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령기 과체중·비만 아동에게 적용한 인지행동중재의 효과 : 무작위대조연구의 체계적고찰과 메타분석 =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on Overweight and Obese among School aged Childre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560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과체중·비만 아동의 관리는 성인비만으로 이환되지 않도록 예방하는데 역점을 두어야 하며, 단기적 체중 감소보다는 과도한 체중증가를 예방하면서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적절한 영양을 공급하고 올바른 식습관과 운동습관을 교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지행동중재는 여러 가지 인지행동기술을 통해 일상적인 식습관과 신체활동 습관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바꾸어 아동의 습관을 교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학령기 과체중·비만 아동의 관리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는 학령기의 과체중·비만 아동에게 적용된 인지행동중재의 효과를 규명하고 학령기 아동의 비만관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는 2019년 4월 16일부터 4월 25일까지 Medline, EMBASE, Cochrane Library CENTRAL, KISS, KoreaMed, KMbase, NDSL, KiSTi의 core DB 등을 이용하여 검색하였고, 미리 마련된 기준에 따라 29개의 연구문헌을 선정하였다. ROB 2.0에 따라 연구의 방법론적 질을 평가한 후 자료를 추출하였다. 모든 과정은 두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수행하고 RevMan 5.3과 CMA 3.0을 이용하여 메타분석하였다.
      학령기 과체중·비만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중재 29편 중 신체활동과 영양을 주제로 수행된 교육 단독 중재가 20편(69.0%), 교육과 운동의 병행 중재가 7편(24.1%)이었고, 사용된 인지행동기술은 목표 설정이 27편(93.1%), 자극 제어가 22편(75.9%), 자기 관찰이 20편(69.0%), 강화가 12편(41.4%)의 순이었다. 메타분석결과 인지행동중재는 학령기 과체중비만 아동의 체질량지수(SMD 0.48, 95% CI=0.31∼0.66), 신체활동(SMD 0.71, 95% CI=0.61∼0.81), 식습관(SMD 0.60, 95% CI=0.35∼0.84), 자기효능감(SMD 0.56, 95% CI=0.34∼0.79), 및 삶의 질(SMD 0.42, 95% CI=0.28∼0.55)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메타회귀분석 결과 인지행동중재의 1회 운영시간은 60∼90분, 기간은 24∼28주에 효과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운영횟수가 증가할수록 효과도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학령기 아동의 과체중·비만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신체활동과 영양에 대한 교육 중재 또는 교육과 운동수행의 병행 중재이 요구되고, 목표 설정, 자극 제어, 자기 관찰 및 보상의 인지행동기술을 활용한 인지행동중재를 적용해야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인지행동 비만관리 중재는 1회기를 60∼90분, 지속기간은 6개월 이상 적용하면 효과적이었다. 확인된 근거들을 바탕으로 학령기 아동의 비만관리를 위한 인지행동중재의 표준실무지침 개발의 기초가 될 것을 기대한다.
      번역하기

      과체중·비만 아동의 관리는 성인비만으로 이환되지 않도록 예방하는데 역점을 두어야 하며, 단기적 체중 감소보다는 과도한 체중증가를 예방하면서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적절한 영양을 ...

      과체중·비만 아동의 관리는 성인비만으로 이환되지 않도록 예방하는데 역점을 두어야 하며, 단기적 체중 감소보다는 과도한 체중증가를 예방하면서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적절한 영양을 공급하고 올바른 식습관과 운동습관을 교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지행동중재는 여러 가지 인지행동기술을 통해 일상적인 식습관과 신체활동 습관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바꾸어 아동의 습관을 교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학령기 과체중·비만 아동의 관리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는 학령기의 과체중·비만 아동에게 적용된 인지행동중재의 효과를 규명하고 학령기 아동의 비만관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는 2019년 4월 16일부터 4월 25일까지 Medline, EMBASE, Cochrane Library CENTRAL, KISS, KoreaMed, KMbase, NDSL, KiSTi의 core DB 등을 이용하여 검색하였고, 미리 마련된 기준에 따라 29개의 연구문헌을 선정하였다. ROB 2.0에 따라 연구의 방법론적 질을 평가한 후 자료를 추출하였다. 모든 과정은 두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수행하고 RevMan 5.3과 CMA 3.0을 이용하여 메타분석하였다.
      학령기 과체중·비만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중재 29편 중 신체활동과 영양을 주제로 수행된 교육 단독 중재가 20편(69.0%), 교육과 운동의 병행 중재가 7편(24.1%)이었고, 사용된 인지행동기술은 목표 설정이 27편(93.1%), 자극 제어가 22편(75.9%), 자기 관찰이 20편(69.0%), 강화가 12편(41.4%)의 순이었다. 메타분석결과 인지행동중재는 학령기 과체중비만 아동의 체질량지수(SMD 0.48, 95% CI=0.31∼0.66), 신체활동(SMD 0.71, 95% CI=0.61∼0.81), 식습관(SMD 0.60, 95% CI=0.35∼0.84), 자기효능감(SMD 0.56, 95% CI=0.34∼0.79), 및 삶의 질(SMD 0.42, 95% CI=0.28∼0.55)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메타회귀분석 결과 인지행동중재의 1회 운영시간은 60∼90분, 기간은 24∼28주에 효과가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운영횟수가 증가할수록 효과도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학령기 아동의 과체중·비만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신체활동과 영양에 대한 교육 중재 또는 교육과 운동수행의 병행 중재이 요구되고, 목표 설정, 자극 제어, 자기 관찰 및 보상의 인지행동기술을 활용한 인지행동중재를 적용해야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인지행동 비만관리 중재는 1회기를 60∼90분, 지속기간은 6개월 이상 적용하면 효과적이었다. 확인된 근거들을 바탕으로 학령기 아동의 비만관리를 위한 인지행동중재의 표준실무지침 개발의 기초가 될 것을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agement of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should be emphasized to prevent adult obesity. It should be aimed at providing adequate nutrition for growth and development and correcting eating habits and exercise habits while preventing excessive weight gain rather than short term weight loss. Cognitive behavioral intervention is an effective way of managing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in school age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changing the daily eating and physical activity habits of the child by using variety of cognitive behavioral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applied to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in school age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obesity management of school aged children. The research data were searched from April 16 to 25, 2019 using the core DBs of Medline, EMBASE, Cochrane Library CENTRAL, KISS, KoreaMed, KMbase, NDSL and KiSTi. Twenty-nine articl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pre-established criteria.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study was evaluated according to ROB 2.0 and data were extracted. All the procedures were performed independently by two researchers. A systematic review of the collected data was performed and meta-analyzed using RevMan 5.3 and CMA 3.0.
      Among the 29 articles on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s for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in school age, 20 (69.0%) were educational interventions on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and 7 (24.1%) were concurrent interventions in education and exercise. The cognitive behavioral techniques used in the intervention were 27 (93.1%) goal setting, 22 (75.9%) stimulus control, 20 (69.0%) self-monitoring and 12 (41.4%) reinforcements respectively. The pooled effect sizes of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dy mass index (SMD 0.48, 95% CI=0.31-0.66) physical activity (SMD 0.71, 95% CI=0.61-0.81), eating habit (SMD 0.60, 95% CI=0.35-0.84), self-efficacy (SMD 0.56, 95% CI=0.34-0.79), and quality of life (SMD 0.42, 95% CI=0.28-0.55). Meta-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effect of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 was greater in the period of 60-90 minutes per session and in the period of 24-28 weeks.
      In conclusion, in order to manage the overweight and obesity of school-aged children, it should be necessary to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or education and exercise, and to using cognitive behavior skills such as goal setting, stimulus control, self- monitoring and reinforcement.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applying for 60-90 minutes in one session and 6 months or longer in duration. Based on the confirmed evidences, we expect to b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standard guidelines for cognitive behavior intervention for the management of obesity in school aged children.
      번역하기

      Management of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should be emphasized to prevent adult obesity. It should be aimed at providing adequate nutrition for growth and development and correcting eating habits and exercise habits while preventing excessive weight...

      Management of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should be emphasized to prevent adult obesity. It should be aimed at providing adequate nutrition for growth and development and correcting eating habits and exercise habits while preventing excessive weight gain rather than short term weight loss. Cognitive behavioral intervention is an effective way of managing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in school age because it has the advantage of changing the daily eating and physical activity habits of the child by using variety of cognitive behavioral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applied to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in school age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obesity management of school aged children. The research data were searched from April 16 to 25, 2019 using the core DBs of Medline, EMBASE, Cochrane Library CENTRAL, KISS, KoreaMed, KMbase, NDSL and KiSTi. Twenty-nine articl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pre-established criteria.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study was evaluated according to ROB 2.0 and data were extracted. All the procedures were performed independently by two researchers. A systematic review of the collected data was performed and meta-analyzed using RevMan 5.3 and CMA 3.0.
      Among the 29 articles on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s for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in school age, 20 (69.0%) were educational interventions on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and 7 (24.1%) were concurrent interventions in education and exercise. The cognitive behavioral techniques used in the intervention were 27 (93.1%) goal setting, 22 (75.9%) stimulus control, 20 (69.0%) self-monitoring and 12 (41.4%) reinforcements respectively. The pooled effect sizes of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ody mass index (SMD 0.48, 95% CI=0.31-0.66) physical activity (SMD 0.71, 95% CI=0.61-0.81), eating habit (SMD 0.60, 95% CI=0.35-0.84), self-efficacy (SMD 0.56, 95% CI=0.34-0.79), and quality of life (SMD 0.42, 95% CI=0.28-0.55). Meta-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effect of cognitive-behavioral intervention was greater in the period of 60-90 minutes per session and in the period of 24-28 weeks.
      In conclusion, in order to manage the overweight and obesity of school-aged children, it should be necessary to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or education and exercise, and to using cognitive behavior skills such as goal setting, stimulus control, self- monitoring and reinforcement.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applying for 60-90 minutes in one session and 6 months or longer in duration. Based on the confirmed evidences, we expect to be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standard guidelines for cognitive behavior intervention for the management of obesity in school aged childr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2절 연구 목적 4
      • 제3절 용어의 정의 4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2절 연구 목적 4
      • 제3절 용어의 정의 4
      • 제2장 문헌 고찰 8
      • 제1절 학령기 과체중·비만 아동의 비만관리 8
      • 제2절 학령기 아동과 인지행동중재 11
      • 제3절 학령기 과체중·비만 아동과 인지행동중재의 효과 13
      • 제3장 연구 방법 19
      • 제1절 연구 설계 19
      • 제2절 연구 대상 19
      • 제3절 자료 수집 22
      • 제4절 자료 분석 24
      • 제4장 연구 결과 28
      • 제1절 체계적고찰 28
      • 제2절 메타분석 48
      • 제5장 논의 64
      • 제6장 결론 및 제언 72
      • 참고문헌 73
      • 선정된 문헌의 목록 86
      • 국문초록 92
      • 부록 94
      • 생명윤리심의 결과 94
      • 문헌검색 전략 95
      • 선정된 문헌의 특성과 질평가 101
      • 제외문헌 목록 및 사유 16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교육부, "null", 2017년도 학생 건강검사 표본조사 결과, 2018

      2 남정모, 최중명, 최봉근, 이순영, 유명환, 서정완, 문진수, "null", 2007 한국 소아 청소년 성장도표: 개발 과정과 전망, 2007

      3 홍창의, "소아과학", 서울: 대한교과서, 2008

      4 강승희, 안창규, "인지치료의 기법", 부산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30(11), 143-178, 1995

      5 조홍철, "비만과 인지행동치료", 생물치료정신의학, 8(2), 236-241, 2002

      6 김율리, 이영호, "비만의 인지행동치료", 서울; 학지사, 2006

      7 강원섭, 김종우, "비만의 정신과적 접근", 대한비만학회지, 19(3). 71-77, 2010

      8 김미리혜, "비만치료의 최신 지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493-509, 2004

      9 최숙희, 배정이,, "청소년물질남용 실태조사", 정신간호학회지, 18(1), 21-30, 2009

      10 서현주,, 손희정, 박지은, 김수영, 신채민, 서혜선, "NECA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서울;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11

      1 교육부, "null", 2017년도 학생 건강검사 표본조사 결과, 2018

      2 남정모, 최중명, 최봉근, 이순영, 유명환, 서정완, 문진수, "null", 2007 한국 소아 청소년 성장도표: 개발 과정과 전망, 2007

      3 홍창의, "소아과학", 서울: 대한교과서, 2008

      4 강승희, 안창규, "인지치료의 기법", 부산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30(11), 143-178, 1995

      5 조홍철, "비만과 인지행동치료", 생물치료정신의학, 8(2), 236-241, 2002

      6 김율리, 이영호, "비만의 인지행동치료", 서울; 학지사, 2006

      7 강원섭, 김종우, "비만의 정신과적 접근", 대한비만학회지, 19(3). 71-77, 2010

      8 김미리혜, "비만치료의 최신 지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493-509, 2004

      9 최숙희, 배정이,, "청소년물질남용 실태조사", 정신간호학회지, 18(1), 21-30, 2009

      10 서현주,, 손희정, 박지은, 김수영, 신채민, 서혜선, "NECA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서울;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11

      11 김은희, "소아, 청소년 비만의 원인과 대책", 대한임상운동사협회 스포츠 건강의학 교양지, 2, 143-147, 2002

      12 천근아, "소아 청소년 비만의 행동수정 요법",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춘계학 술대회, S87-S91, 2004

      13 강제헌, "소리 없이 아이를 망치는 질병 소아비만",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2006

      14 구현경, 임희진, 박형란, "아동 청소년 비만실태 및 정책방안 연구",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 연구보고, R09-R10, 2009

      15 허규진, "한국 소아청소년의 과체중 비만 요인 분석", 인하대학교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1

      16 윤진환, 한진희, 조진경, 강현식, "아동 비만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운동 전략", 대한비만학회지, 23(3), 156-161, 2014

      17 주현옥, "아동의 비만관리를 위한 체중조절 프로그램개발", 부산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1998

      18 이정임, "비만아동의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19 김미경, 현혜진, "초등학교 비만아동을 위한 비만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10(2), 141-146, 2008

      20 이영미, 황승숙, 이정애, "학교건강조사에 의한 초등학생의 건강생활양상 관련 연구", 한국생활환경학회지, 17(6), 659-666, 2010

      21 노은이, "아동 청소년 비만예방을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 정책리포트", 제 142호, 1-24, 2013

      22 송혜영, "서울시 일부 초등학교 아동의 비만과 관련된 건강행태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3 강성우, "초등학생의 귀인성향, 비합리적 신념, 자기조절 능력의 관계", 아주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4 김경환, "인지행동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5 김은경, 김현아, "학령기 비만아동을 위한 체중조절 프로그램의 실시 및 효과평가", 한국영양학회지, 29(3), 307-320, 1996

      26 백선임, "학령기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27 김병진, 정여주, 이도형, 신성민, 류수정,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동기 강화 집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상담학 연구, 16(4), 89-109, 2015

      28 최수전, "초등학교 아동의 식이자기효능과 신체활동자기효능감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29 허은정, "국내 보고된 우리나라 소아 청소년비만 연구동향: 체계적 문헌고찰",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30 박경숙, "학령기 비만아동의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생활양식과의 관계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31 이은주, "사이버 상담을 병행한 비만관리 프로그램이 비만아동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32 김선희, "일개초등학교 비만아동을 위한 비만관리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33 노영희, "게임중독 아동의 자기통제력 향상을 위한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4 남호선,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5 김효신, "행동교정요법이 비만아동의 신체지수, 습관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36 정승환, "지속적 운동습관과 행동수정요법이 비만 아동의 생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37 오경자, 송동호, 강지현, 하은혜, "“우울장애와 불안장애 청소 년을 위한 집단 인지행동치료 효과의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 263-279, 2004

      38 유현호, "비만관리프로그램이 초등학교 비만학생들의 비만도 및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9 송혜영, 최윤, 양숙자, "국내 비만 초등학생들의 식이와 운동 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2(2), 194-207, 2018

      40 박광혜, "비만관리 프로그램이 비만아동의 신체조성, 비만도, 식습관, 스트 레스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41 최환석, "자기교시 및 자기조절 전략훈련이 독해부진아의 독해력과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42 박소라, "방과 후 비만관리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비만학생의 식생활, 운동 및 비만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43 안병희, "자기교시훈련이 수학 학습부진아의 문장제 문제해결 능럭과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44 김지은, "0∼6세 아동 과체중 비만의 성인 대사증후군 위험에 대한 영향;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45 Corcoran, J., Pillai, V., Littell, J. H.,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정인숙․황선경․김동희․하주영(역).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파주: 수문사(Original work published in 2008), 2011

      46 김영혜, 이선미, 박남희, "비만관리프로그램이 초등학교 비만아동의 비만도, 신체조성, 체력, 지식 및 식행동에 미치는 효과", 아동간호학회지, 10(1). 14-21, 2004

      47 이진희, "초등학교 아동의 비만관리 프로그램이 비만지수, 자아존중감, 자기 효능 및 신체상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48 황윤신, "비만관리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비만아동의 비만도, 신체상 만족도,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49 이진숙, 한영숙,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아동에 미치는 효과–학교폭력 피해아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학회지, 9, 21-31, 2006

      50 김매선, "놀이중심의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ADHD경향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주의집중력,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51 이성자, "인지 행동적 집단 상담프로그램이 비만 여중생의 신체상, 자아존중감, 역기능적 태도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52 오상은, 이진희, "초등학교 비만아동을 위한 26주-비만관리프로그램이 비만 지수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 및 신체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9), 83-93,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