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시대 재가에 대한 검토 - 유교사상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 = A Review on Jaega(再嫁) in Koryo Period - On the basis of relations with Confucianism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351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여성의 재혼을 의미하는 재가는 여성의 정절과 연결되며 부정적으로 인식되어왔다. 하지만 재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조선시대의 것으로 고려시대는 이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

      여성의 재혼을 의미하는 재가는 여성의 정절과 연결되며 부정적으로 인식되어왔다. 하지만 재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조선시대의 것으로 고려시대는 이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고려시대에는 재가가 보편적으로 실시되었으며 남편의 사후 여성이 재가하는 것은 고려사회의 `풍속`이었다. 재가녀가 왕비가 되는 것이 특이한 일이 아니었으며, 과부인 여성이 마음에 드는 남성에게 접근하여 재가하는 것 또한 자연스럽게 이루어졌다. 이러한 고려시대 재가의 모습은 남녀 간의 자유로운 교제, 성에 대한 개방적 인식 등 고려시대의 사회적 여건이 바탕이 되고 있다.
      재가에 대한 유교사상의 인식은 부정적인 것으로, 이는 `삼종지도` `일부 종사` 등 유교사상의 종속적 여성관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하지만 고려시대 유교사상의 재가 관련 인식은 유교사상의 본래의 모습에서는 벗어나 있었으니, 이것은 국가 차원에서 실시되었던 정표정책의 특징에서 잘 드러난다. 고려시대 정표정책에서는 절부에 대한 포상이 의부에 대한 포상과 함께 이루어진다는 면이 두드러진다. 유교사상에서 절부에 대한 칭송이란 남편에게 종속된 부인이 남편의 사후에도 그에 대한 정절을 지켜나가는 `순종성`의 가치에 대해 주어지는 것으로써 여성에게 일방적으로 적용되었던 도덕적 규범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런데 고려시대에는 절부에 대한 포상이 남성을 대상으로 한 의부에 대한 포상과 함께 이루어졌다는 것은 혼인에 대한 도덕적 규범이 여성에게만 일방적으로 강요된 것이 아닌, 여성과 남성에게 함께 적용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고려시대 여성의 위치와 함께 유교사상의 사회적인 이해의 수준을 보여준다.
      한편 고려시대에는 재가가 보편적으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유교사상의 가치인 수절이나 절의를 칭송하는 묘지명 기사 또한 다수 나타나고 있어 혼란을 주고 있다. 하지만 묘지명에서 `수절` `절의` 등의 유교적 용어로 칭송되었던 여성의 실제의 삶은 유교적인 것이 아니었다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녀는 불교적인 가치를 지향하며 독실한 불교신자로서의 삶을 살았으나, 유학자에 의해 서술되는 과정에서 그녀의 삶이 유교적인 용어로 표현되었던 것이다.
      이와 함께 유교적 용어 자체가 유교사상의 본래의 뜻대로 사용되고 있지 않은 점 또한 같은 맥락으로 이해된다. 유교사상에서 수절이나 절의는 남편 사후 재가하지 않은 부인에게 쓰이는 것으로써 남성에 대한 여성의 종속성을 보여주는 용어이다. 하지만 고려시대에 사용된 `수절` `절의` 등의 용어는 남편이 살아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결혼하지 않은 여성에게도 사용되고 있다. 수절·절의 등의 용어가 유교사상에서의 의미가 아닌, 그녀의 인간적인 삶 전반에 대한 칭송의 용어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고려시대 `수절` `절의` 등의 유교적 용어가 유교적 내용을 담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게 볼 때 고려시대 여성의 삶에 대한 이해는 유교적 용어만으로는 부족하다고 할 수 있으며, 고려시대의 제반 사회 사상적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aega(再嫁), meaning women`s remarriage, was connected to their chastity and thus has had negative connotations. However, the negative recognition of Jaega emanates from the Chosun period. In the Koryo period, Jaega was generally prevalent and it wa...

      Jaega(再嫁), meaning women`s remarriage, was connected to their chastity and thus has had negative connotations. However, the negative recognition of Jaega emanates from the Chosun period. In the Koryo period, Jaega was generally prevalent and it was the custom of Koryo society that women remarried after her husband`s death. Such feature of Jaega in Koryo period was based on the social circumstances of the Koryo period, namely, free association between men and women, and liberal attitudes toward sex. Confucianism treated Jaega negatively, which derived from a dependent sense of women, namely, `Samjongjido(三從之道)` `Ilbujongsa(一夫從事)`, etc. However, Confucian recognition of Jaega in the Koryo period was far from the original features of Confucianism, which is well manifested in the characteristics of Chungpyo(旌表) policy enforced at the national level. Chungpyo policy in the Koryo period is noteworthy in that Jeolbu(節婦) was awarded along with that for Euibu(義夫). Under Confucianism, Jeolbu is given value for `compliance` of women who kept her chastity for her husband even after his death. But rather than a unilateral application of such moral norms to women, the fact that Jeolbu was awarded with Euibu for men during the Koryo period means that moral norms for marriage was not unilaterally imposed solely on women, but was jointly applied to women and men. This reveals the position of women and the social application of Confucianism during the Koryo period.
      Meanwhile, despite the prevalence of remarriage, there were many articles lauding such Confucian values of celibacy as Sujeol or Jeoleui. It is necessary to note here that the actual lives of womens lauded by Confucian terms like `Sujeol` `Jeoleui` were not Confucian at all. Although she lived the life of pious Buddhists, pursuing Buddhist values, her life was expressed in Confucian terms as Confucian scholars later described it.
      Indeed, Confucian terms themselves were not used in the original sense as Confucian ideology. Under Confucian ideology, Sujeol or Jeoleui were used for women who did not remarry after her husband`s death as a way to denote women`s dependency on men. However, during the Koryo period, `Sujeol` and `Jeoleui` were also applied to unmarried women in addition to cases where their husbands were alive. This means that Confucian terms such as `Sujeol` and `Jeoleui` in the Koryo period did not embody Confucian meaning. In this sense, the life of women during the Koryo period cannot be understood simply through Confucian terms, but must be understood on the basis of its own overall society and ideolog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흥식, "한국중세불교사연구" 일조각 1994

      2 윤이흠, "한국의 종교와 종교사" 박문사 2016

      3 하현강, "한국여성사 1" 이화여대학교 출판부 1972

      4 최재석, "한국가족제도사연구" 일지사 1983

      5 이효재, "한국가족론" 까치 1990

      6 김영심, "한국 고대사회 여성의 삶과 유교 -여성 관련 윤리관의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30 : 39-82, 2003

      7 "태종실록"

      8 박주, "조선시대의 정표정책" 일조각 1990

      9 박용옥, "유교적 여성관의 재조명" (창간) : 1985

      10 강숙자, "유교사상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이해" 3 (3): 2004

      1 허흥식, "한국중세불교사연구" 일조각 1994

      2 윤이흠, "한국의 종교와 종교사" 박문사 2016

      3 하현강, "한국여성사 1" 이화여대학교 출판부 1972

      4 최재석, "한국가족제도사연구" 일지사 1983

      5 이효재, "한국가족론" 까치 1990

      6 김영심, "한국 고대사회 여성의 삶과 유교 -여성 관련 윤리관의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30 : 39-82, 2003

      7 "태종실록"

      8 박주, "조선시대의 정표정책" 일조각 1990

      9 박용옥, "유교적 여성관의 재조명" (창간) : 1985

      10 강숙자, "유교사상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이해" 3 (3): 2004

      11 김미영, "유교문화와 여성" 살림 2004

      12 "예기"

      13 강명관, "열녀의 탄생" 돌베게 2009

      14 "연산군일기"

      15 권순형, "여성: 역사와 현재" 국학자료원 2001

      16 "여계"

      17 "소학"

      18 서영애, "불교의 여성관" 불교시대사 2006

      19 김영미, "불교의 수용과 여성의 삶·의식세계의 변화-고려시대 여성의 가정생활을 중심으로" 62 : 1997

      20 리영자, "불교와 여성" 민족사 2001

      21 김용덕, "부녀수절고" 3 : 1964

      22 권순형, "고려의 혼인제와 여성의 삶" 혜안 2006

      23 김창현, "고려의 여성과 문화" 신서원 2007

      24 김현경, "고려시대 재가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5 "고려사절요"

      26 "고려사"

      27 "고려묘지명집성"

      28 "고려도경"

      29 이숙인, "15세기 조선의 改嫁 논쟁" 한국동양철학회 (32) : 207-239,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6 1.52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