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피동 습득 양상을 살펴보고, 한국어 피동에 대한 형태집중 교육 효과를 검증하며, 한국어 피동 습득과 형태집중 교육 효과에 미치는 언어적성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151289
용인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학위논문(박사) -- 경희대학교 대학원 ,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 , 2016. 8
2016
한국어
811 판사항(20)
경기도
xiii, 225 p. : 삽화 ; 26 cm
경희대학교 학위논문은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영주
참고문헌 : p.181-190
I804:11006-20000005676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피동 습득 양상을 살펴보고, 한국어 피동에 대한 형태집중 교육 효과를 검증하며, 한국어 피동 습득과 형태집중 교육 효과에 미치는 언어적성의...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피동 습득 양상을 살펴보고, 한국어 피동에 대한 형태집중 교육 효과를 검증하며, 한국어 피동 습득과 형태집중 교육 효과에 미치는 언어적성의 영향을 밝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피동 습득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중국인 학습자들은 피동주의 식별, 격조사와의 결합, 복잡한 피동 유형 등 언어 유형적 차이로 인해 많은 오류를 범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에 한국어를 공부하는 중국인 학습자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피동을 문법 항목으로 삼아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피동을 어느 정도로 습득하고 있으며 그 양상은 어떠한지, 또 학습 기간에 따라 향상은 있는지, 교육의 효과는 어떠한지, 그리고 학습자의 인지적 변인은 교육의 결과와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품고 답을 모색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를 실시하였고 그에 대한 결과를 얻었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피동 습득 양상은 어떠한지 밝히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피동사 피동 A(‘-이-, -히-, -기-, -리-'에 의한 피동), 피동사 피동 B(‘-되다, -받다, -당하다'에 의한 피동), 그리고 ‘-아/어지다' 피동을 한국어 피동의 범주로 선정하였고, 한국어 학습 기간에 따라 중국인 학습자들을 학습 기간 1년, 2년, 3년으로 나누어 한국어 피동 평가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48점 만점에 평균 점수는 30.443점이었으며, 평균 정답률은 63.423%였다. 한국어 피동 습득에 있어서 중국인 학습자들은 이해 능력과 산출 능력에 차이가 있었으며 산출 능력이 이해 능력에 비해 많이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동 유형별로 살펴볼 때, 학습자들은 피동사 피동A보다 ‘-아/어지다’ 피동과 피동사 피동 B에서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재 개발과 교실 교육 시, 학습자의 산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업을 고안해야 하고, 피동 유형별로 나누어 수업을 진행할 때 ‘-아/어지다’ 피동과 피동사 피동 B에 대해 더 많이 고려하여 수업을 구성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두 번째 연구 문제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피동의 형태집중 교육 효과는 어떠한지 밝히는 것이었다. 먼저, 한국어 피동에 대한 입력중심교수, 출력중심교수, 그리고 입력출력혼합교수가 효과적인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사전시험과 즉시 사후시험 점수를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입력중심교수 집단, 출력중심교수 집단, 입력출력혼합교수 집단 모두에서 유의미한 점수 향상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입력중심교수, 출력중심교수, 그리고 입력출력혼합교수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교수 집단 간의 즉시 사후시험 점수를 알아본 결과, 입력출력혼합교수 집단 > 입력중심교수 집단 > 출력중심교수 집단 > 통제 집단 순으로 나타났다. 입력출력혼합교수 집단은 출력중심교수 집단보다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이것은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하였다. 즉, 입력출력혼합교수가 출력중심교수보다 더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입력중심교수 집단과 입력출력혼합교수 집단, 입력중심교수 집단과 출력중심교수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끝으로 입력중심교수, 출력중심교수, 그리고 입력출력혼합교수 교육 효과의 지속성을 확인한 결과, 1차와 2차 지연 사후시험에서 세 집단은 모두 유의미한 점수 향상이 나타났다. 피동 평가 테스트의 이해 영역과 산출 영역으로 구분하여 세부적으로 살펴볼 때 1차 지연 사후시험의 이해 영역에서 입력중심교수 집단만 유의미한 점수 향상이 나타났고 출력중심교수 집단과 입력출력혼합교수 집단은 유의미한 점수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즉 입력중심교수는 교수 처치 후 이해 영역에서 교육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연구 문제는 언어적성이 중국인 학습자의 피동 습득 및 형태집중 교육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이었다. 언어적성 총점과 언어적성 세부 요인 간에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사전시험 총점과 언어적성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전시험 총점, 피동의 이해와 산출 능력, 피동의 유형에 따른 점수 모두에서 언어적성의 영향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중국인 학습자 집단에서 언어적성이 높으면 피동 습득 정도도 높다고 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언어적성과 형태집중 교육 효과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언어적성과 입력중심교수 집단, 출력중심교수 집단, 입력출력혼합교수 집단, 통제 집단 사이에서 유의미한 회귀식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언어적성이 형태집중 교육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로 본 연구의 중국인 학습자 집단의 경우 형태집중 교육 효과에 언어적성의 영향이 나타나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세부적으로 살펴볼 때, 형태집중 교육 집단별 언어적성과 즉시 사후시험 이해 영역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언어적성 하위 요인인 음성구분과 입력중심교수 집단의 교육 효과 사이에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681, p=0.030). 또한 회귀분석을 통해 음성구분 능력이 입력중심교수 집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어 피동 습득에서 학습자의 음성구분 능력이 높을수록 입력중심교수를 통해 피동 이해 영역 평가 점수가 향상될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피동 습득 양상을 살펴보았고, 한국어 피동에 대한 형태집중 교육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학습자의 개별적 변인인 언어적성을 측정하여 언어적성이 한국어 피동 습득과 형태집중 교육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그러나 사전시험부터 2차 지연 사후시험까지 실험 기간이 길어 연구 참여자들이 특정 시험에 대비하여 목표 문법 항목을 스스로 학습했었다면 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연구 결과가 향후 한국어 피동 교육에 좋은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1 최현배(1937/1971), "《우리말본》", [발행소불명], 延禧專門學校出版社, 1937
2 고영근, 구본관,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9
3 강현화, 이정희, 이명귀, 김동은, "한국어 중급 Ⅰ", 경희대학교 출판문 화원, 2002
4 任洪彬, "피동성과 피동구문", 국민대학교, 국민대학교 논문집 12, 35-60, 1977
5 구본관, 황선엽, 이진호, 이선웅, 박재연, "한국어 문법 총론 1", 집문당, 2015
6 제영, "한 중 피동문 대조 연구",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7 고영근,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개정판)", 탑출판사, 1985
8 채서일, "『사회과학조사방법론』", 서울:비앤엠북스, 2010
9 이정택, "피동의 개념과 피동 서술어", 한국어학회, 한국어학 22, 335-354, 2004
10 국립국어연구원,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 국립국어연구원, 국립국어원, 2003
1 최현배(1937/1971), "《우리말본》", [발행소불명], 延禧專門學校出版社, 1937
2 고영근, 구본관,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9
3 강현화, 이정희, 이명귀, 김동은, "한국어 중급 Ⅰ", 경희대학교 출판문 화원, 2002
4 任洪彬, "피동성과 피동구문", 국민대학교, 국민대학교 논문집 12, 35-60, 1977
5 구본관, 황선엽, 이진호, 이선웅, 박재연, "한국어 문법 총론 1", 집문당, 2015
6 제영, "한 중 피동문 대조 연구",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7 고영근,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개정판)", 탑출판사, 1985
8 채서일, "『사회과학조사방법론』", 서울:비앤엠북스, 2010
9 이정택, "피동의 개념과 피동 서술어", 한국어학회, 한국어학 22, 335-354, 2004
10 국립국어연구원,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 국립국어연구원, 국립국어원, 2003
11 양금평, "한중 피동 표현 대조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2 이상억, "국어의 사동 피동 구문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70
13 김영주, 이선진, 이선영, 백준오,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습득과 인지 심리 적 제약", 국어교육 139, 557-588, 2012
14 김영주, 최은정, 이선희, 남주연, "언어적성과 한국어 정오판단 능력의 상관 관계 연구", 언어 37(1), 131-155, 2012
15 Haegwon Jeong (정해권), "Processing and Acquisition of Korean Passive Voice by Chinese L2 Learners",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교육 25(2), 165-186, 2014
16 백준오, 김영주, 이선진, 이선희, 남주연,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항목별 세부사 항 발달 양상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한국어 교육, 23(2), 247-279, 2012
17 표경현, "“Test Bias? An Examination of the ESL Placement Test and Satisfaction”",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한국외국어교육학회 9(2), 43-75, 2002
18 최영, "한국어와 중국어 피동문의 대조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19 양설, "한중 피동문 대조 연구 : 중국어 被자문과 대조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 학교 대학원, 2009
20 우동동, "한국어와 중국어의 피동 표현 대조 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15
21 왕단, "한국어와 중국어의 피동문 대조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2
22 박아현, "처리 교수가 한국어 피동 학습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3 이은하 ( Eun Ha Lee ), 안지은 ( Ji Eun Ahn ), 채윤정 ( Yun Jeong Chae ), 김영규 ( Young Kyu Kim ), "한국어 학습자의 인지적,정의적 개인차 요인과 제2언어 성취 간의 관계",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 46, 253-296, 2011
24 서민정, "출력과업과 협력이 영어가정법 학습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5 김정해, "중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피동 표현 교육 방안, 고려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6 고기영, "일본인 한국어 중 고급 학습자의 피동 습득 연구, 이화여자대학 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7 장영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피동표현의 교육 방안 연구, 충남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8 진동희, "처리교수가 한국어 과거시제 습득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 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9 김영주, 이선진, "한국어 문법 항목의 난이도 연구 -학습자 언어권별 GJT 정답률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국어교육학회 141, 307-335, 2013
30 고민정, "출력 과업과 입력 과업이 문법학습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1 박지현,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피동 표현의 사용 양상 연구, 한국외 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2 기현아, "학습자의 출력 활동이 언어 표현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 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3 이윤선, "입력중심교수가 청각장애 학생의 문법적 이해와 표현에 미치는 효과 -사동문, 피동문 중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34 신희경, "한 중 피동문 대조 연구 : 중국어 무표지 피동문과의 대조를 중 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35 정수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과제 유형에 따른 피동 표현 습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6 이정란,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 생산 능력과 이해 능력 비교 -추측, 희망 표현의 화행 실현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이중언어학 46, 297-319, 2011
37 최정은, "한국어 파생적 피동표현의 효율적인 교수 방법 : 중국인 학습자 를 위하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8 김용, "한국어 파생적 피동표현의 효율적인 교수 방법 : 중국인 학습자를 하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9 안선영,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에서 출력양상에 따른 이해가능한출력 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40 김설경, "입력 출력 기반 교수가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적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1 유경옥,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피동 표현 교육 연구 : 한 중 피동 대조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42 구진희, "입력중심과 출력중심의 형태 초점 교수법이 영어 마찰음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43 임우열,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환경, 언어 적성과 발음 숙달도, 발음 학습 전략 간의 상관성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44 전영아, "형태초점접근법: 문법항목과 지도방법의 관계 및 문법추론력과 문법습득의 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45 이선영, 정해권, "한국어 피동문 처리에서의 통사 구조와 빈도의 영향 -그 림-문장 검증 과제를 통한 행동 반응 연구-,언어와 언어학", 58, 403-426, 2013
46 김미나, "입력중심 화행교수와 출력중심 화행교수가 초등학생 화행 습득 에 미치는 영향 효과 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7 이창희, "입력 중심 활동과 출력 중심 활동이 초등 영어 학습자의 영어 문 법 항목 습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48 오효정, "귀납적, 연역적, 우연적 교수법이 초등학생의 영어 문법능력 향상 에 미치는 효과 및 언어적성과의 관계,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49 설수연, "서면으로 제공되는 수정적 피드백, 제2언어적성 및 학습자 태도 가 한국어 조사 습득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10
50 박신향, "입력과 출력중심 형태초점 의사소통 활동 및 학습자의 사전지식 수준이 목표문법의 주목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부경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