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반성적 말하기 지도 방법연구-ALACT 교수 모형 적용을 중심으로- = Speaking of Reflective Teaching Methods Research - Focusing on the ALACT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837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어과 화법 영역에서 학습자의 경험을 통한 반성적 사고과정을 유도하기 위해 교수자의 반성적 교수 모형인 ALACT 프로그램 모형 적용하여 화법 수업에서 반성적 말하기 지도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단계는 행동(Action)단계이다. 교수자는 학습자의 유용한 경험을 찾도록 돕기 위해 행동적인 교수 행위를 시작해야 하는 단계이다. 2단계는 행동을 되돌아보기(.Looking back on the action) 단계이다. 과거 떠 올린 경험을 선택하여 그러한 행동이나 사건 감정이 생긴 이유나 사건 맥락, 상대방이나 물건에 대한 감정 등을 세밀하게 고찰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3단계는 본질적 양상의 인식(Awareness of essential aspects)단계이다. 여기서는 과거의 경험을 현재와 관련시켜 그러한 경험이 현재의 나에게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이해하고 가치 부여하며 판단하는 과정이 지도되어야 한다. 4단계는 대안적 행동 방법 구상(Creating alternative methods of action)단계이다. 자신의 학습과 관련하여 대안을 도출하는 단계로 학습자는 기존의 기술들을 활용하여 종합적으로 수행을 해야 한다. 5단계는 시도(Trial)단계로 그 자체로 새로운 행동으로써 새로운 순환의 출발이 되는 단계이다. 교수자는 학습자들 간의 다양한 관계에서 구체적인 말하기를 수행하게 하거나 학습자들 간의 대화를 통해 그러한 경험을 공유하게 하여 같이 공유할 수 있는 경험에 대해 공감하고 문화를 형성하게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어과 화법 영역에서 학습자의 경험을 통한 반성적 사고과정을 유도하기 위해 교수자의 반성적 교수 모형인 ALACT 프로그램 모형 적용하여 화법 수업에서 반성적 말하기 지도 방...

      본 연구는 국어과 화법 영역에서 학습자의 경험을 통한 반성적 사고과정을 유도하기 위해 교수자의 반성적 교수 모형인 ALACT 프로그램 모형 적용하여 화법 수업에서 반성적 말하기 지도 방법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단계는 행동(Action)단계이다. 교수자는 학습자의 유용한 경험을 찾도록 돕기 위해 행동적인 교수 행위를 시작해야 하는 단계이다. 2단계는 행동을 되돌아보기(.Looking back on the action) 단계이다. 과거 떠 올린 경험을 선택하여 그러한 행동이나 사건 감정이 생긴 이유나 사건 맥락, 상대방이나 물건에 대한 감정 등을 세밀하게 고찰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3단계는 본질적 양상의 인식(Awareness of essential aspects)단계이다. 여기서는 과거의 경험을 현재와 관련시켜 그러한 경험이 현재의 나에게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이해하고 가치 부여하며 판단하는 과정이 지도되어야 한다. 4단계는 대안적 행동 방법 구상(Creating alternative methods of action)단계이다. 자신의 학습과 관련하여 대안을 도출하는 단계로 학습자는 기존의 기술들을 활용하여 종합적으로 수행을 해야 한다. 5단계는 시도(Trial)단계로 그 자체로 새로운 행동으로써 새로운 순환의 출발이 되는 단계이다. 교수자는 학습자들 간의 다양한 관계에서 구체적인 말하기를 수행하게 하거나 학습자들 간의 대화를 통해 그러한 경험을 공유하게 하여 같이 공유할 수 있는 경험에 대해 공감하고 문화를 형성하게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he experienc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area through the narrative reflective thinking to guide the process of teacher ALACT Reflective Teaching Model in a program of reflective teaching model applied to speech saying that the purpose of looking for ways. Phase 1 actions (Action) stage. Learners who experience a professor of useful actions to help find you need to start teaching the steps of action. See the action back to step 2 (. Looking back on the action) stage. Added by selecting the floating past experience emotions such action or event occurred or why the case context, such as feelings for the other and stuff so that you can fine-map should be investigated. Step 3 is essentially a pattern recognition (Awareness of essential aspects) stage. Here, the past experience of such experiences are related to any current or to understand what the implications for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value given to the map to be. Step 4 is an alternative way to visualize behavior (Creating alternative methods of action) stage. Alternatively with regard to their learning step to derive the learner by utilizing the conventional techniques should be carried out comprehensively. 5 steps to try (Trial) step by itself is a new cycle of new behaviors from a professor who is a ste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learners to perform specific or speaking through a dialogue between the learner such as a shared experience you can share the experience and empathy for the formation of culture.
      번역하기

      This study is the experienc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area through the narrative reflective thinking to guide the process of teacher ALACT Reflective Teaching Model in a program of reflective teaching model applied to speech saying that the ...

      This study is the experienc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area through the narrative reflective thinking to guide the process of teacher ALACT Reflective Teaching Model in a program of reflective teaching model applied to speech saying that the purpose of looking for ways. Phase 1 actions (Action) stage. Learners who experience a professor of useful actions to help find you need to start teaching the steps of action. See the action back to step 2 (. Looking back on the action) stage. Added by selecting the floating past experience emotions such action or event occurred or why the case context, such as feelings for the other and stuff so that you can fine-map should be investigated. Step 3 is essentially a pattern recognition (Awareness of essential aspects) stage. Here, the past experience of such experiences are related to any current or to understand what the implications for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value given to the map to be. Step 4 is an alternative way to visualize behavior (Creating alternative methods of action) stage. Alternatively with regard to their learning step to derive the learner by utilizing the conventional techniques should be carried out comprehensively. 5 steps to try (Trial) step by itself is a new cycle of new behaviors from a professor who is a ste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learners to perform specific or speaking through a dialogue between the learner such as a shared experience you can share the experience and empathy for the formation of cul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창덕, "화법 교육론" 역락 2010

      2 성화목,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에서 학생들의 반성적 사고와 읽기틀의 관계에 대한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146-159, 2012

      3 이정아, "초등 예비 교사의 반성적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반성의 유형과 특징"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9 (29): 378-388, 2010

      4 김정란, "중학생의 경험 말하기 교육 방안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4

      5 고미숙, "정체성 교육의 새로운 접근:서사적 정체성 교육" 한국교육개발원 30 (30): 5-32, 2003

      6 강영심, "저널쓰기를 통한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283-304, 2009

      7 최숙기, "쓰기지도방법" 역락 2013

      8 최홍원, "시조의 성찰적 사고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9 김대행, "수행적 이론의 연구를 위하여" 국어교육학회 (22) : 5-30, 2005

      10 Dewey John, "사고하는 방법" 법문사 1933

      1 이창덕, "화법 교육론" 역락 2010

      2 성화목,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에서 학생들의 반성적 사고와 읽기틀의 관계에 대한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146-159, 2012

      3 이정아, "초등 예비 교사의 반성적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반성의 유형과 특징"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9 (29): 378-388, 2010

      4 김정란, "중학생의 경험 말하기 교육 방안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4

      5 고미숙, "정체성 교육의 새로운 접근:서사적 정체성 교육" 한국교육개발원 30 (30): 5-32, 2003

      6 강영심, "저널쓰기를 통한 예비특수교사의 반성적 사고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283-304, 2009

      7 최숙기, "쓰기지도방법" 역락 2013

      8 최홍원, "시조의 성찰적 사고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9 김대행, "수행적 이론의 연구를 위하여" 국어교육학회 (22) : 5-30, 2005

      10 Dewey John, "사고하는 방법" 법문사 1933

      11 이진용, "브랜드 경험에 대한 개념적 고찰과 실무적 시사점" 한국소비자학회 14 (14): 215-242, 2003

      12 고문숙, "반성적 사고조장교수방법이 유치원예비교사의 자기평가와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14 (14): 97-116, 1994

      13 이흔정, "반성적 사고에 기초한 수업방안 연구" 안암교육학회 11 (11): 113-134, 2005

      14 Fred A. J. Korthagen, "반성적 교사교육 실제와 이론" 학지사 2007

      15 류수열, "문학교육과정의 경험 범주 내용 구성을 위한 시론" 한국문학교육학회 (19) : 129-154, 2006

      16 권순희, "대인 화법의 교수·학습 방법 모색" 한국화법학회 (16) : 31-61, 2010

      17 손우진, "놀이와 학습의 측면에서 유아 그림책에 나타나는 경험디자인 유형 분석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6

      18 Clandinin D. J., "내러티브 탐구, 반성적 교사교육 실제와 이론" 교육과학사 2006

      19 최미숙, "국어교육의 이해" 사회평론 2008

      20 남가영, "국어 인식활동의 경험적 속성" 국어교육학회 (27) : 337-374, 2006

      21 Jerome Bruner, "교육의 문화" 교육과학사 1990

      22 윤세균, "경험디자인의 구성과 적용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16 (16): 28-298, 2003

      23 Cruickshank, "Reflecting Teaching" Phi Delta Kappa 1981

      24 Schmitt, B., "Experiential marketing : How to get customers to sense, feel, think, act and relate to your company and brands" The Free Press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peech Research -> Journal of Speech Communi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91 1.348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