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 예비 교사의 피드백 발화에 대한 분석적 고찰 = A Study on the Feedback Speech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837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피드백 발화는 학습 동기를 부여하며, 학습자가 스스로 의미를 구성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므로 수업대화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드백 화법에 대한 연구는 구체적이고 실재적인 측면이 부족하여, 예비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였다. 본고에서는 피드백 발화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존의 피드백 발화에 대한 연구들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피드백 화법을 새롭게 개념화하고, 유형을 체계화하였다. 피드백 발화의 역할은 크게 ‘관계 형성’과 ‘학습 촉진’으로 규정할 수 있으며, 관계 형성은 동기부여와 상호작용 촉진, 학습 촉진은 수행 점검과 의미 구성·문제해결 촉진의 구체적인 기능을 가진다. 또한 이들 기능은 12개의 하위 발화 유형들을 가지는 것으로 체계화될 수 있다. 피드백 화법의 체계화된 유형 분석틀을 바탕으로 초등 예비 교사들의 피드백 발화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예비 교사들은 수용하기의 발화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학습 촉진보다는 관계 형성을 위한 피드백 발화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드백 발화의 부재(不在), 닫힌 피드백(closed feedback), 미숙한 대응과 같은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피드백 발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피드백발화의 방법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재적인 유형에 대한 안내와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다양한 상황에서 피드백 발화를 연습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번역하기

      피드백 발화는 학습 동기를 부여하며, 학습자가 스스로 의미를 구성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므로 수업대화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드백 ...

      피드백 발화는 학습 동기를 부여하며, 학습자가 스스로 의미를 구성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므로 수업대화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드백 화법에 대한 연구는 구체적이고 실재적인 측면이 부족하여, 예비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였다. 본고에서는 피드백 발화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존의 피드백 발화에 대한 연구들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피드백 화법을 새롭게 개념화하고, 유형을 체계화하였다. 피드백 발화의 역할은 크게 ‘관계 형성’과 ‘학습 촉진’으로 규정할 수 있으며, 관계 형성은 동기부여와 상호작용 촉진, 학습 촉진은 수행 점검과 의미 구성·문제해결 촉진의 구체적인 기능을 가진다. 또한 이들 기능은 12개의 하위 발화 유형들을 가지는 것으로 체계화될 수 있다. 피드백 화법의 체계화된 유형 분석틀을 바탕으로 초등 예비 교사들의 피드백 발화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예비 교사들은 수용하기의 발화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학습 촉진보다는 관계 형성을 위한 피드백 발화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드백 발화의 부재(不在), 닫힌 피드백(closed feedback), 미숙한 대응과 같은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피드백 발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피드백발화의 방법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재적인 유형에 대한 안내와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다양한 상황에서 피드백 발화를 연습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eedback speech motivates students to learn, and helps them construct meanings and solve problems on their own, thus it should be handled importantly in the instructional conversation. Nevertheless, the study for a feedback speech lacked in aspects of concreteness and substantiality, and thereby did not give teachers practical help. This study realizes the importance of a feedback speech, goes over existing studies about feedback speech, and, based on the results, conceptualizes a feedback speech in a new way and organizes the category. The role of a feedback speech can be defined as “formation of relationship” and “promotion of learning”. “Formation of relationship” has functions like motivation and promotion of interaction, and “promotion of learning” has functions like confirmation of performances, construction of meaning, and promotion of problem solving. In addition, these functions can be organized into having fourteen sub types of speech. Based on the organized analysis frame of a feedback speech, this study analyzed the feedback speech of the prospective teachers. The results showed aspects such as an absence of feedback speech, a closed feedback, a premature response. This study concludes with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a feedback speech. Second, the guide and education about concrete and practical types of feedback speech methods should be made.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to practice a feedback speech in various situations.
      번역하기

      The feedback speech motivates students to learn, and helps them construct meanings and solve problems on their own, thus it should be handled importantly in the instructional conversation. Nevertheless, the study for a feedback speech lacked in aspect...

      The feedback speech motivates students to learn, and helps them construct meanings and solve problems on their own, thus it should be handled importantly in the instructional conversation. Nevertheless, the study for a feedback speech lacked in aspects of concreteness and substantiality, and thereby did not give teachers practical help. This study realizes the importance of a feedback speech, goes over existing studies about feedback speech, and, based on the results, conceptualizes a feedback speech in a new way and organizes the category. The role of a feedback speech can be defined as “formation of relationship” and “promotion of learning”. “Formation of relationship” has functions like motivation and promotion of interaction, and “promotion of learning” has functions like confirmation of performances, construction of meaning, and promotion of problem solving. In addition, these functions can be organized into having fourteen sub types of speech. Based on the organized analysis frame of a feedback speech, this study analyzed the feedback speech of the prospective teachers. The results showed aspects such as an absence of feedback speech, a closed feedback, a premature response. This study concludes with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a feedback speech. Second, the guide and education about concrete and practical types of feedback speech methods should be made.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to practice a feedback speech in various situa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병곤, "초등학교 예비 교사의 교수 화법 분석 -교대 3학년생의 모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3) : 367-404, 2008

      2 권순희, "초등학교 국어과 수업에 나타난 교사의 질문, 피드백 양상과 개선 방안" 한국어교육학회 (118) : 65-100, 2005

      3 박태호, "좋은 국어 수업 전개를 위한 수업대화 분석 요소: 수업대화 전략과 수준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어문교육연구소 13 : 71-93, 2004

      4 박태호, "오 교사의 말하기 · 듣기" 한국국어교육학회 66 : 35-65, 2003

      5 이창덕, "수업을 살리는 교사화법" 즐거운학교 2010

      6 박용익, "수업대화의 분석과 말하기 교육" 역락 2003

      7 이창덕, "수업대화 분석 연구의 필요성과 그 과제, 국어교육학의 새로운 지평" 한국문화사 2002

      8 이수진, "수업 평가를 위한 교수대화 분석 방법 연구" 국어교과교육학회 7 : 243-287, 2004

      9 박윤희, "수업 상황 요인에 따른 국어교사의 피드백 화법 양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 변정민, "수업 대화의 상호교섭적 전략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77) : 171-202, 2007

      1 민병곤, "초등학교 예비 교사의 교수 화법 분석 -교대 3학년생의 모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3) : 367-404, 2008

      2 권순희, "초등학교 국어과 수업에 나타난 교사의 질문, 피드백 양상과 개선 방안" 한국어교육학회 (118) : 65-100, 2005

      3 박태호, "좋은 국어 수업 전개를 위한 수업대화 분석 요소: 수업대화 전략과 수준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어문교육연구소 13 : 71-93, 2004

      4 박태호, "오 교사의 말하기 · 듣기" 한국국어교육학회 66 : 35-65, 2003

      5 이창덕, "수업을 살리는 교사화법" 즐거운학교 2010

      6 박용익, "수업대화의 분석과 말하기 교육" 역락 2003

      7 이창덕, "수업대화 분석 연구의 필요성과 그 과제, 국어교육학의 새로운 지평" 한국문화사 2002

      8 이수진, "수업 평가를 위한 교수대화 분석 방법 연구" 국어교과교육학회 7 : 243-287, 2004

      9 박윤희, "수업 상황 요인에 따른 국어교사의 피드백 화법 양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 변정민, "수업 대화의 상호교섭적 전략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77) : 171-202, 2007

      11 崔眞姬, "수업 談話 分析을 통한 교사와 학생 發話의 特性에 관한 探索 구현" 서울대학교 1997

      12 박태호, "김교사의 읽기 교수화법 분석 연구: 수업대화 구조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3

      13 이수진, "국어교육과 수업대화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5) : 115-132, 2003

      14 최영인, "국어과 예비 교사들의 ‘시범 보이기’에서 나타나는 문제 양상" 국어교육학회 (41) : 689-715, 2011

      15 정민주, "국어과 예비 교사들의 수업 목표 제시 양상에 관한 고찰" 국어교육학회 (42) : 593-626, 2011

      16 이현진, "국어과 수업 대화 분석을 통한 교수 화법 양상 연구" 국어교과교육학회 8 : 189-229, 2004

      17 김상희, "국어과 수업 담화 분석을 통한 교수 전략 연구 : “말하기/듣기”, “언어” 영역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18 이정숙, "국어 수업대화의 재개념화 - ‘대화적 관계’ 형성을 중심으로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5 (5): 281-312, 2011

      19 김승현, "국어 수업 도입부의 소통 전략 연구" 국어교육연구소 (25) : 163-195, 2010

      20 박재현, "국어 교수 화법의 유형적 특성에 관한 분석적 고찰 - 국어교사의 평가/피드백 발화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86) : 125-156, 2010

      21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학용어사전" 학지사 2000

      22 임칠성, "교사화법 교육" 집문당 2004

      23 이주행, "교사 화법의 이론과 실제" 역락출판사 2003

      24 이창덕, "교사 화법 연구와 교육의 필요성과 그 과제" 한국화법학회 5 : 9-48, 2003

      25 이창덕, "교사 질문발화와 학생 반응에 대한 교사 피드백 발화 연구" 15 : 177-216, 2008

      26 김재봉, "‘교사 질문-학생 대답-평가’ 대화연속체에서 교사 질문 전략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5) : 37-74, 2004

      27 Wells, G., "Dialogic Inquiry: Towards a Sociocultural Practice and Theory of Educ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peech Research -> Journal of Speech Communi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91 1.348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