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국가통계체계에 대한 소고 = Reviews and prospects on the official statistical system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780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국가통계체제는 고속성장이라는 국가적 과제와 발전의 궤를 같이 하면서 필요할 때마다 관련 통계를 만들어 왔으며 이로 인해 기초통계가 체계적으로 균형 있게 발전해오지 못...

      우리나라는 국가통계체제는 고속성장이라는 국가적 과제와 발전의 궤를 같이 하면서 필요할 때마다 관련 통계를 만들어 왔으며 이로 인해 기초통계가 체계적으로 균형 있게 발전해오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변화하는 경제사회 환경에 맞추어 필요통계를 발굴해내는 수요체계 파악, 국제기구의 통계와의 정합성 제고, 유사중복통계 작성 방지, 통계인력의 전문성 제고 등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적 및 실질적 운영상의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국가통계 총괄 조정기능 강화하고 실천력이 전제되는 거버넌스 구조를 위해 통계청을 차관급인 처나 장관급 행정부로 격상시키고 통계기관장을 임기제로 하고 공모를 통하여 선정해야 한다. 행정자료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대통령직속위원회의 신설, 민간 통계생산기관과의 협력강화, 지방자치단체의 통계역량 제고, 자료처리센터의 설치, 마이크로데이터의 공동 활용 시스템 설치 등도 시급한 과제들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ational statistical system in Korea has developed along with national economic agenda such as a government oriented high economic growth and has formed to a typical diversified statistical system. While the national statistics have been produced when...

      National statistical system in Korea has developed along with national economic agenda such as a government oriented high economic growth and has formed to a typical diversified statistical system. While the national statistics have been produced whenever they are needed, they are facing the critics that production of basic statistics were lack of balance. Grasping the statistical demand properly, enhancing the statistical concurrence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 preventing the production of overlapped and similar statistics, and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manpower in statistical industry are the structural problems that Korean statistical system has to get over.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the coordination mechanism and the governance structure of the national statistical system to level up the integrity and credibility of statistical program. The length of Chief Statistician's tenure need to be assur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행정안전부 선진화담당관, "행정통계개선방안" 행정안전부 2010

      2 통계청, "살아있는 통계 변화하는 통계청" 통계청 2007

      3 통계개발원, "국가통계제도의 발전" 통계청 2008

      4 이재형, "국가통계시스템 발전방안" 한국개발연구원 2004

      5 통계청, "국가통계미래발전전략" 통계청 2011

      6 Holt, D. T., "The official statistics olympic challenge: Wider, deeper, quicker, better, cheaper" 61 : 1-15, 2007

      7 Seltzer, W., "Politics and statistics: Independence, dependence or interaction?" Department for Economic and Social Information and Policy Analysis 1994

      8 OECD, "Framework and guidelines for OECD statistical actives" OECD 2003

      9 Fellegi, Evan P., "Characteristics of an effective statistical system" 64 : 165-197, 1996

      10 통계청, "2010년 통계인력 및 예산조사" 통계청 2010

      1 행정안전부 선진화담당관, "행정통계개선방안" 행정안전부 2010

      2 통계청, "살아있는 통계 변화하는 통계청" 통계청 2007

      3 통계개발원, "국가통계제도의 발전" 통계청 2008

      4 이재형, "국가통계시스템 발전방안" 한국개발연구원 2004

      5 통계청, "국가통계미래발전전략" 통계청 2011

      6 Holt, D. T., "The official statistics olympic challenge: Wider, deeper, quicker, better, cheaper" 61 : 1-15, 2007

      7 Seltzer, W., "Politics and statistics: Independence, dependence or interaction?" Department for Economic and Social Information and Policy Analysis 1994

      8 OECD, "Framework and guidelines for OECD statistical actives" OECD 2003

      9 Fellegi, Evan P., "Characteristics of an effective statistical system" 64 : 165-197, 1996

      10 통계청, "2010년 통계인력 및 예산조사" 통계청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1 0.91 0.911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