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고등학교 체육과 과정중심 평가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physical education process-based assessment in middle and high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832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d the process and experience through the case of process-based assessment in middle an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o devise improvement measures so that process-based assessment can be activated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Method: After analyzing the physical education performance assessment plans of 158 middle and 97 high schools in J province by using the process-based assessment frame of reference,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various materials and interviews used in the process-based assessment for 4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ith their expertise and 4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 a total 8 peopl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Results: As an improvement measure for the physical education process-based assessment, first, teachers should utilize various assessment methods and tools through understanding process-based assessment based on teachers' efforts and expertise. Second, based on the learner-centered class, it needs a new change in classes such as development of class operation tools for continuous assessment in the overall area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feedback changed for student growth. Third, it needs balanced distribution efforts about the process assessment that can rise the legitimacy of the result by fairness in process and about the balanced assessment and its area and contents in the result assessment. Fourth, through operating consistent and integrated class of class-assessment-record, it should be made an effort that process-based assessment can be settled as an assessment with educational significance.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helpful to seek actual plans in school fields which practicing and agonizing physical education process-based assessment.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d the process and experience through the case of process-based assessment in middle an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o devise improvement measures so that process-based assessment can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d the process and experience through the case of process-based assessment in middle an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o devise improvement measures so that process-based assessment can be activated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Method: After analyzing the physical education performance assessment plans of 158 middle and 97 high schools in J province by using the process-based assessment frame of reference,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various materials and interviews used in the process-based assessment for 4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ith their expertise and 4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 a total 8 peopl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Results: As an improvement measure for the physical education process-based assessment, first, teachers should utilize various assessment methods and tools through understanding process-based assessment based on teachers' efforts and expertise. Second, based on the learner-centered class, it needs a new change in classes such as development of class operation tools for continuous assessment in the overall area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feedback changed for student growth. Third, it needs balanced distribution efforts about the process assessment that can rise the legitimacy of the result by fairness in process and about the balanced assessment and its area and contents in the result assessment. Fourth, through operating consistent and integrated class of class-assessment-record, it should be made an effort that process-based assessment can be settled as an assessment with educational significance.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helpful to seek actual plans in school fields which practicing and agonizing physical education process-based assess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시 과정중심 평가 사례를 통해 그 과정과 경험을 체계화하고 과정중심 평가가체육수업에 활성화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강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과정중심 평가 준거 틀을활용하여 J도 지역 중·고등학교 중 158개 중학교와 97개 고등학교 체육과 수행평가 계획을 분석한 뒤 연구 참여에 동의해준 전문성을 갖춘 중·고등학교 체육교사 4인, 학생 4인, 총 8인을 대상으로 과정중심 평가 시 사용했던 다양한 자료와 면담 내용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체육과 과정중심 평가를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교사는 교사의 노력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과정중심 평가의 이해를 통한 다양한 수행평가 방법과 도구를 활용해야 한다. 둘째, 학습자 중심 수업을 기반으로 전체적인 영역의 지속적인 평가를 위한 수업 운영 도구의 개발, 학생 성장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및 피드백 변화 등 새로운 수업의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과정의 공정함으로결과의 당위성을 높여줄 수 있는 과정평가와 결과평가의 균형 잡힌 평가와 평가 영역과 내용에 대한 균형 있는 분배의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수업-평가-기록의 일치성 있는 통합적인 수업 운영을 통해 과정중심 평가가 교육적인 의미를 가진 평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가 체육과 과정중심평가를 실천하고 고민하는 학교현장에 실제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작음이나마 도움이 되길 기대해본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시 과정중심 평가 사례를 통해 그 과정과 경험을 체계화하고 과정중심 평가가체육수업에 활성화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강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

      이 연구는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시 과정중심 평가 사례를 통해 그 과정과 경험을 체계화하고 과정중심 평가가체육수업에 활성화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강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과정중심 평가 준거 틀을활용하여 J도 지역 중·고등학교 중 158개 중학교와 97개 고등학교 체육과 수행평가 계획을 분석한 뒤 연구 참여에 동의해준 전문성을 갖춘 중·고등학교 체육교사 4인, 학생 4인, 총 8인을 대상으로 과정중심 평가 시 사용했던 다양한 자료와 면담 내용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체육과 과정중심 평가를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교사는 교사의 노력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과정중심 평가의 이해를 통한 다양한 수행평가 방법과 도구를 활용해야 한다. 둘째, 학습자 중심 수업을 기반으로 전체적인 영역의 지속적인 평가를 위한 수업 운영 도구의 개발, 학생 성장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및 피드백 변화 등 새로운 수업의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과정의 공정함으로결과의 당위성을 높여줄 수 있는 과정평가와 결과평가의 균형 잡힌 평가와 평가 영역과 내용에 대한 균형 있는 분배의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수업-평가-기록의 일치성 있는 통합적인 수업 운영을 통해 과정중심 평가가 교육적인 의미를 가진 평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가 체육과 과정중심평가를 실천하고 고민하는 학교현장에 실제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작음이나마 도움이 되길 기대해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운, "형성평가, 수행평가와의 비교를 통한 과정중심평가의 이해 및 적용사례 동향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2 박지흠, "현행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체육과 평가 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3 정현철, "학습자 중심의 체육 교과 선택형 수행평가 사례와 교육적 의미 탐색" 교육연구소 39 (39): 115-136, 2018

      4 김상목, "초등학교 체육과 과정중심 평가 개발 방안: 네트형 경쟁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체육교육학회 22 (22): 125-140, 2017

      5 서강식, "초등 도덕과 과정 중심 평가의 이론과 실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5) : 35-55, 2019

      6 오수학, "체육과 과정중심평가의 이해와 활용" 학교체육연구소 8 (8): 121-163, 2020

      7 정현철, "체육 교과 수행평가 100% 반영 정책에 따른 학생 평가 쟁점 고찰" 한국교육평가학회 31 (31): 463-482, 2018

      8 김대진, "스포츠교육학총론" 교육과학사 2020

      9 안효일, "수행평가의 실태와 문제점 탐색을 통한 근본적 대안 모색"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5 (25): 307-320, 2013

      10 황승욱, "수행평가를 적용한 체육수업 연구에 대한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1 이지운, "형성평가, 수행평가와의 비교를 통한 과정중심평가의 이해 및 적용사례 동향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2 박지흠, "현행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체육과 평가 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3 정현철, "학습자 중심의 체육 교과 선택형 수행평가 사례와 교육적 의미 탐색" 교육연구소 39 (39): 115-136, 2018

      4 김상목, "초등학교 체육과 과정중심 평가 개발 방안: 네트형 경쟁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체육교육학회 22 (22): 125-140, 2017

      5 서강식, "초등 도덕과 과정 중심 평가의 이론과 실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5) : 35-55, 2019

      6 오수학, "체육과 과정중심평가의 이해와 활용" 학교체육연구소 8 (8): 121-163, 2020

      7 정현철, "체육 교과 수행평가 100% 반영 정책에 따른 학생 평가 쟁점 고찰" 한국교육평가학회 31 (31): 463-482, 2018

      8 김대진, "스포츠교육학총론" 교육과학사 2020

      9 안효일, "수행평가의 실태와 문제점 탐색을 통한 근본적 대안 모색"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5 (25): 307-320, 2013

      10 황승욱, "수행평가를 적용한 체육수업 연구에 대한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11 고현, "교사별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와 지원방안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137-1164, 2019

      12 신보미, "교사 학습 공동체의 과정중심 평가도구 검토 사례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73-98, 2018

      13 박정,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수업과 학생 자기평가 의미 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32 (32): 421-440, 2019

      14 유정애, "과정중심 평가는 새로운 평가인가?" 6 (6): 3-4, 2019

      15 교육부,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 어떻게 할까요?: 중등" 2017

      16 신혜진, "과정 중심 평가 활용의 정책적 분석 -서울특별시 소재 중학교 교사의 수행평가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 (20): 135-162, 2017

      17 Marilyn M. B.,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McGraw-Hill College 2006

      18 경기도교육청, "2016 교육과정-수업-평가의 행복한만남" 경기도교육청 2016

      19 허은영, "2015 교육과정에 따른 교육환경 변화와현장의 대응(과정중심평가와 서울시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19-37, 2019

      20 교육부,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8 1.78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1 1.8 1.668 0.5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