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V 토론 담화의 의사소통 전략에 대한 고찰-체면위협행위를 중심으로- = A Study of Communication Strategy from TV Debate -Based on Face Threatening A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837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토론의 대화 구조를 살펴보고 이에 발생하는 대화 전략을 바탕으로 체면위협행위가 발생하는 상황과 맥락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TV 토론의 대화 구조를 중심으로 담화 논증 과정에 나타나는 대화 현상을 바탕으로 한 특징별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TV 토론은 보통 생방송으로서 실시간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화를 하는 데 있어서 특정한 상황적 맥락과 배경에 의한 영향을 받을 것이며, 이는 대화 구조를 분석하는 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이러한 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인 ‘말차례’와 ‘화제’를 중심으로, 토론에 나타나는 대화 구조와 상호작용 과정 시 발생하는 양상을 유형별로 분류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토론 담화에서 나타나는 체면위협행위의 정도에 대해 상황과 맥락을 중심으로 제시해 보겠다. 본고에서는 실제 토론 담화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말차례 교체’에 의해 토론자들의 발언권이 조정되고 체면위협행위가 나타나는 상관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상대방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화제’의 발생 시점, 연속성 여부, 변화, 일탈의 시작 단계가 대화 과정에서 의도성을 갖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말차례 교체’와 ‘화제 변화’ 각각의 체면위협행위의 상관성에 따라 대화 내 나타나는 통제 기제를 정리하면 ‘① 화제 간섭하기, ② 솔직하고 명확히 말하도록 강요하기, ③ 입장 정리하기, ④ 말차례를 통제하거나 뺏어가기’와 같이 네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 ‘① 화제 간섭하기’와 ‘④ 말차례를 통제하거나 뺏어가기’는 대화를 통제하는 사람의 권력 관계를 분명히 드러내기 때문에 이를 주도적으로 실행하는 참여자가 대화를 통제하는 점유율이 더 높게 차지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하지만 ‘② 솔직하고 명확히 말하도록 강요하기’, ‘③ 입장 정리하기’는 자신의 의지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다른 사람의 의도에 따라 정리되는지에 따라 체면위협행위의 정도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토론의 대화 구조를 살펴보고 이에 발생하는 대화 전략을 바탕으로 체면위협행위가 발생하는 상황과 맥락을 알아보는 데 목...

      이 연구는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토론의 대화 구조를 살펴보고 이에 발생하는 대화 전략을 바탕으로 체면위협행위가 발생하는 상황과 맥락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TV 토론의 대화 구조를 중심으로 담화 논증 과정에 나타나는 대화 현상을 바탕으로 한 특징별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TV 토론은 보통 생방송으로서 실시간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화를 하는 데 있어서 특정한 상황적 맥락과 배경에 의한 영향을 받을 것이며, 이는 대화 구조를 분석하는 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이러한 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인 ‘말차례’와 ‘화제’를 중심으로, 토론에 나타나는 대화 구조와 상호작용 과정 시 발생하는 양상을 유형별로 분류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토론 담화에서 나타나는 체면위협행위의 정도에 대해 상황과 맥락을 중심으로 제시해 보겠다. 본고에서는 실제 토론 담화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말차례 교체’에 의해 토론자들의 발언권이 조정되고 체면위협행위가 나타나는 상관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상대방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화제’의 발생 시점, 연속성 여부, 변화, 일탈의 시작 단계가 대화 과정에서 의도성을 갖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말차례 교체’와 ‘화제 변화’ 각각의 체면위협행위의 상관성에 따라 대화 내 나타나는 통제 기제를 정리하면 ‘① 화제 간섭하기, ② 솔직하고 명확히 말하도록 강요하기, ③ 입장 정리하기, ④ 말차례를 통제하거나 뺏어가기’와 같이 네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 ‘① 화제 간섭하기’와 ‘④ 말차례를 통제하거나 뺏어가기’는 대화를 통제하는 사람의 권력 관계를 분명히 드러내기 때문에 이를 주도적으로 실행하는 참여자가 대화를 통제하는 점유율이 더 높게 차지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하지만 ‘② 솔직하고 명확히 말하도록 강요하기’, ‘③ 입장 정리하기’는 자신의 의지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다른 사람의 의도에 따라 정리되는지에 따라 체면위협행위의 정도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a research is based on a communication and see the structure of discussion which consists of a social interaction. And based on an occurrence of communication strategy, a research will investigate the context and what situations Face Threatening Acts(FTA) would bring. From the communication structure of TV debate, a research would focus on each feature of strategies that appears from the process of discourse demonstration. Since TV debate is often composed of a live broadcast, communication would be affected by particular contexts and backgrounds. This influence needs to be considered to analyze the structure of communication. Focusing on factors of effects, ‘turn-taking’ and ‘topic’, categorize aspects that occur from the process of social interaction and structure of communication from the discussion. These aspects, emphasized on situations and contexts, would suggest the degree of FTA that happens from a debate discourse. This research has analyzed the correlationship, which is occurred from FTA, and adjustment of a right to speak because of turn-taking from an actual data of communication discourse. And verified that a time of occurance of the topic, continuity, transition, and the first step of deviation to others are intended from the communication process. To arrange the control mechanism of ‘change of turn-taking’ and ‘change of topic’ from each correlationship of FTA, ① controlling or taking away of a turn-taking ② impose to speak clearly and frankly ③ organize a position ④ interfere a topic. As ‘① controlling or taking away of a turn-taking’ and ‘④ interfere a topic’ clearly show a relation of power of a person who control the communication, a share of a participant who control the communication is highly taking a possession. But ‘② impose to speak clearly and frankly’ and ‘③ organize a position’ affect the degree of FTA from how it is organized by a person’ s will or oth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a research is based on a communication and see the structure of discussion which consists of a social interaction. And based on an occurrence of communication strategy, a research will investigate the context and what situations Face Th...

      The purpose of a research is based on a communication and see the structure of discussion which consists of a social interaction. And based on an occurrence of communication strategy, a research will investigate the context and what situations Face Threatening Acts(FTA) would bring. From the communication structure of TV debate, a research would focus on each feature of strategies that appears from the process of discourse demonstration. Since TV debate is often composed of a live broadcast, communication would be affected by particular contexts and backgrounds. This influence needs to be considered to analyze the structure of communication. Focusing on factors of effects, ‘turn-taking’ and ‘topic’, categorize aspects that occur from the process of social interaction and structure of communication from the discussion. These aspects, emphasized on situations and contexts, would suggest the degree of FTA that happens from a debate discourse. This research has analyzed the correlationship, which is occurred from FTA, and adjustment of a right to speak because of turn-taking from an actual data of communication discourse. And verified that a time of occurance of the topic, continuity, transition, and the first step of deviation to others are intended from the communication process. To arrange the control mechanism of ‘change of turn-taking’ and ‘change of topic’ from each correlationship of FTA, ① controlling or taking away of a turn-taking ② impose to speak clearly and frankly ③ organize a position ④ interfere a topic. As ‘① controlling or taking away of a turn-taking’ and ‘④ interfere a topic’ clearly show a relation of power of a person who control the communication, a share of a participant who control the communication is highly taking a possession. But ‘② impose to speak clearly and frankly’ and ‘③ organize a position’ affect the degree of FTA from how it is organized by a person’ s will or oth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현, "한국어 대화 화제와 말차례 체계" 집문당 2008

      2 김수정, "토론 담화에 나타난 토론 양상 및 표지어 분석 연구 -제1회 경북 학생 3담꾼(群) 토론대회 군(郡)부 결승전 자료를 바탕으로-"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2) : 29-54, 2013

      3 박용익, "텔레비전 정치토론회의 대화분석" 한국텍스트언어학회 4 : 139-166, 1997

      4 김동윤, "첫눈에 반한 커뮤니케이션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5 김병서, "자아표현과 인상관리" 경문사 1992

      6 김지홍, "언어와 권력" 도서출판 경진 2011

      7 이은희, "시사 토론에서의 말차례 뺏기 발화의 양상 -토론자 발화 의도를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32) : 155-180, 2011

      8 육영주, "생방송 TV 토론에서의 반박 전략"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9 兪東燁, "대화 참여자의 대화 전략에 관한 연구 : 상호작용을 위한 대화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10 J. Renkema, "담화연구의 기초" 한국문화사 1993

      1 박성현, "한국어 대화 화제와 말차례 체계" 집문당 2008

      2 김수정, "토론 담화에 나타난 토론 양상 및 표지어 분석 연구 -제1회 경북 학생 3담꾼(群) 토론대회 군(郡)부 결승전 자료를 바탕으로-"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2) : 29-54, 2013

      3 박용익, "텔레비전 정치토론회의 대화분석" 한국텍스트언어학회 4 : 139-166, 1997

      4 김동윤, "첫눈에 반한 커뮤니케이션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5 김병서, "자아표현과 인상관리" 경문사 1992

      6 김지홍, "언어와 권력" 도서출판 경진 2011

      7 이은희, "시사 토론에서의 말차례 뺏기 발화의 양상 -토론자 발화 의도를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32) : 155-180, 2011

      8 육영주, "생방송 TV 토론에서의 반박 전략"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9 兪東燁, "대화 참여자의 대화 전략에 관한 연구 : 상호작용을 위한 대화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10 J. Renkema, "담화연구의 기초" 한국문화사 1993

      11 박용한, "과제 중심적 대화에서의 대화 전략 운영에 관한 연구 : TV 생방송 토론 대화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12 이금진, "TV 토론의 대화 책략 연구 : 토론자 간 공격과 방어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3 임규홍, "TV 토론에서 발언권 주고 빼앗기의 담화 분석" 담화․인지언어학회 8 (8): 181-203, 2001

      14 민병곤, "TV 토론 담화의 논증 분석-화용,대화론적 접근법을 중심으로" 한국텍스트언어학회 11 : 73-109, 2001

      15 서영진, "TV 토론 담화 분석을 통한 논증 도식 유형화" 국어교육학회 (43) : 285-321, 2012

      16 Brown, "Polite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peech Research -> Journal of Speech Communi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91 1.348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