혜미, "보육교사의 스트레스와 직업만족도" 12 (12): 303-319, 2003

      42 이희선, "보육교사의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인식" 4 (4): 79-90, 2004

      43 이성희,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31-50, 2007

      44 위숙희, "보육교사와 유치원교사의 전문성 인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5 이재완, "보육교사와 유치원교사의 자존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7) : 127-149, 2004

      46 김수희, "교사의 직위에 따른 교직관과 직무만족의 차이 연구 : 정규교사와 기간제 교사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7 Fleming, J. S., "The dimenonity of self-esteem : Some results for a college sample" 39 : 921-929, 1980

      48 Lindsay, P., "Teachers in preschools and child care centers: Overlooked and under valued" 16 (16): 91-105, 1987

      49 Pope, S.,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satisfaction among child care teachers" 21 (21): 44-45, 1992

      50 Osborn, R. N., "Organization theory" John Wiley & Sons 1980

      51 Jorde-Bloom, P., "Factor influencing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 3 (3): 107-122,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영문명 : The Korea Associan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 The Korea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72 1.6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