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년기 적응 연구에 대한 문헌 고찰 = Review on the articles of the adjustment in mid-lif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중년기 적응에 관한 연구 현황을 검토하기 위하여, 1980년 이후부터 1994년 6월까지 발표된 총 34편의 논문들을 선정하여, 연구방법 및 결과들에 관한 내용을 고찰했다. 그 내...

      본 연구는 한국의 중년기 적응에 관한 연구 현황을 검토하기 위하여, 1980년 이후부터 1994년 6월까지 발표된 총 34편의 논문들을 선정하여, 연구방법 및 결과들에 관한 내용을 고찰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첫째, 한국의 중년기 적응에 대한 연구는 1980년대 중반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초기에는 인구사회학적 요인과의 관련성 검증이, 90년대 이후로는 인성·가치관 요인 및 스트레스 요인 그리고 사회관계망 유대와의 관련성이 주로 검증되었다. 둘째, 고찰 논문 34편중 32편이 조사연구를 시도했는데, 대체로 자기보고식 질문지에 의거한 횡단적 조사 였으며, 표집은 주로 서울시와 여성으로 제한했다. 세째, 고찰된 논문들은 전반적으로 중년의 시기에 대한 부정적인 관점(위기설)과 긍정적인 관점(최고안정기)을 지지하는 상반된 결과들로 대립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들에는 사회인구학적 변인보다는 건강상태·변인과 사회심리학적 변인(가족관계만족도, 성격특성, 가치관, 사회관계망 유대 등)이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규명되었다.
      미래연구는 중년기를 부정적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긍정적 관점으로써 접근하는 실증연구가 필요하다. 또 연구결과의 일반화와 이론검증을 위해서 우선은 한국적 문화 상황에 적절한 척도의 개발과 개정을 지속시키고, 아울러 다양한 이론체계에 의한 검증 및 다양한 연구방법의 적용 그리고 체계적인 연구설계의 시도가 요구된다. 한편 중년의 내·외적 변화에 대비할 수 있는 유용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이의 실용적 보급 방안이 학제적인 공동 노력으로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trend of research on the adjustment of Korean middle-aged men and women. To meet this ends, this paper reviews and analyzes existing 34 articles published from 1980 to June, 1994. The main ...

      The main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trend of research on the adjustment of Korean middle-aged men and women. To meet this ends, this paper reviews and analyzes existing 34 articles published from 1980 to June, 1994. The main focus of the analysis concerns the methodology, contents and results of those studies.
      The summary of the studies are as follows :
      1. Research on the adjustment of Korean Mid-Life has taken up in the middle of the 1980's in its full scale. In the early periods, the research mainly verified its relevance to the scoio-demographics variables. After the 1990's it has mainly verified its relevance to the personality and value-variables, the stress-variables and the social-networks relation.
      2. 32 out of 34 articles that this review analyzed used the survey research designs. They mainly use cross-sectional survey designs based on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hose subjects and sampling area are restricted to certain groups, especially women in Seoul.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research and verify theoretically, we need to develop and modify the scale that fits Korean situation, and apply to various research methods and organized research system.
      3. Generally, there are conflicting pros(the crisis stage) and cons(the best stable stage) concerning the existence of middle-age. It has been turned out that one's health condition and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the degree of family-relation satisfaction,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 the value, the social-network relation, and etc. ) exert more influence on the adjustment in mid-life than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refore, the further research must incorporate a survey research that approaches the subject not only from the negative point of view but from the positive perspective. In connection with this, we need to verify the various theoretical systems. We need to do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hat prepares for accepting the turning point of mid-life positive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서론
      • 고찰의 범위
      • 고찰의 내용
      • 논의 및 제언
      • 국문요약
      • 서론
      • 고찰의 범위
      • 고찰의 내용
      • 논의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