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음악교사 양성 제도와 임용 현황에 따른 음악과에서 교직과정 이수 경험 연구 = A Study on the Completion Experience of Courses in Teacher Education at a Normal University According to the Music Teacher Training System and Certification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84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enrolled music students who are actually taking courses in teaching education from normal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organize actual experiences of the targeted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training status of music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ays of the week, pointing out any issues. Especially,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music major where students taking courses in teacher education duplicated with course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should learn various knowledge, functions and emotional attitudes. Especially, the teacher education in normal universities was selected among various music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 order to prepare an opportunity to give a careful consideration to the music teacher education of normal universities, characteristics of teachers suitable for the subject of arts and relevant certification system.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enrolled music students who are actually taking courses in teaching education from normal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organize actual experiences of the targeted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train...

      This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enrolled music students who are actually taking courses in teaching education from normal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organize actual experiences of the targeted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training status of music teach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ays of the week, pointing out any issues. Especially,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music major where students taking courses in teacher education duplicated with course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should learn various knowledge, functions and emotional attitudes. Especially, the teacher education in normal universities was selected among various music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 order to prepare an opportunity to give a careful consideration to the music teacher education of normal universities, characteristics of teachers suitable for the subject of arts and relevant certification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현재 일반대학 교직과정 중 음악과에 한해서 실제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하였다. 연구자가 학생들의 실제 교직과정 이수 경험을 재구성하여 음악교사 양성 실태와 관련 요인들의 관계를 규명하여, 문제점을 제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음악과 교사양성 제도 중에서 특히 일반대학 교직과정을 연구대상으로 선택한 것은 일반대학에서 음악과 교직과정 이수 제도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먼저 음악 중등 정교사 양성 제도와 현황, 임용제도, 임용현황 등을 조사․분석하였고, 그 다음 일반대학 음악과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학생들을 질적 방법에 의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미적 교과인 음악 교과의 성격과 목표에 대한 진지한 고민, 미적 교과에 알맞은 교사의 특성, 그에 따른 양성제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현재 일반대학 교직과정 중 음악과에 한해서 실제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하였다. 연구자가 학생들의 실제 교직과정 이수 경험을 재구성하여 음악교...

      이 연구는 현재 일반대학 교직과정 중 음악과에 한해서 실제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하였다. 연구자가 학생들의 실제 교직과정 이수 경험을 재구성하여 음악교사 양성 실태와 관련 요인들의 관계를 규명하여, 문제점을 제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음악과 교사양성 제도 중에서 특히 일반대학 교직과정을 연구대상으로 선택한 것은 일반대학에서 음악과 교직과정 이수 제도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먼저 음악 중등 정교사 양성 제도와 현황, 임용제도, 임용현황 등을 조사․분석하였고, 그 다음 일반대학 음악과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는 학생들을 질적 방법에 의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미적 교과인 음악 교과의 성격과 목표에 대한 진지한 고민, 미적 교과에 알맞은 교사의 특성, 그에 따른 양성제도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진곤, "현행 교원양성의 질적 관리 체제의 문제점과 정책대안" 18 (18): 89-112, 2001

      2 윤정일, "한국교육정책의 쟁점" 교육과학사 2002

      3 교육인적자원부, "표시과목의 대학의 관련학부 및 기본이수과목 또는 분야"

      4 "초 중등교육법 법률 제8852호"

      5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교육과정"

      6 이예경, "중등 음악교사 양성 대학의 전공 교육과정 분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7 김변주, "제 7차 교육과정의 구현을 위한 새로운 교육대학원 교과과정안"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8 김병찬, "일반대학 학생들의 교직과정 이수 동기 및 과정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23-53, 2003

      9 박주성, "일반대학 교직과정 이수자의 교직과정 만족도 조사" 24 : 189-208, 2005

      10 신계휴,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13 (13): 181-197, 1997

      1 정진곤, "현행 교원양성의 질적 관리 체제의 문제점과 정책대안" 18 (18): 89-112, 2001

      2 윤정일, "한국교육정책의 쟁점" 교육과학사 2002

      3 교육인적자원부, "표시과목의 대학의 관련학부 및 기본이수과목 또는 분야"

      4 "초 중등교육법 법률 제8852호"

      5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교육과정"

      6 이예경, "중등 음악교사 양성 대학의 전공 교육과정 분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7 김변주, "제 7차 교육과정의 구현을 위한 새로운 교육대학원 교과과정안"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8 김병찬, "일반대학 학생들의 교직과정 이수 동기 및 과정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23-53, 2003

      9 박주성, "일반대학 교직과정 이수자의 교직과정 만족도 조사" 24 : 189-208, 2005

      10 신계휴,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13 (13): 181-197, 1997

      11 "유아교육법 법률 제852호"

      12 황규호, "미국과 영국의 교사 양성교육 동향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0 (30): 31-58, 2003

      13 교원자격검정령 시행규칙, "문교부령 제507호"

      14 석태종, "대학 교직과정, 그 문제점 개선방향" 51 : 87-91, 1986

      15 교원자격검정령, "대통령령 제9258호"

      16 교원자격검정령, "대통령령 제20797호"

      17 강두용, "국내 교육대학원 음악교육과 Curriculum의 비교 분석"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8 박세훈, "교직과정을 통한 중등교원 양성 현황과 개선 방안" 17 : 49-64, 2001

      19 Lortie, D., "교직 사회: 교직과 교사의 삶" 양서원 1993

      20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인적자원부고시 제2004-5호"

      21 문승한, "교육심리학" 학지사 2010

      22 교원자격검정령 시행규칙, "교육과학기술부령 제1호"

      2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08-119호"

      24 배호순, "교육개혁과 교직과정의 발전 과제" 15 (15): 140-145, 1998

      25 윤종건, "교육개혁과 교직과정의 발전 과제" 15 (15): 120-134, 1998

      26 황규호, "교원양성․연수교육 체제 개선 방안" 교육부 교원양성․연구교육체제 개선연구위원회 1999

      27 Soltis, J. F., "교양교육에 있어서의 심미적 이해력 , In 철학과 교육" 서광사 1996

      28 이윤식, "교사양성체제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8

      29 강환국, "교사교육론" 교학연구사 1995

      30 Sirotnik, K. E., "On the eroding studies in teacher education" 71 (71): 710-716, 1990

      31 Schunk, D. H., "Influence of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y Information on Children's Self-Efficacy and Skills" 1992

      32 교육과학기술부, "2011년도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33 호서대학교, "2010학년도 호서대학교 요람"

      34 교육과학기술부, "2009년도 교원양성기관 현황"

      35 김태희, "2003~2004년 서울 소재 교육대학원 음악교육과 교과과정 비교분석"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6 석문주, "2000년을 향한 학교 음악교육의 전망" 33 : 191-211,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