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주 東宮과 月池 유적 건물지 配置 및 空間區劃 검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92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동궁과 월지(사적 제18호)는 문무왕 19년(679)에 조성된 통일신라를 대표하는 궁원지로 여러 차례의 발굴조사를 통해 월지 내부와 그 주변 건물지의 양상이 확인된 바 있다. 조사결과 월지를 ...

      동궁과 월지(사적 제18호)는 문무왕 19년(679)에 조성된 통일신라를 대표하는 궁원지로 여러 차례의 발굴조사를 통해 월지 내부와 그 주변 건물지의 양상이 확인된 바 있다. 조사결과 월지를 중심으로 각각의 건물지가 정연하게 배치되어있음을 알 수 있으며, 여러 군으로 구획되어 축조된 사실도 함께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월지 주변에 대한 발굴조사가 전체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건물지의 배치구조 및 양상과 다른 유적과의 관계를 알기는 현재로선 힘든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발굴조사 성과 검토를 진행하여 남편에 축조된 1군의 건물지(도면 내 붉은색 건물지)는 월지 축조(674) 이전에 조성되었음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A건물지 남편에 위치한 줄기초 건물지와 시기적으로 연동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양상을 근거로 동궁과 월지 주변에 축조된 건물지 및 부속시설의 중복양상을 통해 건물지의 선후관계를 상정하였다.
      본 검토에서 새롭게 확인한 부분은 첫째, 담장 등 부속시설의 재검토를 통해서 월지 주변에 위치한 담장은 서로 연결되지 않을 가능성이다. 따라서 기존에 제기된 월지 주변을 감싸는 ‘宮牆’을 상정하기보다는 각 시기별로 건물지 구역마다 상이한 담장의 이용양상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두 번째, 월지 동편에 위치한 ‘가’지구와 ‘나’지구 건물지에서의 서로 다른 특징을 확인한 점이다. 즉 가지와 나지구는 전체적으로 건물지의 중복현상에 있어 차이점이 뚜렷한 점, 대형 건물지 사이의 공간에 대한 소형 건물지 점유 양상 등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양상의 의미는 가지구와 나지구의 구역분리 및 건물지 기능이 다를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점은 나지구에서는 대체로 소형건물지보다는 대형건물지가 주로 물리탐사에서 확인되었고, 가지구에서는 단독으로 위치한 소형건물지와 생활시설(우물, 화장실, 창고 등) 등이 많이 확인되는 점도 이를 뒷받침해준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onggung (The Eastern Palace) and Wolji (The Moon Pond) (historical site no. 18) ar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a palace and pond from the Unified Silla, built in the 1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Munmu (679). Through several excavations, the asp...

      Donggung (The Eastern Palace) and Wolji (The Moon Pond) (historical site no. 18) ar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a palace and pond from the Unified Silla, built in the 1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Munmu (679). Through several excavations, the aspects of the inside of Wolji and the surrounding building sites has been found. Based on the result of the current research, it can be seen that each building site is systematically arranged around the Wolji and these buildings were constructed in several sections. However, it is hard to know the connection between the arrangement and aspects of the building sites and other historical sites because the excavation research around the Wolji has not been conducted as a whole.
      In this thesis, using a review of the results of existing excavation research, it is newly confirmed that a group of building sites in the south part of Wolji was constructed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Wolji (674). This work suggests that the date of construction of the group of building sites could be related to the date of construction of strip foundations in the south part of building site A, which located in the West side of the Wolji. Therefore, the sequence of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sites could be estimated through examining the overlapped building sites and attachment facilities around Donggung and Wolji based on the research.
      Two parts of this thesis are newly identified. The first is the possibility that the stone walls located around the Wolji might not be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re-examination of the attachment facilities. Hence, it is determined that the stone walls were constructed according to different functions from one building site to another rather than, as was previously suggested, as ‘Gungjang_宮牆_the palace stone wall’ around the Wolji.
      The second is to examine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sites in areas 가 and 나 located on the East side of the Wolji. It was identified that these two areas, despite overlaps when considered as wholes, have distinct differences in the occupancy patterns of the small buildings in the spaces between the larger ones. This suggests areas 가 and 나 were divided up differently for different functions. This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physical research discovered large-scale building sites in area 나, while a number of independently situated small building sites and living facilities (wells, toilets and warehouses) were found in area 가.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 I. 머리말
      • II. 경주 동궁과 월지의 주변 건물지
      • III. 동궁과 월지 주변 건물지 배치양상 검토
      • IV. 동궁과 월지 주변 건물지 배치와 공간 구획
      • 국문 초록
      • I. 머리말
      • II. 경주 동궁과 월지의 주변 건물지
      • III. 동궁과 월지 주변 건물지 배치양상 검토
      • IV. 동궁과 월지 주변 건물지 배치와 공간 구획
      • V.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전랑지·남고루 발굴조사보고서" 1995

      2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안압지 발굴조사 보고서" 1978

      3 김병곤, "신라 東宮의 역할과 영역 - 임해전 및 안압지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 : 75-107, 2015

      4 전덕재, "신라 東宮의 변화와 臨海殿의 성격" 한국사학회 (127) : 5-54, 2017

      5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부여 정림사지" 2011

      6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미륵사 유적발굴조사보고서 Ⅱ" 1996

      7 홍승우, "문헌으로 보는 신라의 왕경과 월성"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7

      8 신라문화유산연구원, "경주 인왕동 왕경유적 Ⅱ" 2014

      9 조성윤, "경주 신라 안압지 내 중심 건물의 창건시기" 17 : 2011

      10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동궁과 월지 복원정비사업 발굴조사보고서 –A건물지-" 2018

      1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전랑지·남고루 발굴조사보고서" 1995

      2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안압지 발굴조사 보고서" 1978

      3 김병곤, "신라 東宮의 역할과 영역 - 임해전 및 안압지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 : 75-107, 2015

      4 전덕재, "신라 東宮의 변화와 臨海殿의 성격" 한국사학회 (127) : 5-54, 2017

      5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부여 정림사지" 2011

      6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미륵사 유적발굴조사보고서 Ⅱ" 1996

      7 홍승우, "문헌으로 보는 신라의 왕경과 월성"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7

      8 신라문화유산연구원, "경주 인왕동 왕경유적 Ⅱ" 2014

      9 조성윤, "경주 신라 안압지 내 중심 건물의 창건시기" 17 : 2011

      10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동궁과 월지 복원정비사업 발굴조사보고서 –A건물지-" 2018

      11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동궁과 월지 Ⅲ 발굴조사보고서" 2019

      12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동궁과 월지 Ⅱ 발굴조사보고서" 2014

      13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동궁과 월지 Ⅰ 발굴조사보고서" 2012

      14 김병곤, "雁鴨池의 月池 改名에 대한 再考" 한국역사민속학회 (43) : 7-37, 2013

      15 조유전, "雁鴨池 發掘調査와 復元" 2 : 1981

      16 신라문화유산연구원, "皇龍寺 廣場과 都市Ⅰ-황룡사 대지와 후대 유구-" 2018

      17 최영성, "月池宮 관련 자료 재검토 — 東宮은 太子宮이 아니다 —" 동양고전학회 (55) : 173-192, 2014

      18 윤선태, "新羅 東宮의 位置와 ‘東宮官’機構" 신라사학회 (46) : 127-154, 2019

      19 양정석, "新羅 月池와 東宮의 變化過程 檢討 -月池 南便 建物址의 分析을 中心으로-" 한국사연구회 (154) : 1-36, 2011

      20 이희준, "‘동궁과 월지’ 동편 신라왕경 유적의 조성 시기 및 성격 검토" 한국고대사탐구학회 (11) : 61-114,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7-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9 1.69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7 3.46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