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의 특수교육 적용기대감과 현존감(Presence) 요인에 대한 연구: 예비특수교사 대상으로 = Investigating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n Applying Augmented Reality (AR) to Special Education and its Presence Factors Affecting AR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실제 세계에 가상의 정보를 합성하여 현실 세계에서는 쉽게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정보를 제공해 주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의 특수교육 적용 가능성에 대한 예비특수교사...

      이 연구는 실제 세계에 가상의 정보를 합성하여 현실 세계에서는 쉽게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정보를 제공해 주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의 특수교육 적용 가능성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증강현실의 특수교육 적용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기대감은 어떠한가? 둘째, 증강현실 경험의 현존감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증강현실의 특수교육 적용 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현존감 요인은 무엇이고 그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증강현실 관련 동영상을 시청하게 한 후,온라인 설문조사 시스템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에는 총 230명 학생이 참여하였고, 그 중 영상을 모두 시청하였고 증강현실에 대해 매우 잘 이해한다고 응답한 학생 183명을 첫 번째연구문제 자료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다시 이중에서 1회 이상 증강현실 체험 경험이 있었다고 응답한 학생 108명의 자료를 두 번째와 세 번째 연구문제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특수교사들은 증강현실에 대해 높은 기대감을 갖고 있었으며, 증강현실 기술이 장애학생들에게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평소 경험하지 못했던 자유로움을 제공할 수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강현실 적용에 대한 부정적 우려는 그 기대감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증강현실에 대한 부정적 우려감은 학생이 선호하는 콘텐츠에 과도하게 몰입할수도 있고 다른 평면적인 학습 자료에 대한 흥미가 저하될 수 있을 것이라는 이유에서였다. 둘째, 증강현실 현존감은 즐거움과 상호작용 요인에서 높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접근성과 몰입감은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증강현실의 특수교육 적용 기대감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현존감 요인은 즐거움과 상호작용 요인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따라 증강현실을 특수교육에 적용할 때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n Augmented Reality(AR) in applying it to special educational environm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3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n Augmented Reality(AR) in applying it to special educational environm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3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who agreeing to answer the questionnaire. The data were collected by an online survey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relatively high expectations on applying AR to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ts reasons mentioned were that AR technology provides many experiential opportunities and more freedom which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not yet experienced. And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lso had concerns about applying AR to special education. Their concerns about AR were appeared in terms of the possibilities of students being excessively engaged in AR and being less interested in traditional learning materials. Second, AR presence perceived by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high enough to expect the future use of AR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in terms of its enjoyment, mutual communication, realization, and performance, whereas low expectations for AR``s accessibility and flow. Third, major factors affecting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ositive perceptions on AR were enjoyment and communi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