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자동차 도어의 진동 저감을 위한 제진재 설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amping material design for vibration suppression of the automotive do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8229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자동차에서 Door는 자동차 실내 소음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소 중 하나이다. 이에 본 본문에서는 자동차 Door의 진동 저감을 위하여 진동제어 방법의 하나로 널리 응용되고 있는 제진재를 Door에 적용함에 있어 제진재 설계의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제진재 설계기법은 제진재 설계 시 고려하여야 할 설계변수인 제진재 적용위치, 크기, 두께선정을 위하여 두 단계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첫 단계는 변형 에너지 개념을 도입한 CAE 방법을 통하여 제진재 적용위치를 선정하는 것이며, 두 번째 단계는 앞 단계에서 결정된 적용위치를 바탕으로 실험계획법을 적용하여 제진재의 크기 및 두께를 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두 단계의 설계과정을 통해 얻어진 모델은 일반적으로 제진재 설계 시 CAE 방법만을 적용한 모델에 비해 유사한 제진효과를 얻으면서 무게 감소를 얻을 수 있었다.
      번역하기

      자동차에서 Door는 자동차 실내 소음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소 중 하나이다. 이에 본 본문에서는 자동차 Door의 진동 저감을 위하여 진동제어 방법의 하나로 널리 응용되고 있는 제진재를 Doo...

      자동차에서 Door는 자동차 실내 소음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소 중 하나이다. 이에 본 본문에서는 자동차 Door의 진동 저감을 위하여 진동제어 방법의 하나로 널리 응용되고 있는 제진재를 Door에 적용함에 있어 제진재 설계의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제진재 설계기법은 제진재 설계 시 고려하여야 할 설계변수인 제진재 적용위치, 크기, 두께선정을 위하여 두 단계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첫 단계는 변형 에너지 개념을 도입한 CAE 방법을 통하여 제진재 적용위치를 선정하는 것이며, 두 번째 단계는 앞 단계에서 결정된 적용위치를 바탕으로 실험계획법을 적용하여 제진재의 크기 및 두께를 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두 단계의 설계과정을 통해 얻어진 모델은 일반적으로 제진재 설계 시 CAE 방법만을 적용한 모델에 비해 유사한 제진효과를 얻으면서 무게 감소를 얻을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utomotive industry, all passenger vehicles are treated with damping materials to reduce structure borne noise. The effectiveness of damping treatments depends upon design parameters such as choice of damping materials, locations and size of the treatment. Generally, the CAE method uses modal strain-energy information of the bare structural panels to identify flexible regions, which in turn facilitates optimization of damping treatments with respect to location and size. This paper proposes a design of the damping material with a CAE(Computer Aided Engineering) methodology based on finite element analysis and DOE(Design Of Experiments) to optimize damping treatments.
      번역하기

      In automotive industry, all passenger vehicles are treated with damping materials to reduce structure borne noise. The effectiveness of damping treatments depends upon design parameters such as choice of damping materials, locations and size of the tr...

      In automotive industry, all passenger vehicles are treated with damping materials to reduce structure borne noise. The effectiveness of damping treatments depends upon design parameters such as choice of damping materials, locations and size of the treatment. Generally, the CAE method uses modal strain-energy information of the bare structural panels to identify flexible regions, which in turn facilitates optimization of damping treatments with respect to location and size. This paper proposes a design of the damping material with a CAE(Computer Aided Engineering) methodology based on finite element analysis and DOE(Design Of Experiments) to optimize damping treatm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LIst of Figures = ⅲ
      • List of Tables = ⅴ
      • 국문요약 = ⅵ
      • 1. 서론 = 1
      • 목차 = ⅰ
      • LIst of Figures = ⅲ
      • List of Tables = ⅴ
      • 국문요약 = ⅵ
      • 1. 서론 = 1
      • 2. 배경 이론 = 3
      • 2.1 점탄성 재료(Viscoelastic Material) 특성 = 3
      • 2.1.1 복소 탄성계수 = 3
      • 2.1.2 환경인자의 영향 = 6
      • 2.1.3 표면 감쇠처리 = 7
      • 2.2 실험계획법 = 9
      • 2.2.1 직교배열표 = 10
      • 2.2.2 2수준계의 직교배열표 = 11
      • 2.2.3 3수준계의 직교배열표 = 12
      • 3. 자동차 Door의 시험 및 해석 = 14
      • 3.1 모달 시험 = 14
      • 3.2 유한요소 모델링 및 해석 = 16
      • 3.3 시험과 해석 결과 비교 = 18
      • 4. 제진재 위치 선정 = 20
      • 4.1 변형 에너지 = 20
      • 4.2 Door의 변형 에너지 분석 = 22
      • 4.3 제진재 적용위치 선정 = 24
      • 5. 재진재 크기 및 두께 선정 = 28
      • 5.1 초기 모델 = 28
      • 5.2 설계변수 선정 = 29
      • 5.3 민감도 해석 = 32
      • 5.4 제진재 크기 및 두께 선정 = 41
      • 6. 결론 = 44
      • 참고문헌 = 45
      • Abstract = 4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