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코어운동과 밴드운동의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비만노인여성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염증지표 및 혈관내피성장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비만노인여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코어운동과 밴드운동의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비만노인여성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염증지표 및 혈관내피성장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비만노인여성...
본 연구는 코어운동과 밴드운동의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비만노인여성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염증지표 및 혈관내피성장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비만노인여성을 대상으로 운동군(10명), 대조군(10명) 총 20명 실시하였으며, 12주간 주 3회 60분간 50-60% HRR 강도로 복합운동을 실시하였다. 측정변인에 대해 평균값과 표준편차(M±SD)를 산출한 후 사전 운동군과 대조군의 신체적 특성과 각 측정변인에 대한 동질성 검정을 위해 independed t-test를 집단 내의 사전·사후 평균치 변화에 대한 차이 검증은 paired t-test, 집단간 차이에 대한 주효과 검정 및 시기간·집단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을 이용하였다.
복합운동 후 신체조성, 혈중지질, 염증지표 및 혈관내피성장인자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신체조성 중 %BF, LBM은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고, 혈중지질 중 TG 및 LDL-C도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염증지표 중 IL-6 및 TNF-α는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으며, 혈관내피성장인자인 VEGF에서도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12주간 복합운동 참여는 신체조성, 혈중지질, 염증지표 및 혈관내피성장인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어운동과 밴드운동을 접목시킨 복합운동이 노인여성들의 비만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비만노인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운동중재 및 프로그램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김대중, 최성희, 이태희, 이유미, 김형진, 김수경, "제2형 당뇨병. 임상비만학", 대 한비만학회, 2002
2 문정화, "고지혈증 환자에서 유산소 및 근력운동의 효과", 운동학학술지, 8(2), 137-143, 2006
3 김승보, 이주희, 이선경, 박성재, "자궁경부암에서의 COX-2 와 VEGF 발현에 관한 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 47(5), 901-907, 2004
4 김재철, 이언호, 박정웅, 박정배, 김창근, "운동강도의 차이가 혈중 VEGF protein 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2(3), 589-595, 2003
5 양정옥, 황재심, 이중숙, 이범진, "복합운동 참여가 여성 노인의 기능체력에 미 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9(2), 177-183, 2011
6 고영호, 하경수, 조형식, 윤정수, 박대령, 김창근, 김재철, "유산소 운동 중 골격 근 섬유내 VEGF mRNA 및 protein의 발현", 한국체육학회, 42(1), 601-608, 2003
7 고성경, 권영우, "비만여성의 운동형태가 신체구성과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3), 1479-1489, 2011
8 김현리, 안숙희, 송라윤, 소희영, "폐경 후 여성의 비만, 골밀도와 심혈관질환 위 험도간의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6(3), 224-233, 2010
9 곽현, 김상범, "저열량 식사와 동반한 코어 프로그램(Core Program)의 체중 감량 효과", 대한비만학회지, 11(3), 308, 2002
10 김만겸, 황문현, 최요섭, 심영제, 서경호, 변재종, 김성수, "장기간 복합운동이 고령자의 심폐기능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 333-349, 2000
1 김대중, 최성희, 이태희, 이유미, 김형진, 김수경, "제2형 당뇨병. 임상비만학", 대 한비만학회, 2002
2 문정화, "고지혈증 환자에서 유산소 및 근력운동의 효과", 운동학학술지, 8(2), 137-143, 2006
3 김승보, 이주희, 이선경, 박성재, "자궁경부암에서의 COX-2 와 VEGF 발현에 관한 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 47(5), 901-907, 2004
4 김재철, 이언호, 박정웅, 박정배, 김창근, "운동강도의 차이가 혈중 VEGF protein 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2(3), 589-595, 2003
5 양정옥, 황재심, 이중숙, 이범진, "복합운동 참여가 여성 노인의 기능체력에 미 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9(2), 177-183, 2011
6 고영호, 하경수, 조형식, 윤정수, 박대령, 김창근, 김재철, "유산소 운동 중 골격 근 섬유내 VEGF mRNA 및 protein의 발현", 한국체육학회, 42(1), 601-608, 2003
7 고성경, 권영우, "비만여성의 운동형태가 신체구성과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3), 1479-1489, 2011
8 김현리, 안숙희, 송라윤, 소희영, "폐경 후 여성의 비만, 골밀도와 심혈관질환 위 험도간의 관계",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6(3), 224-233, 2010
9 곽현, 김상범, "저열량 식사와 동반한 코어 프로그램(Core Program)의 체중 감량 효과", 대한비만학회지, 11(3), 308, 2002
10 김만겸, 황문현, 최요섭, 심영제, 서경호, 변재종, 김성수, "장기간 복합운동이 고령자의 심폐기능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 333-349, 2000
11 김미향, 전명정, "방풍나물 추출물이 난소절제 흰쥐의 혈중 지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생명과학회지, 26(1), 83-90, 2016
12 김재구, "요가 수련이 여성 고령자의 혈중지질과 TNF-α, IL-6, CRP에 미치 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4(2), 585-591, 2011
13 김수진, "무용기반 저강도 복합운동요법이 당뇨노인의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 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5), 683-694, 2018
14 김창숙, "노인 운동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조선대 학교", 광주, 2006
15 곽창수, 이충일, 유신환, 양정수, "수중운동이 여성 노인의 건강관련 체력 및 사 증후군 위험요인에 미치는 효과", 운동학 학술지, 12(4), 23-32, 2010
16 이명천, 장유정, "12주간 수중운동이 노인여성의 체중, 체지방율, 혈당 및 혈중 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8(5), 401-409, 2009
17 김은정, "노인의 아쿠아로빅운동과 신체효능감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 문, 단국대학교", 서울, 2005
18 권유찬, 윤미숙, 박상갑, "유산소와 근저항의 복합트레이닝이 비만 청소년의 림 프구 및 TNF-α 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2(2), 335-345, 2003
19 김창환, 최봉화, "필라테스 매트운동이 low backpain 노인의 요부근력, 통증척 도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7(5), 633-641, 2006
20 안문용, "규칙적인 운동이 중년 여성의 체지방 및 혈중 콜레스테롤, 혈당, 중성 지방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39(2), 351-358, 2000
21 권유찬, 박진기, 박상갑, 김은희, "복합운동이 근육감소증 고령여성의 자립생활 체력, IL-6, TNF-α와 경동맥 혈관에 미치는 영향", 한국 사회체육학회지, 45(2), 771-781, 2011
22 심난정, 이호성, 이태성, "저강도 복합운동이 여성비만노인의 신체조성, 대사성 위험인자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1, 551-560, 2018
23 강창균, 이만균, 김출, "12주간의 복합운동 트레이닝이 농촌 노인의 심폐기능과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7(4), 377-387, 2008
24 이만균, 조현석, 정원상, "노인 여성의 근감소증과 비만에 따른 체력, 생활습관병 지표 및 근육의 생화학적 특성의 비교 분석", 체육과학연구학회지, 28(4), 808-823, 2017
25 백승옥, 오윤선, 신윤정, "저강도 유산소성 운동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건강 건 강관련체력 및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6(1), 737-749, 2007
26 한정환, "한국인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에 대한 체지방률의 분별치 정립. 미간 행 박사학위논문, 을지대학교", 서울, 2008
27 김기진, 오윤선, 신윤정, "비만 여성의 10주간 댄스스포츠 프로그램 수행 후 혈중 대사기질, 호르몬 및 사이토카인 농도의 변화", 한국체육학회지, 43(6), 467-479, 2004
28 김석희, 홍춘기, 류현승, "12주간의 필라테스 매트운동과 탄력밴드 운동이 여성 노인의 혈중지질과 신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학술지, 13(1), 103-112, 2010
29 방선정, "한국인 전반적 급진성 치주염 환자에서 IL-6 유전자 다변성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전남, 2008
30 이중원, 한상인, "12주간 협응력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여성노인의 인지기능 및 Alzheimer's Disease형 치매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0(3), 175-187, 2009
31 손준호, "장기간 복합운동 참여에 따른 여성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및 생활만족.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경산, 2010
32 황봉연, "탄력밴드 저항성운동이 고령여성의 활동체력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 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서울, 2006
33 이난희, "복합운동이 여성노인의 체력, BDNF, VEGF, IGF-1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서울, 2012
34 주애란, "12주간 노인운동프로그램 참여가 신체조성, 체력, 대사증후군에 미치 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서울, 2013
35 박정환, "복합운동이 노인의 인지기능, 건강체력,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서울, 2016
36 이정인, "걷기운동의 강도가 중년여성의 피로, 혈중지질,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 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2005
37 진은희, "밴드를 이용한 저항성운동이 고혈당 여성노인의 혈당 및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서울, 2014
38 오은지, "Development of a Rapid Automated Fluorescent Lateral Flow Immunoassay to Detect Hepatitis B Surface Antigen (HBsAg), Antibody to HBsAg, and Antibody to Hepatitis C",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38(6), 578-584, 2018
39 김경태, 조지훈, "탄성밴드운동 및 유산소성 운동을 병행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노인여성의 체력, 혈중지질 및 혈관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운동학 학술지, 15(2), 129-138, 2013
40 김영석, "복합운동이 노인여성의 건강관련체력, 혈중지질 및 심혈관질환 위험인 자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강릉대학교", 강원도, 2007
41 박상묵, "복합운동이 비만 여성노인의 자립생활체력과 대사증후군위험인자 및 성장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부산, 2010
42 국두홍, "복합운동이 중년 비만 여성의 혈중지질, 염증표지인자와 비만관련호르 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전남, 2008
43 김춘심, "복합운동이 고령 여성의 신체구성, 혈중지질 및 건강체력과 동맥경화 지수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전남, 2011
44 서정민, "유산소운동과 밴드운동이 제2형 당뇨 여성고령자의 생활체력, Serotonin 및 BDNF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부산, 2015
45 박영미, "한국무용 수련이 중년 여성의 체력, 신체구성, 산화성 스트레스 및 혈 관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전북, 2009
46 이순미, "복합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혈중염증반응지표, 혈관내피 성장인자 및 동맥경직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대전, 2013
47 김희철, "12주간의 유산소성 복합운동과 운동강도가 노인비만여성의 체지방, 심 혈관계 기능, MDA, CRP, Homocysteine 농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충북대학교", 청주,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