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온라인 매체 활용 한국어교육 교수 ·학습 연구 동향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6805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2017. 8. 졸업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900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n Analysis on Research Trends in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Language Using Online Media

      • 형태사항

        vi, 75 p. : 삽화.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영규
        참고문헌: p. 55-61

      • 소장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era of ever-changing technology, the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Language using online media. Over 160 studies on the subject have been analyzed by year, type of online media, and research methodology, to deduct apparent general trends in related studies. Based on the analyzed data, suggestions were also made for future follow-up studies regarding educating Korean language with online media.
      The study consists of five chapters, as follows: Chapter 1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using online media for Korean education research, and states the purpose of the study. Chapter 2 reviews theoretical backgrounds and past literature to define 'online media'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Chapter 3 presents the analysis tools used to study trends of related studies by year, type of online media used, and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published studies and dissertations that took place from 1999 to May, 2017. Chapter 4 dissects the three-pronged trend analysis results and reviews values these studies carry. And finally, Chapter 5 summarizes the analysis results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future follow-up studies.
      번역하기

      In this era of ever-changing technology, the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Language using online media. Over 160 studies on the subject have been analyzed by year, type of online media, and research methodology,...

      In this era of ever-changing technology, the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Language using online media. Over 160 studies on the subject have been analyzed by year, type of online media, and research methodology, to deduct apparent general trends in related studies. Based on the analyzed data, suggestions were also made for future follow-up studies regarding educating Korean language with online media.
      The study consists of five chapters, as follows: Chapter 1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using online media for Korean education research, and states the purpose of the study. Chapter 2 reviews theoretical backgrounds and past literature to define 'online media' with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Chapter 3 presents the analysis tools used to study trends of related studies by year, type of online media used, and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published studies and dissertations that took place from 1999 to May, 2017. Chapter 4 dissects the three-pronged trend analysis results and reviews values these studies carry. And finally, Chapter 5 summarizes the analysis results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future follow-up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온라인 매체 활용 한국어교육 교수 및 학습에 관련된 연구들, 총 161편들을 대상으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관련 연구들을 연도별로 나누어 활용된 온라인 매체의 유형들을 자세하게 들여다보고, 이와 같은 연구가 어떤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진행되었는지 분석하며 전반적인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공하여 추후 온라인 매체 활용 한국어교육에 대한 연구 및 교수 방안을 고려할 시에 참고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내용과 그 흐름은 아래와 같다. 1장 서론에서는 온라인 매체 활용 한국어교육 연구가 내재하고 있는 시대의 중요성 연구 목적을 밝히고,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고찰하며‘온라인 매체’와 한국어교육에 대한 개념들을 정리해 본다. 3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온라인 매체 활용 한국어교육 연구의 동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1999년부터 2017 5월까지 발행된 학술지 및 학위 논문 전체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연도별, 온라인 매체 활용별 및 연구방법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어서 4장에서는 분석 자료를 고찰하며 연구들이 제시하는 바를 살펴본다. 연구의 마무리로 5장에서 분석 결과를 요약하고 추후의 온라인 매체 활용 한국어교육 연구들에 대한 후속연구를 위하 제언을 제공해 본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온라인 매체 활용 한국어교육 교수 및 학습에 관련된 연구들, 총 161편들을 대상으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관련 연구들을 연도별로 나누어 활용된 온라인 매...

      본 논문의 목적은 온라인 매체 활용 한국어교육 교수 및 학습에 관련된 연구들, 총 161편들을 대상으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관련 연구들을 연도별로 나누어 활용된 온라인 매체의 유형들을 자세하게 들여다보고, 이와 같은 연구가 어떤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진행되었는지 분석하며 전반적인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공하여 추후 온라인 매체 활용 한국어교육에 대한 연구 및 교수 방안을 고려할 시에 참고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내용과 그 흐름은 아래와 같다. 1장 서론에서는 온라인 매체 활용 한국어교육 연구가 내재하고 있는 시대의 중요성 연구 목적을 밝히고,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고찰하며‘온라인 매체’와 한국어교육에 대한 개념들을 정리해 본다. 3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온라인 매체 활용 한국어교육 연구의 동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1999년부터 2017 5월까지 발행된 학술지 및 학위 논문 전체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연도별, 온라인 매체 활용별 및 연구방법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어서 4장에서는 분석 자료를 고찰하며 연구들이 제시하는 바를 살펴본다. 연구의 마무리로 5장에서 분석 결과를 요약하고 추후의 온라인 매체 활용 한국어교육 연구들에 대한 후속연구를 위하 제언을 제공해 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논문의 구성 3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고찰 5
      • A. 이론적 배경 5
      • Ⅰ. 서론 1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B. 논문의 구성 3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고찰 5
      • A. 이론적 배경 5
      • 1. 온라인 매체에 대한 개념 6
      • 2. 수업도구로서의 온라인 매체와 언어교육 6
      • B. 선행 연구 고찰 18
      • 1. 한국어교육 연구의 동향 18
      • C. 연구 문제 21
      • Ⅲ. 연구 방법 22
      • A. 연구 절차 22
      • B. 연구 대상 23
      • C. 분석 도구 24
      • 1. 연도별 연구 현황 24
      • 2. 온라인 매체 분석틀 24
      • 3. 연구 내 온라인 매체 활용 연구방법 분석틀 28
      • Ⅳ. 연구 분석 및 결과 31
      • A. 연구별 연구 현황 분석 31
      • B. 한국어교육 연구 내 온라인 매체 분석 34
      • 1. 온라인 매체 제공 학습환경 동향 34
      • 2. 온라인 매체 활용 학습유형 동향 35
      • 3. 온라인 매체의 역할 유형 동향 37
      • 4. 학습도구로서의 온라인 매체 유형의 활용 빈도 39
      • 5. 온라인 매체 자원의 유형 동향 40
      • C. 온라인 매체 활용 연구방법 분석 42
      • 1. 연구 대상 42
      • 2. 연구 방법 44
      • Ⅴ. 결론 47
      • A. 연구 결과 요약 47
      • B. 후속 연구 제언 48
      • 1. 질적 연구방법의 다양화 49
      • 2. 양적 연구 확대 50
      • 3. 온라인 매체 활용 다각화 51
      • 4. 자원의 유형 양분화 52
      • 참고문헌 55
      • 부록 1. 온라인 매체 활용 한국어교육 연구 자료 모음 62
      • ABSTRACT 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