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高麗時代 開京 奉恩寺의 創建과 太祖眞殿 = The Foundation of Bongeun Temple(奉恩寺) in Kaekyong and Its Taejojinjeon(太祖眞殿) in Koryo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481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려시기 국가제사 체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태조진전이 있는 봉은사의 기능을 조명하였다. 이를 통해 태조에 대한 제사 기능을 가진 경령전과 태묘와도 비교하여 봉은사의 위상과 성격을 ...

      고려시기 국가제사 체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태조진전이 있는 봉은사의 기능을 조명하였다. 이를 통해 태조에 대한 제사 기능을 가진 경령전과 태묘와도 비교하여 봉은사의 위상과 성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봉은사는 光宗 2년에 태조의 원당으로 창건되었고, 靖宗 4년에는 국왕이 연등 후에 반드시 태조진전에 행향한다는 불교령으로 법제화되었다. 그 사이 태조 숭배는 성종대 정비된 태묘와 경령전이 더 중시된 것으로 추측된다.
      봉은사 진전을 통한 태조숭배는, 신라시기 皇福寺에 ‘宗廟聖靈’을 위해 삼층석탑을 세웠다는 기록에서 그 선례를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신라에서는 사원에 따로 건물을 두고 塑像과 肖像을 조성하여 王室 祖先을 숭배했다는 기능은 확인되지 않는다. 신라 하대 선종 사원에서 祖師 影堂을 두는 제도가 있었다. 고려가 사원에 진전을 두어 조선숭배를 한 것은 이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봉은사 태조진전에는 연등과 태조 忌日에 국왕의 진행 행향이 연례적으로 있었다. 숙종, 예종대가 그 전형이었는데, 고려 황제제사의 절정기로 생각되었다. 특히 燈夕時 국왕이 태조진전에 배알하는 의식은 황궁에서 봉은사까지 대로상에서 민을 진복하고 국왕과 민이 함께함으로써 태조에 대한 신성관념과 국왕권의 존엄을 높이는 의미가 있었다. 봉은사 태조진전은 태조의 통일대업과 연고가 있는 여러 지역에 설치된 태조 진전들을 종합하는 중심으로서의 기능도 가졌다.
      봉은사 태조진전은 북송 왕실의 불교식 국가제사체계 도입의 일환으로 성립되었다. 경령전은 북송 도교 경령궁의 영향을 받은 것이고, 태묘는 유교 영향하에 성립되었다. 봉은사 태조진전에 역대 국왕의 친행은, 경령전과 태묘에 친행한 것보다 압도적이고 정기적이었다. 따라서 봉은사 태조진전이 종묘시설 중 가장 위상이 높았다. 국왕이 태조를 친행으로 제사지내는 기능으로 볼 때, 봉은사는 불교 종단 소속 사원이기보다는 종묘사원으로서의 성격을 가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study function of Bongeun Temple which has Taejojinjeon. And I explore the temple's status and character to compare with Kyongryungjeon(景靈殿) and Taemyo(太廟) which have the memorial rite for Taejo. The temple was established as Taejo shrine...

      I study function of Bongeun Temple which has Taejojinjeon. And I explore the temple's status and character to compare with Kyongryungjeon(景靈殿) and Taemyo(太廟) which have the memorial rite for Taejo.
      The temple was established as Taejo shrine in the 2nd year of King Kwangjong, King's bowing himself in Taejojinjeon was legislated in the 4th year of King Jeongjong(靖宗) after Yeondung(燃燈) Parade. Shilla built stone-pagoda as ancestor worship in Hwangbok Temple(皇福寺). I cannot see the temple building which has kings face molding and portrait. Sonjong(禪宗) temples in the late of Shilla made Patriarchs portrait building.
      Koryo's Kings had to go to Bongeunsa's Taejojnjeon in Taejo's death day and after Yeondung Parade. Their enterings were the most in Sookjong and Yejong period. Kings performed the parade from the palace to Taejojnjeon. They bowed deeply in front of Taejo portrait. In its process king and subjects communicated each other. So the rite enhanced kings majesty and Taejos godness. Taejojinjeon in Bongeun Temple was the core of many Taejojinjeons.
      Buddhist sacrificial rite of North Song Royalty influenced the management of Koryos Taejojinjeon. Taoism in North Song affected Kyongryungjeon. Taemyo was affected of Confucianism. Of them Taejojinjeon was most important as ancestor worship. Bonensa was the ancestor shrine rather than a Buddist abbe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奉恩寺의 創建과 背景
      • 3. 奉恩寺의 太祖眞殿과 位相
      • 4. 맺음말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奉恩寺의 創建과 背景
      • 3. 奉恩寺의 太祖眞殿과 位相
      • 4. 맺음말
      • 부표 : 봉은사 국왕 친행 기록(고려사 세가)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병화, "희양산봉암사 극락전의 연구-조성시기와 용도를 중심으로-" 한국건축역사학회 16 (16): 7-20, 2007

      2 김종명, "한국중세의 불교의례: 사상적 배경과 역사적 의미" 문학과 지성사 2001

      3 "노명호, 2006, ?고려 태조 왕건 동상의 황제관복과 조형상징?, 『북녘의 문화유산』, 국립중앙박물관도록"

      4 한정수, "고려시대 개경의 사전(祀典) 정비와 제사 공간" 한국역사연구회 60 (60): 173-205, 2006

      5 안지원, "고려 국가 불교의례와 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6 "경기도박물관 안성시, 2002, 『奉業寺』"

      7 趙善美, "高麗時代의 眞殿制度, 韓國의 肖像畵" 悅話堂 1983

      8 朴胤珍, "高麗時代 王師 國師 硏究" 景仁文化社 2006

      9 金炯佑, "高麗時代 燃燈會 硏究,設行實態를 중심으로" 55 : 1994

      10 金澈雄, "高麗時代 太廟와 原廟의 運營" 106 : 2005

      1 홍병화, "희양산봉암사 극락전의 연구-조성시기와 용도를 중심으로-" 한국건축역사학회 16 (16): 7-20, 2007

      2 김종명, "한국중세의 불교의례: 사상적 배경과 역사적 의미" 문학과 지성사 2001

      3 "노명호, 2006, ?고려 태조 왕건 동상의 황제관복과 조형상징?, 『북녘의 문화유산』, 국립중앙박물관도록"

      4 한정수, "고려시대 개경의 사전(祀典) 정비와 제사 공간" 한국역사연구회 60 (60): 173-205, 2006

      5 안지원, "고려 국가 불교의례와 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6 "경기도박물관 안성시, 2002, 『奉業寺』"

      7 趙善美, "高麗時代의 眞殿制度, 韓國의 肖像畵" 悅話堂 1983

      8 朴胤珍, "高麗時代 王師 國師 硏究" 景仁文化社 2006

      9 金炯佑, "高麗時代 燃燈會 硏究,設行實態를 중심으로" 55 : 1994

      10 金澈雄, "高麗時代 太廟와 原廟의 運營" 106 : 2005

      11 韓基汶, "高麗寺院의 構造와 機能" 民族社 1998

      12 盧明鎬, "高麗太祖 王建 銅像의 流轉과 문화적 배경" 서울대 국사학과 50 : 2004

      13 韓基汶, "高麗前期 佛敎關聯 律令의 內容과 性格" 嶺南大 民族文化硏究所 37 : 2007

      14 李鍾旭, "高麗初 940年代의 王位繼承戰과 그 政治的 性格, 高麗光宗硏究" 一潮閣 1981

      15 許興植, "高麗佛敎史硏究" 一潮閣 1986

      16 崔柄憲, "高麗中期 玄化寺의 創建과 法相宗의 隆盛, 韓?劤博士停年紀念史學論叢" 知識産業社 1981

      17 奧村周司, "高麗の?丘祀天?と世界觀, 朝鮮社會の史的展開と東アジア" 山川出版社 1997

      18 奧村周司, "高麗における謁祖眞儀と王權の再生" 37 : 2003

      19 이영미, "高麗 燃燈會의 演行空間 연구" 31 : 2003

      20 韓國古代社會硏究所,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3(신라2 발해편)" 1992

      21 尹善泰, "新羅의 成典寺院과 衿荷臣" 108 : 2000

      22 蔡尙植, "新羅統一期 成典寺院의 구조와 기능" 8 : 1984

      23 韓基汶, "新羅末 禪宗 寺院의 形成과 構造" 한국선학회 2 : 2001

      24 浜田耕策, "新羅國史の硏究" 吉川弘文館 2002

      25 李泳鎬, "新羅中代 王室寺院의 官寺的 機能" 43 : 1983

      26 高裕燮, "奉恩寺와 國子監, 松都古蹟" 1945

      27 山內弘一, "北宋時代の神御殿と景靈宮" 70 : 1985

      28 "公州大學校博物館 論山市, 2002, 『開泰寺址』"

      29 金子修一, "中國?郊祀と宗廟と明堂及び封禪, 東アジアおける儀禮と國家" 學生社 1982

      30 "『高麗史』"

      31 "『韓國金石全文』"

      32 "『補閑集』卷上"

      33 "『東國李相國集』"

      34 "『新增東國輿地勝覽』"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9-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2.25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