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토마스 샤츠, "할리우드 장르의 구조" 한나래 1995
2 지주형, "한국 신자유주의의 기원과 형성" 책세상 2011
3 제러미 리프킨, "소유의 종말" 민음사 2001
4 한상언, "서울시네마타운 연구" 현대영화연구소 13 (13): 41-65, 2017
5 질 들뢰즈, "비물질 노동과 다중" 갈무리 2014
6 최장집, "민주주의의 민주화_ 한국 민주주의의 변형과 헤게모니" 후마니타스 2006
7 김정희, "멜로 영화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전략 분석" 인문콘텐츠학회 (10) : 211-234, 2007
8 김홍중,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2009
9 남인영, "마녀의 영화공작실 1: 멜로, 혹은 남성의 초상-<접속>, <편지>, <8월의 크리스 마스> 그리고 <강원도의 힘>" 사회평론 98 (98):
10 아즈마 히로키, "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 문학동네 2007
1 토마스 샤츠, "할리우드 장르의 구조" 한나래 1995
2 지주형, "한국 신자유주의의 기원과 형성" 책세상 2011
3 제러미 리프킨, "소유의 종말" 민음사 2001
4 한상언, "서울시네마타운 연구" 현대영화연구소 13 (13): 41-65, 2017
5 질 들뢰즈, "비물질 노동과 다중" 갈무리 2014
6 최장집, "민주주의의 민주화_ 한국 민주주의의 변형과 헤게모니" 후마니타스 2006
7 김정희, "멜로 영화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전략 분석" 인문콘텐츠학회 (10) : 211-234, 2007
8 김홍중,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2009
9 남인영, "마녀의 영화공작실 1: 멜로, 혹은 남성의 초상-<접속>, <편지>, <8월의 크리스 마스> 그리고 <강원도의 힘>" 사회평론 98 (98):
10 아즈마 히로키, "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 문학동네 2007
11 김동식, "냉소와 매혹" 문학과지성사 2002
12 최윤식, "1990년대 후반 한국영화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와 젠더 이데올로기 : <정사>, <해피엔드>, <접속>, <인터뷰>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1
13 박지연, "1990년대 이후 한국 멜로드라마 영화의 변화; <접속>에서 <오버 더 레인보우>까지" 영상예술학회 (4) : 167-197, 2004