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학교회계길잡이, , 2000
2. , 교육부, 2022학년도 교장공모제 추진 계획(안), , 2021
3. 정책학원론, 최종원, 정광호, 정정길, 이시원, 정준금, 서울: 대명출판사, , 2017
4. 행정학사전, 이종수, 고양: 대영문화사, , 2009
5. 신조직환경론, 신유근, 서울: 다산출판사, , 1999
6. 한국경제통사, 이헌창, 서울: 해남, , 2016
7. 한국 교육 운동사, 손인수, 서울: 문음사, , 1994
8. 학교와 전문성 문화, 허병기, 교육행정학연구, 15(3), 217-244, , 1997
9. (n.d). 역대 장관 소개, 교육부, 교육부 열린장관실. https://www.moe.go.kr/mnst rHistory.do,
10. 「행정조사방법론」, 남궁근, 서울: 법문사, , 2010
11. 학교와 교육법(제1판), 조석훈, 파주: 교육과학사, , 2002
12. 학교와 교육법(제2판), 조석훈, 파주: 교육과학사, , 2020
13. 한국 교육개혁 정치학, 신현석, 김용일, 윤여각, 안선희, 김재웅, 최준렬, 정재걸, 안기성, 이석열, 서울: 학지사, , 2014
14. 교육행정 및 경영 탐구, 임연기, 최준렬, 고양: 공동체, , 2010
15. 대선용 경제공약의 결말, 김경락, 한겨례 신문, , 2021
16. 서울형 혁신학교 이야기, 이부영, 서울: 살림터, , 2013
17. 이명박 정부 2년 경제 성적표, 권호, 중앙일보, , 2010
18. 제도분석-이론과 쟁점(제2판), 하연섭, 서울: 다산출판사, , 2016
19. 혁신학교 자율성의 의미 분석, 송유진, 최준렬, 김택균, 민병성, 교육행정 학연구, 40(1), 91-114, , 2022
20. A theory of gradual institutional change, Mahoney, J., & Thelen, K., 1, 1-37, , 2010
21.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육성방안, 김병주, 김성기, 이일용, 이명균, 교육행 정학연구, 24(4), 211-238, , 2006
22. 학교자율화의 쟁점과 주요 과제, 정제영, 교육행정학연구, 26(2), 415-435, , 2008
23. 학교경영에서의 통제성과 자율성, 박우진, 교육행정학연구, 22(4), 67-84, , 2004
24. 학교예산회계제도의 효과성 분석, 이장희, 김영두, 상업교육연구, 15, 193-212, , 2007
25. 학교단위 책임경영제에 관한 연구, 안병환, 성현주, 교육실천연구, 3(2), 93-112, , 2004
26. 학교운영위원회 정착을 위한 연구, 박종필, 초등교육연구, 15(1), 133-150, , 2002
27. 혁신학교 교육과정제도 변화 분석, 장수명, 신은희, 교육정치학연구, 26(1), 231-260, , 2019
28. 학교운영위원회 시범운영 평가연구, 유현숙, 양승실, 김흥주, 서울: 한국 교육개발원, , 1996
29. 고교생이 알아야 할 한국사 스페셜 1, 최선혜, 김아네스, 서울: 신원문화 사, , 2009
30. 질적 연구: 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곽영순, 파주: 교육과학사, , 2015
31. 학교가 달라졌다: 조현초 4년의 기록, 이중현, 서울: 우리교육, , 2011
32. 자립형 사립 고등학교의 과제와 전망, 김송일, 교육의 이론과 실천, 10(2), 53-72, , 2005
33. 학교운영위원회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권인탁, 교육연구, 14, 71-84, , 1995
34. 4.15학교자율화 추진계획의 쟁점과 과제, 이명균, 사학, 121, 22-25, , 2008
35. 학교평가제도 변화의 신제도주의적 분석, 한유경, 김은영, 교육정치학연 구, 15(1), 79-101, , 2008
36. 교장공모제와 정책변동 방향에 관한 연구, 이광현, 교육정치학연구, 25(3), 185-214, , 2018
37. 초 중등학교의 학교자율화 개선방안 연구, 신중식, 교육논총, 20, 5-37, , 2000
38. 학교자율화 정책 의 추진실태와 개선방안, 박재윤, 황준성, 김성기, 강영혜, 박균열, 김택형, 고전,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2010-05, , 2010
39. 교육제도 운영의 통제권 배분 성과와 과제, 김성열, 인문논총, 31, 159-182, , 2013
40. 새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제도 개선방안, 교육부, 보도자료, , 2007
41. 학교경영 자율화 정책의 방향에 관한 연구, 강영삼, 교육논총, 16, 31-46, , 1997
42. 학교자율화 수준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서지영, 정일환, 김병주, 정현숙, 한국교원교육연구, 27(2), 73-96, , 2010
43. UR 협상 주요 의제의 최종합의 내용 및 평가, 차상우, 박병규, 동향과 전망, 29-66, , 1994
44. 가트 역사에 비춰 본 우루과이 라운드 성격, 정태인, 동향과 전망, 21, 7-28, , 1994
45. 학교 회계제도의 문제점 및 발전 방향 탐색, 김의호, 최청일, 동아논총, 38, 51-65, , 2001
46. 교장공모제 쟁점에 대한 학교 구성원의 인식, 이효정, 전수빈, 김갑성, 이효정, 전수빈, 김갑성, 박인심, 박인심, 한국교원교육연구, 35(2), 265-287, , 2018
47. 학교자율화 추진방안에 관한 교원 인식 분석, 최만덕, 교육행정학연구, 27(4), 109-138, , 2009
48. 학교자율화 정착을 위한 법령 정비 방안 연구, 나민주, 고전, 김용, 김숙이, 김성기, 이영섭, 충북대학교 한국지방교육연구소 연구보고서, 1-113, , 2013
49. 지방자치와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적 운영방안, 조호제, 한국교원교육학 회 제 74차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 2018
50.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자율역량 신장체제 구축, 김용우, 김숙이, 이근규, 정영수, 이수정, 정재훈, 이옥화, 이차영, 충북대학교 한국지방교육연구 소 연구보고서, 1-120, , 2012
51. 교장공모제 시범운영 성과에 대한 비판적 분석, 박상완, 한국교육, 37(2), 177-201, , 2010
52. 학교운영에서 교장의 자율과 책무에 관한 연구, 박상완, 한국교육, 38(1), 27-53, , 2011
53. 학교자율화 추진계획에 대한 교원의 인 식 분석, 정성수, 오세희, 김훈호, 김재금, 수산해양교육연구, 21(4), 592-606, , 2009
54. ‘국민의 정부’의 교육재원 확보정책 평가연구, 송기창, 교육재정경제연구, 11(2), 91-118, , 2002
55. 실물 경제 못 살리면 어떤 경기부양도 소용 없다, 김제직, 중앙일보, , 2022
56. 제도변화의 형태: 역사적 신제도주의를 중심으로, 하태수, 행정논총, 39(3), 113-137, , 2001
57. 학교자율화 정책이 학교현장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훈호, 오세희, 정성수, 장덕호, 한국교원교육연구, 27(4), 1-25, , 2010
58. 학교자율화에 대한 교육감과 학교장의 인식 분석, 김경회, 박수정, 지방 행정연구, 26(1), 249-270, , 2012
59. 혁신학교 정책집행과정 특성 분석. 박사학위 논문, 이승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 2017
60. 교과부의 4.15 학교 자율화 추진 계획 이 성공하려면, 김흥주, 교육정책 포럼, 171, 4-7, , 2008
61. 학교자율경영제 관점에서의 학교 자율화 정책 분석, 박균열, 교육행정학 연구, 28(2), 1-25, , 2010
62. 학교자율화 조치에 따른 B교육 청의 추진 현황 분석, 정일환, 김병주, 홍준영, 정현숙, 서지영, 한국교원교육연구, 27(3), 93-113, , 2010
63. Instiutionalized organizations: Formal structure as myth and ceremony, Meyer, J. W., & Rowan, B, 83(2), 340363, , 1997
64.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과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 허숙, 교육과정연 구, 30(1), 81-98, , 2012
65. 학교자율화의 영역별 실태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김병주, 교육정치 학연구, 16(3), 103-123, , 2009
66. 학교 및 교사 자율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호준, 유지은, 정동욱, 교육행정학연구, 33(4), 257-276, , 2015
67. 학교 자율경영제에 비춰본 현 정부의 학교 자율화 정책, 박종필, 교육종 합연구, 8(3), 173-198, , 2010
68. 신문기사에 나타난 학교정보공시 자료의 활용실태 분석, 박수정, 홍혜인, 교육행정학연구, 33(2), 369-391, , 2015
69. 신제도주의에 기반한 국내 교육정책연구의 동향과 과제, 나민주, 윤인재, 교육정치학연구, 20(2), 78-101, , 2013
70. 역사적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컨설팅장학정책 변화 분석, 윤명선, 박수정, 한국교육, 46(3), 65-98, , 2019
71. 이명박 정부의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에 대한 비판적 논의, 김재춘, 교 육과정연구, 29(4), 47-68, , 2011
72. 4.15학교교육 자율화 조치와 학교중심 자율경영체제의 구축, 김성열, 교 과교육연구, 29(1), 229-241, , 2008
73.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시범운영 결과에 대한 비판적 검토”, 성기선, 교육 사회학연구, 15(3), 179-204, , 2005
74. 초 중등학교 자율화에 따른 지방교육재정정책의 점검과 과제, 반상진, 교육재정경제연구, 18(4), 89-117, , 2009
75. 초 중등 사학의 활성화 방안. 사학의 자율과 책임의 제고 방안, 서정화, 교육개혁위원회 제2차 공청회 발표자료, 1-28, , 1994
76. 역사적 신제도주의를 통한 한국의 인성교육정책 변동과정 분석, 김상철, 교육정치학연구, 25(4), 323-352, , 2018
77. 교원연수제도의 문제와 개선에 대한 역사적 신제도 주의적 분석, 전상훈, 신현석, 교육문제연구, 32, 167-192, , 2008
78. 제도주의 관점으로 본 학교단위 학교개혁 사례연구. 석사학위 논문, 최인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2016
79. 한국에서 교사의 효능감은 왜 낮은가? 학교자율 성 제도화의 중요성, 함승환, 이동엽, 함은혜, 교육행정학연구, 37(1), 63-81, , 2019
80. 대학재정지원정책 변화에 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 분석. 박사학 위 논문, 장아름, 고려대학교 대학원, , 2018
81. MB 정부의 학교 자율화 정책 집행과정 분석: 교육과정 자율화 를 중심으로, 김재웅, 교육정치학연구, 18(4), 61-85, , 2011
82. 신학력관에 기반한 서울형혁신 학교 교육과정 연구: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류형선, 이부영, 노철현, 김정안, 이승철,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연구정 보원, , 2016
83. 제도변화의 통합적 접근: 신제도주의 하위 분파 간 통합 적 접근의 가능성, 구현우, 국정관리연구, 7(2), 69-109, , 2012
84. 노무현 정부의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개정 과정에서 나타 난 쟁점분석, 서영인, 교육정치학연구, 14(1), 147-172, , 2007
85. 단위학교 자율책임경영체제 구축을 위한 학교장 의 권한 법제화 방안 연구, 김경회, 윤성현, 김주영, 법교육연구, 6(2), 23-55, , 2011
86. 단위학교 책무성 정책변화에 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적 분석. 박사학위논문, 이준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 2011
87. 산들초등학교의 교육공동체 형성에 관한 교육인류학적 연구. 박 사학위 논문, 서근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 2005
88. 교원승진제도 변화에 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적 분석-정 책적 시사점의 탐색-, 신현석, 전상훈, 교육행정학연구, 25(3), 129-149, , 2007
89. 학교 자율화 정책의 특성과 과제: 5.31 교육개혁에서 4.15 학교자 율화 추진계획까지, 고전, 초등교육연구, 21(3), 199-221, , 2008
90. 이명박 정부 고교다양화 정책의 평가와 과제 - 자율과 규제의 딜레마, 자율형 사립고, 나민주,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 세미나 자료집, 1-27, , 2012
91. 신자유주의적 시장 유토피아에 대한 비판-시장주의를 넘어 민주 적 공공성의 재구축에로, 나종석, 사회와 철학, 2009(18), 187-216, , 2009
92.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교장공모제도 변화 분석: 정책변화의 경로의존성을 중심으로”, 박상완, 교육행정학연구, 33(3), 323-350, , 2015
93. 교육과정 정책과정에 대한 신제도주의적 분석-제7차 교육과정 개 정과정 연구. 박사학위 논문, 김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 2003
94. 학교장의 자율성, 학교장의 책무성, 교사의 임파원먼트 및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인과관계 분석, 강경석, 강희경, 교육의 이론과 실천, 15(3), 1-26, , 2010
95. 교육의 공공성과 자율성. 교육정책의 자율성과 공공성: 한국교육 학회 2006년 춘계 학술대회 자료집, 김신일, 서울: 한국교육학회, , 2006
96. 학교 자율화 정책에 따른 학교 자율성 변화 및 성취도 제고 효과 분석: PISA 2006~2015 분석을 중심으로, 이호준, 정동욱, 문찬주, 교육행정학 연구 36(3), 67-89, , 2018
97. 교육정책의 공공성과 자율성. 교육정책의 자율성과 공공성: 한국 교육학회 2006년 춘계 학술대회 자료집, 이윤미, 서울: 한국교육학회, , 2006
98. 교육정책의 자율성과 공공성. 교육정책의 자율성과 공공성: 한국 교육학회 2006년 춘계 학술대회 자료집, 신현석, 서울: 한국교육학회, , 2006
99. 사립대학의 총장선임제도 변동에 관한 사례연구: 역사적 신제도 주의의 관점을 중심으로. 박사학위 논문, 방희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 2022
100. 학교급과 학교설립별 학교장의 자율성, 학교장의 책무성, 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인과관계 분석, 강희경, 교육행정학연구, 29(1), 1-29, ,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