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남북한 사회복지 "체제" 비교 연구: 거시-구조적 수준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Social Welfare System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2561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탐색대상인 남북한 사회복지 `체제`(X)를 거시-구조적 수준에서 비교하여 양자의 사회복지 체제속성의 차이를 발견하는 것이다. 특히 본연구가 남북한 사회복지 체제 비교...

      본 연구의 목적은 탐색대상인 남북한 사회복지 `체제`(X)를 거시-구조적 수준에서 비교하여 양자의 사회복지 체제속성의 차이를 발견하는 것이다. 특히 본연구가 남북한 사회복지 체제 비교를 시도하는 가장 큰 이유는 기존의 남북한 사회복지 비교 연구의 경우 `제도 중심의 비교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서술순서는 북한(A)과 남한(B) 사회복지의 체제에 대한 논의를 남북한 각각의 ① 사회복지시스템(Y1), ② 사회복지 제도별 (복지)수준(Y2), ③ 사회복지 발달과정(Y3), ④ 사회복지 제도와 체제 전개과정(Y4)의 네 가지 스펙트럼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사회복지시스템의 경우 북한은 전형적인 사회주의체제의 형태로 국가책임이 강한 가운데에 2층 체제를 갖는 반면 남한은 자본주의 형태로 다소느슨한 국가책임 형태로 천착, 개인·가족 책임이 강조한 가운데에 3층 체제를 갖고 있다. 둘째, 사회복지 제도별 (복지)수준의 경우 북한은 ① 사회보훈, ② 사회보험, ③ 사회 복지서비스, ④ 사회부조 순으로 `통합운영`되는 반면 남한은 ① 사회보험, ② 사회보훈, ③ 사회복지서비스, ④ 사회부조 순으로 각각 `분리운영`되고 있다. 셋째, 사회복지 발달과정의 경우 북한은 ① 사회보훈, ② 사회복지서비스, ③ 사회부조의 경우, 다소 보편주의적인 경향을 나타냈지만 ④ 사회보험만은 노동자, 사무원을 우선 대상으로 하는 이른바 사회주의식 선별주의 형태이다. 반면 남한은 선별주의 형태에서 점차 보편주의 형태로 진화 발전하는 형태를 갖고 있었다. 넷째, 사회복지 제도와 체제 전개과정의 경우 북한의 복지혜택의 포괄성은 사회보험만이 차별적인 과정을 지녔다. 또 복지혜택의 수준과 종류는 질적 발달을 꾀한 흔적이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재분배성과 적절성은 외형적으로는 국가책임의 분배로 인해 일정부문 효율성이 존재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이와 상반된 결과도 존재하는 즉 `형식적 평등과 실질적 불평등`이 혼재하는 형태이다. 반면 남한의 복지혜택의 포괄성은 사회보험과 사회부조의 경우 선별주의에서 보편주의로 점차 확대되었다. 또 복지혜택의 수준과 종류는 다양한 급여를 바탕으로 질적인 발달을 꾀하고 있으며 사회적 안전망의 확충을 꾀하고 있다. 또한 재분배성은 느슨한 국가개입과 소득불평등으로 인해 일정부문 비효율성이 있지만 사회부조와 사회보험의 경우 다양한 형태의 재분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comparing social welfare systems(X)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 exploratory object, at macro-structural level and at finding the difference in social system traits. Especially, it is because an existing comparative study...

      This study aims at comparing social welfare systems(X)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 exploratory object, at macro-structural level and at finding the difference in social system traits. Especially, it is because an existing comparative study on social welfare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s mainly `a comparative study centered on institutions` that this study attempts comparison between social welfare systems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The statement order for the discussion on social welfare systems between North Korea(A) and South Korea(B) is centered on four spectrums such as ① social welfare system(Y1), ② social welfare institutional(welfare) level(Y2), ③ social welfare development progress(Y3), and ④ social welfare institution and system development progress. The results are first as for social welfare systems, North Korea, typical socialist nation, has two-layer systems with strong national responsibility, but South Korea, capitalist country, has three-layer systems with moderate national responsibility where responsibilities of root, individual and family are emphasized. Second, as for (welfare) levels classified with social welfare institutions, North Korea `manages in consolidation` ① social patriots & veterans affairs, ② social insurance, ③ social welfare services, and ④ social assistance in order and South Korea manages separately ① social insurance, ② social patriots & veterans ③ social welfare services, and ④ social assistance in order. Third, as for social welfare development progress, North Korea showed somewhat universal tendency in ① social patriots & veterans affairs, ② social welfare services, and ③ social assistance, but showed ④ socialistic separatism, laying an emphasis on public officers and laborers, in only social insurance. South Korea has a tendency of evolution from selective type into universal type. Fourth, as for social welfare institution and system development progress, the inclusiveness of North Korean welfare beneficiary has a discriminative progress in social insurance. North Korea didn`t leave a trace of qualitative development in the level and kind of welfare beneficiary. In addition, as for redistribution and suitability, at glance, North Korea has an effectiveness in some areas due to distribution of national responsibility, but has the contrary results, too. That is, `formal equality and real equality are in existence together`. On the contrary, as for inclusiveness of social beneficiary, South Korea expands social insurance and social assistance from separatism to universalism. As for the level and kind of welfare beneficiary, South Korea attempts qualitative development on the basis of various allowance as well as expansion of social safety networks, As for redistribution, North Korea has an ineffectiveness in some areas due to moderate intervention of the nation and inequality of incomes, but accomplishes various types of redistribution for social assistance and social insura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진오, "해외자료로 본 북한체제의 형성과 발전Ⅱ" 선인 2006

      2 조한범, "해외자료로 본 북한체제의 형성과 발전Ⅰ" 선인 2006

      3 좋은벗들, "오늘의 북한,북한의 내일" 정토출판 2006

      4 민족21, "실리 사회주의 현장을 가다" 선인 2006

      5 김태성, "사회보장론" 청목출판사 2008

      6 전우택, "사람의 통일,땅의 통일" 연세대학교출판부 2007

      7 곽진오, "북한체제 형성과 발전과정 문헌자료:중국‧미국‧일본" 선인 2006

      8 통일연구원, "북한체제 형성과 발전과정 구술자료:일본‧독일" 선인 2006

      9 김영윤, "북한이 변하고 있다" 통일연구원 2007

      10 김연철, "북한의 시장‧기업 개혁과 노동인센티브제도" 한국노동연구원 2004

      1 곽진오, "해외자료로 본 북한체제의 형성과 발전Ⅱ" 선인 2006

      2 조한범, "해외자료로 본 북한체제의 형성과 발전Ⅰ" 선인 2006

      3 좋은벗들, "오늘의 북한,북한의 내일" 정토출판 2006

      4 민족21, "실리 사회주의 현장을 가다" 선인 2006

      5 김태성, "사회보장론" 청목출판사 2008

      6 전우택, "사람의 통일,땅의 통일" 연세대학교출판부 2007

      7 곽진오, "북한체제 형성과 발전과정 문헌자료:중국‧미국‧일본" 선인 2006

      8 통일연구원, "북한체제 형성과 발전과정 구술자료:일본‧독일" 선인 2006

      9 김영윤, "북한이 변하고 있다" 통일연구원 2007

      10 김연철, "북한의 시장‧기업 개혁과 노동인센티브제도" 한국노동연구원 2004

      11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 "북한의 사회문화" 한울아카데미 2006

      12 이승훈, "북한의 사회경제적 변화:비공식부문의 대두와 계층구조의 변화"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13 구갑우, "북한의 노동" 한울아카데미 2006

      14 이철수, "북한사회복지의 변화와 전망:탈사회주의의 전주곡" 아주남북한보건의료연구소 2004

      15 이철수, "북한사회복지법제:알파와 오메가" 높이깊이 2005

      16 이철수, "북한사회복지:반복지의 북한" 청목 2003

      17 이철수, "북한사회복지: 체제‧제도‧동향 in: 북한의 사회" 경인문화사 207-226, 2007

      18 이철수, "북한보건의료법제:원문과 해설" 아주남북한보건의료연구소 2006

      19 윤대규, "북한경제개혁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한울아카데미 2006

      20 양운철, "북한 경제체제 이행의 비교연구:계획에서 시장으로" 한울아카데미 2005

      21 찰스 암스트롱, "북조선탄생" 서해문집 2006

      22 고유환, "로동신문을 통해 본 북한 변화" 선인 2006

      23 민족21, "래일을 위한 오늘에 살지요" 선인 2006

      24 통일연구원, "독일지역 북한기밀 문서집" 선인 2006

      25 사회과학출판사, "경제사전Ⅰ‧Ⅱ" 사회과학출판사 경제연구소 1985

      26 이철수, "개성공업지구의 사회복지체제에 대한 연구 - 기존 경제특구 복지조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통일연구원 14 (14): 211-244, 2005

      27 정창현, "CEO of DPRK 김정일" 중앙books 2007

      28 내일신문, "2009년 4월 7일자.통계청"

      29 이철수, "2000년대 북한사회복지동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32) : 46-57, 2007

      30 이 석, "1994-2000년 북한기근:발생,충격 그리고 특징" 통일연구원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2 1.1 1.84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