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이야기의 활용의 새로운 가능성을 어떻게 마련할 수 있을까? 본 논문은 이 점을 비판적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옛이야기는 초등교육의 재제 및 창작 동화의 소재로 지속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518548
최원오 (광주교육대학교)
2019
Korean
Old Story ; Children’s Literature ; Fairy Tale ; Creative Fairy Tale ; Orality ; Japanese Colonial Period ; Primary education ; 옛이야기 ; 아동문학 ; 동화 ; 창작동화 ; 구술성 ; 일제강점기 ; 초등교육
KCI등재
학술저널
7-60(5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옛이야기의 활용의 새로운 가능성을 어떻게 마련할 수 있을까? 본 논문은 이 점을 비판적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옛이야기는 초등교육의 재제 및 창작 동화의 소재로 지속적...
옛이야기의 활용의 새로운 가능성을 어떻게 마련할 수 있을까? 본 논문은 이 점을 비판적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옛이야기는 초등교육의 재제 및 창작 동화의 소재로 지속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그런데 일제강점기에 형성된, ‘옛이야기=전래동화’라는 잘못된 인식이 아동문학계 및 초등교육계에 만연되어 있어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심각한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옛이야기 저자인 것처럼 행세하기, 옛이야기인 것처럼 소개하기, 옛이야기인 것처럼 교육하기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옛이야기의 표현이나 소재를 이용한 동화 창작을 ‘옛이야기의 올바른 활용법’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아동문학계에 널리 퍼져 있고, 이렇게 해서 창작된 동화들을 ‘창작옛이야기’라고 지칭하자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는데, 이 역시 옛이야기와 전래동화를 동일시하는 데서 발생한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런 문제점들을 어떻게 시정할 수 있을까? 필자는 옛이야기가 활용되어 온 역사에서 그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고 본다. 옛이야기는 고전소설의 형성과 발전에 크게 기여해 왔으면서도, 고전소설과 동일시되지 않았고, 역사의 전면에서도 사라지지 않은 채 그 독자적 면모를 계속해서 유지해 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옛이야기는 옛이야기대로, 동화는 동화대로 그 독자성을 인정하여, 상호 독자적이고 대등한 관계로 되돌려놓는 것이야말로, 앞서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는 근본적 열쇠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말하자면 아동문학계, 초등교육계에서 옛이야기를 ‘새롭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옛이야기와 동화의 아름다운 이별과 재회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본다. 이를 창작 동화의 경우에 한정해 설명하자면, 옛이야기의 소재, 표현뿐만 아니라 그 본질(구술성, 또는 구술성의 정신역학)까지를 담아내는 쪽으로 창작의 방향을 정하는 게 마땅할 것이다. 그래야 옛이야기의 독자적 성격을 제대로 담아내는 동화 창작이 실현될 수 있고, 그런 동화들이야말로 옛이야기와는 별개의 성격을 갖는 독자적 작품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런 동화들은 ‘창작옛이야기’가 아니라, ‘옛이야기동화’라는 동화의 한 하위 갈래로 지칭될 수 있을 것이다. 아동문학계에서는 동화의 소재에 따라 역사동화, 현실동화처럼 그 하위 갈래를 명명하는 게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일제강점기에 형성된 옛이야기와 동화의 잘못된 관계를 바로 잡을 수 있는 구체적, 체계적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w can we prepare ‘new’ possibilities for the use of old stories? This paper considers this point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As you know, old stories have been used continuously as a material for primary education and creative fairy tales. Ho...
How can we prepare ‘new’ possibilities for the use of old stories? This paper considers this point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As you know, old stories have been used continuously as a material for primary education and creative fairy tales. However, the misconception that ‘old story = traditional fairy tales’ form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widespread in the children’s literature and elementary education, causing serious problems to the present day; acting as an old story author, introducing it as an old story, and educating it as an old story etc. In addition, the tendency to think of the creation of fairy tales using expressions and materials from old stories as ‘the right way to use old stories’ is widespread in the children’s literature. This, too, can be said to be a problem in identifying old stories and traditional fairy tales. How can we correct these problems? I think that can be gained from the history of old stories. This is because old stories have contributed greatly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lassical novels, but have not been identified with classical novels and have maintained their original features without disappearing from the front of history. Therefore, it is a fundamental key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recognizing the uniqueness of the old story and the fairy tales according to the old story and returning them to mutually independent and equal relations. In other words, in order to use the old story ‘newly’ in the field of children’s literature and primary education, the beautiful parting and reunion of old story and fairy tale should be discussed in order. To explain this only in the case of creative fairy tales, it would be appropriate to decide the direction of creation to capture not only the material and expression of the old story but also its essence (orality, or psychodynamics of orality). Only then can the creation of a fairy tale that properly captures the original character of the old story be realized, and such fairy tales can be evaluated as an independent work that has a distinctive character from the old story. And such fairy tales can be referred to as a subdivision of a fairy tale called ‘Old Story Fairy Tale’, rather than ‘Creative Old Story.’ This is because children’s literature generally names fairy tales according to subject matter, such as historical and real fairy tales. It is hoped that concrete and systematic studies will be actively conducted to correct the misrelationship between old stories and fairy tales form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참고문헌 (Reference)
1 염희경, "현대동화의 과제, 옛이야기의 창조적 변용" 8 (8): 47-62, 2010
2 오오타케 키요미, "한일 아동문학 관계사 서설" 청운 2006
3 장덕순, "한글개정판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2006
4 "한글 전래동화 100년: 옛날 옛날 아주 먼 옛날에" 한글박물관 2017
5 서대석, "한국인의 삶과 구비문학" 집문당 2002
6 전형대, "한국고전시학사" 홍성사 1979
7 박희병, "한국고전소설의 발생 및 발전단계를 둘러싼 몇몇 문제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7 : 31-53, 1992
8 김환희, "한국 창작옛이야기의 현황을 짚어보다" 8 (8): 26-46, 2010
9 최원오, "한국 설화문학에서의 ‘문둥병[癩病]’에 대한 인식과 젠더, 이데올로기의 문제" 일본연구소 52 : 55-88, 2017
10 김균태, "한국 고전소설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 2012
1 염희경, "현대동화의 과제, 옛이야기의 창조적 변용" 8 (8): 47-62, 2010
2 오오타케 키요미, "한일 아동문학 관계사 서설" 청운 2006
3 장덕순, "한글개정판 구비문학개설" 일조각 2006
4 "한글 전래동화 100년: 옛날 옛날 아주 먼 옛날에" 한글박물관 2017
5 서대석, "한국인의 삶과 구비문학" 집문당 2002
6 전형대, "한국고전시학사" 홍성사 1979
7 박희병, "한국고전소설의 발생 및 발전단계를 둘러싼 몇몇 문제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7 : 31-53, 1992
8 김환희, "한국 창작옛이야기의 현황을 짚어보다" 8 (8): 26-46, 2010
9 최원오, "한국 설화문학에서의 ‘문둥병[癩病]’에 대한 인식과 젠더, 이데올로기의 문제" 일본연구소 52 : 55-88, 2017
10 김균태, "한국 고전소설의 이해" 도서출판 박이정 2012
11 서정오, "참 신기하고 무서운 이야기 꽁지 닷 발 주둥이 닷 발" 보리 1996
12 강재철, "조선전설동화 상" 단국대학교출판부 2012
13 張德順, "전래동화의 세계" 寶晋齋 14-23, 1972
14 최운식, "전래동화 교육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2003
15 최운식, "전래동화 교육론" 집문당 1988
16 최원오, "일제강점기 조선전설 자료집의 간행과 전설 범주의 설정" 한국구비문학회 (54) : 99-138, 2019
17 조희웅, "일본어로 쓰여진 한국설화/한국설화론(1)"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24 : 1-26, 2005
18 김환희, "옛이야기의 발견" 우리교육 2007
19 최원오, "여성생애담의 이야기화 과정, 그 가능성과 한계" 한국구비문학회 (32) : 37-72, 2011
20 다카기 도시오, "신일본교육구전설화집" 제이앤씨 2014
21 최원오, "송전유우선교수정년기념 국어국문학논총" 간행위원회 597-614, 1997
22 최원오, "서사무가와 고전소설의 관련양상 일고" 한중인문학회 6 : 31-65, 2001
23 발터 벤야민, "서사(敍事)․ 기억 ․비평의 자리" 도서출판 길 2012
24 小 波, "새로 開拓되는 「童話」에 關하야, 特히 少年 以外의 一般 큰 이에게" (31) : 1923
25 정운채, "문학치료의 이론적 기초" 문학과 치료 2006
26 이은우, "문둥이 처녀 설화와의 비교를 통한 「여선담전」 연구" 돈암어문학회 22 : 359-386, 2009
27 칼-에릭 스베이비, "모든 것을 살아 있게 하라" 뜰 2009
28 "매일신보"
29 박성희, "동화로 열어가는 상담 이야기 : 수용과 공감의 지혜" 학지사 2001
30 "동아일보"
31 최원오, "동아시아비교서사시학" 월인 2001
32 권혁래, "다카기 도시오(高木敏雄) 편찬 『조선교육옛이야기[新日本敎育昔噺]』 (1917)의 서지와 해학의 미학"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7) : 203-234, 2018
33 김선우, "내 몸속에 잠든 이 누구신가" 문학과지성사 2007
34 최원오, "국어와 국어교육" 박이정 464-465, 1995
35 월터 J. 옹,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1995
36 최원오, "구비전승의 현재와 미래" 한국문화인류학회 41 (41): 187-224, 2008
37 "개벽"
38 李樹鳳, "陽圃李相澤敎授還曆紀念 韓國 古典小說과敍事文學 상" 집문당 457-459, 1998
39 임형택, "羅末麗初의 ‘傳奇’ 文學" 한국한문학회 5 : 89-104, 1981
40 高木敏雄, "童話の硏究" 婦人文庫刊行會 1916
41 高木敏雄, "日本伝説集" 郷土研究社 1913
42 高木敏雄, "新日本敎育昔噺" 敬文館 1917
43 조수학, "崔致遠傳의 小說性" 영남어문학회(한민족어문학회) 2 : 92-107, 1975
44 이헌홍, "崔致遠傳의 傳奇小說的 構造" 부산여자대학교 국어교육학과 수련어문학회 9 : 163-182, 1982
45 김종철, "古小說硏究論叢 : 茶谷李樹鳳先生回甲紀念論叢" 茶谷李樹鳳先生回甲紀念論叢 刊行委員會 183-208, 1988
46 최원오, "十二支神 토끼" 생각의 나무 123-158, 2010
47 松本孝次郎, "児童研究講演速記録" 名古屋金城教育会 1901
48 지준모, "傳奇小說의 嚆矢는 新羅에 있다―調信傳을 解剖함" 한국어문학회 32 : 117-134, 1975
49 高木敏雄, "修身教授童話の研究と其資料" 東京宝文館 1913
50 이석원, "‘대동아’공간의 창출 ―전시기 일본의 지정학과 공간담론―" 역사문제연구소 12 (12): 272-311, 2008
51 송수연, "‘근대’를 성찰하는 ‘새로 쓴 옛이야기’, 『물이, 길 떠나는 아이』의 성취와 한계" 동화와번역연구소 20 : 133-154, 2010
52 최원오, "‘구술성’의 문화사적 기여와 인문학적 가치" 한국한문학회 (57) : 65-101, 2015
53 Eric K. Taylor, "Using Folkta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54 Kira Van Deusen, "Singing Story Healing Drum:Shamans and Storytellers of Tirkic Siberia"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04
55 Bruce A. Rosenberg, "Folklore & Literature: Rival Siblings" The University of Tennessee Press 1991
56 이시준, "1920년대 전후에 출판된 일본어 조선설화집에 관한 기초적 연구 - 『신일본교육구전설화집』, 『조선의 기담과 전설』, 『온돌야화』를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소 (53) : 265-284, 2014
『어린이』와 『선봉』에 실린 사회주의 국가 피오넬 활약을 그린 소년소설 비교
윤조병의 개구리 3부작의 주제의식 연구 - 아동희곡집 『개구리 이야기』를 중심으로 -
통일국가시대 초등 국어과 제재로서일제강점기 전래동화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57 | 1.001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