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제주 4.3사건 이후 생존자와 생존자 가족 그리고 공동체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인식하고, 사회적 트라우마의 영향 아래에서 관계적 어려움을 경험하는 현대 제주 사람들을 위한 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제주 4.3사건 이후 생존자와 생존자 가족 그리고 공동체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인식하고, 사회적 트라우마의 영향 아래에서 관계적 어려움을 경험하는 현대 제주 사람들을 위한 목...
이 논문은 제주 4.3사건 이후 생존자와 생존자 가족 그리고 공동체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인식하고, 사회적 트라우마의 영향 아래에서 관계적 어려움을 경험하는 현대 제주 사람들을 위한 목회 돌봄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목회 상담의 역할이나 방향성은 바니 밀러-맥니모어(Bonnie J. Miller-McLemore)가 주장한 “살아있는 인간망(living human web)”이라는 메타포에서 성찰된 개인의 사적인 영역 즉 개인의 문제와 개인 역동뿐만 아니라 개인이 속해 있는 지역, 사회, 역사, 문화 영역까지 확대된 돌봄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개인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제주 공동체와 사회 구조 뿐만 아니라 그들의 역사적 경험에 관심을 갖고 목회 돌봄이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한다. 이에 따라 첫째는 아직 끝나지 않은 제주 4·3사건의 영향 아래에 있는 제주 사람들의 고통과 아픔, 그리고 그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제주에 문화 중 하나로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는 공동체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급변하는 제주 사회에서 제주 4.3사건으로 트라우마 생존자뿐만 아니라 가족, 공동체를 위한 목회 돌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제주 공동체는 역경과 가난, 고통 가운데서 제주 사람들이 존재하고 살아갈 수 있는 원천이었다. 제주 공동체를 향한 돌봄과 공동체를 통한 개인의 성장과 회복을 위한 목회돌봄을 강조하였다. 최근 20년 동안 일어난 인구증가는 제주 공동체에 많은 영향을 미쳤고, 관계의 어려움을 가중하고 많은 갈등 상황으로 내몰았다. 이런 제주 사회에 공동체를 통한 목회 돌봄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4.3 트라우마 생존자들이 그 후 50년이라는 시간 동안 그들의 경험을 이야기할 수 없었기에 가족과 그들의 관계성에 영향을 미쳤다. 뿌리 깊게 제주 공동체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4.3사건의 경험은 다시 꺼내어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이를 위한 목회 돌봄 방법으로 공동체 안에서 ‘상호공감’과 관심을 가지고 ‘질문하고 이야기’를 제시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cognizes the impact of the Jeju 4.3 Uprising on survivors, their families, and the community. It seeks to suggest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pastoral care for modern Jeju people who experience relational difficulties resulting from so...
This paper recognizes the impact of the Jeju 4.3 Uprising on survivors, their families, and the community. It seeks to suggest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pastoral care for modern Jeju people who experience relational difficulties resulting from social trauma. Recently, the role and approach of pastoral counseling has been reflected in the metaphor of a “living human web” advocated by Bonnie J. Miller-McLemore, not only in the individual’s personal area but also in personal problems and dynamics. Instead, care should be extended to the regional, social, and cultural areas to which the individual belongs.
In the rapidly changing Jeju society, pastoral care is considered necessary not only for survivors of the trauma caused by the Jeju 4.3 Uprising but also for their families and communities. For those who lived in a community and formed a homogeneous body, the community allowed them to exist and live.
Accordingly, we first presented the pain and suffering of the Jeju people under the influence of the Jeju 4.3 Uprising, which has not yet ended, and its impact.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sense of community that continues to influence Jeju's culture to this day.
Over the past 20 years, the population increase has significantly impacted the Jeju community, aggravating relationship difficulties and leading to many conflict situations. In Jeju society, which is faced with creating a new community, the sense of community must be developed through interaction. A sense of community through mutual empathy can help victims overcome the influence of trauma. Additionally, the trauma survivors of the uprising could not talk about their experiences for the next 50 years, which affecte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familie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direction of pastoral care is to provide a space in the community where people can pay attention to them, ask questions, and talk.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목회상담학회, "현대목회상담학자연구" 돌봄 2011
2 덴보로, 데이빗, "트라우마이야기치료" 학지사 2020
3 이희철, "트라우마 집단상담을 위한 목회상담적 제안" 한국목회상담학회 37 : 109-134, 2021
4 이희철, "트라우마 생존자와 트라우마 공동체를 위한 목회 돌봄과 상담" 한국목회상담학회 33 : 295-324, 2019
5 헤르만, 유디트, "트라우마 : 가정폭력에서·정치적·테러까지" 플래닛 2007
6 박승규, "제주인구통합분석"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7
7 현길언, "제주문화론" 탐라목석원 2001
8 현영종, "제주도 해녀-스쿠버다이버 마찰 왜?" 한라일보
9 허호준, "제주도 인구 처음으로 70만 명 넘었다" 한겨레
10 김유경, "제주4‧3 여성 생존자의 생애 과정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13 (13): 103-121, 2019
1 한국목회상담학회, "현대목회상담학자연구" 돌봄 2011
2 덴보로, 데이빗, "트라우마이야기치료" 학지사 2020
3 이희철, "트라우마 집단상담을 위한 목회상담적 제안" 한국목회상담학회 37 : 109-134, 2021
4 이희철, "트라우마 생존자와 트라우마 공동체를 위한 목회 돌봄과 상담" 한국목회상담학회 33 : 295-324, 2019
5 헤르만, 유디트, "트라우마 : 가정폭력에서·정치적·테러까지" 플래닛 2007
6 박승규, "제주인구통합분석"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7
7 현길언, "제주문화론" 탐라목석원 2001
8 현영종, "제주도 해녀-스쿠버다이버 마찰 왜?" 한라일보
9 허호준, "제주도 인구 처음으로 70만 명 넘었다" 한겨레
10 김유경, "제주4‧3 여성 생존자의 생애 과정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13 (13): 103-121, 2019
11 권귀숙, "제주4·3의 진상규명과 젠더 연구" 탐라문화연구원 (45) : 169-198, 2014
12 이영권, "제주4·3을묻습니다 : 왜곡과미화를넘어" 신서원 2007
13 김유경, "제주4. 3생존자의 트라우마 그리고 미술치료" 학지사 2014
14 홍기돈, "제주 공동체문화와 4・3항쟁의 발발 조건" 탐라문화연구원 (49) : 123-160, 2015
15 전병선 ; 정영은 ; 김문두, "제주 4.3 희생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및 우울 증상" 대한우울조울병학회 14 (14): 107-112, 2016
16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작성기획단, "제주 4. 3사건 진상 보고서"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2003
17 이정주, "제주 '호미'마을 여성들의 생애사에 대한 여성학적 고찰 : '4·3'경험을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18 정연득, "정체성, 관점, 대화: 목회상담의 방법론적 기초" 한국목회상담학회 23 : 233-271, 2014
19 음영철, "역사적 트라우마의 치료과정-현기영의「순이삼촌」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97-305, 2013
20 권진숙, "여성주의 목회신학에서 바라본 상호관계" 한국목회상담학회 18 : 7-36, 2012
21 월린, 데이빗 J, "애착과 심리치료" 학지사 2014
22 현기영, "순이삼촌" 창비 2009
23 고유식, "사회적 트라우마의 돌봄을 위한 「트라우마 상징」 연구" 한국목회상담학회 28 : 7-39, 2017
24 로저스, 칼, "사람-중심상담" 학지사 2015
25 커, 마이클, "보웬의 가족치료이론" 학지사 2005
26 이희철, "돌봄 : 목회 돌봄에 근거한 목회상담의 미래 전략" 한국기독교학회 (116) : 489-514, 2020
27 권귀숙, "기억의정치" 문학과지성사 2007
28 조던, 주디스, "관계문화치료입문" 학지사 2016
29 권진숙, "관계문화이론" 신앙과지성사 2013
30 이은진 ; 이지연, "관계-문화적 이론(RCT: Relational-Cultural Theory)의 이해와 국내 상담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고찰" 한국상담학회 14 (14): 2585-2620, 2013
31 White, Michael, "Reflections on Narrative Practice" Dulwich Centre Publications 35-58,
32 Miller, J. B, "Connections, Disconnections and Violations" Stone Center 1988
33 고성만, "4․3 과거청산과 ‘희생자’ - 재구성되는 죽음에 대한 재고 -" 탐라문화연구원 (38) : 249-277, 2011
34 제주4.3연구소, "4. 3과여성, 그살아낸날들의기록" 도서출판각Ltd 2019
35 보건복지부, "2022 자살예방백서"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2022
고통을 담아주기-갑작스러운 사별 경험에 관한 목회 돌봄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